텐센트 클라우드 "한국은 전략 시장…인력·투자 늘린다" 작성일 07-04 17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게임 등 엔터 분야 강점…'업계 1위' AWS 보완 가능"<br>알리바바 한국에 제2데이터센터 가동엔 "존경하지만 경쟁"</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VJ5Eqc8tzU">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d402e9feca47821eb0443166e5da93959d06e501305dfb766f8c963ce54b2c3" dmcf-pid="fi1DBk6FFp"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텐센트 클라우드 인터뷰 (서울=연합뉴스) 2일 소피텔 앰배서더 서울에서 진행한 인터뷰에서 너키 팡 텐센트 클라우드 인터내셔널 제너럴 매니저(왼쪽)와 허정필 텐센트 클라우드 코리아 컨트리 매니저의 모습. 2025.7.2 [텐센트 클라우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4/yonhap/20250704070328543okhw.jpg" data-org-width="1200" dmcf-mid="2EYNpg9HFu"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4/yonhap/20250704070328543okhw.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텐센트 클라우드 인터뷰 (서울=연합뉴스) 2일 소피텔 앰배서더 서울에서 진행한 인터뷰에서 너키 팡 텐센트 클라우드 인터내셔널 제너럴 매니저(왼쪽)와 허정필 텐센트 클라우드 코리아 컨트리 매니저의 모습. 2025.7.2 [텐센트 클라우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2053b7be2495a544ed9d1dbd4807290d276069b1ad36a24e85c1f2ec103e3e37" dmcf-pid="4g0s2rMU30" dmcf-ptype="general">(서울=연합뉴스) 김현수 기자 = 중국 텐센트 클라우드가 한국 시장을 전략적 시장으로 규정하고 인력과 투자를 확대한다.</p> <p contents-hash="42111873e468e7b73dd3736cfe55dd225e05560f95f5b11f4551881a7eaeaccd" dmcf-pid="8apOVmRu33" dmcf-ptype="general">너키 팡 텐센트 클라우드 인터내셔널 제너럴 매니저(GM)는 지난 2일 소피텔 앰배서더 서울에서 진행한 인터뷰에서 엔터테인먼트 분야 노하우를 바탕으로 국내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p> <p contents-hash="f22e4cbbd9209f32eef1f20a375de813229a46d97b3804ea1f7259cc25bd0b4d" dmcf-pid="6NUIfse7FF" dmcf-ptype="general">텐센트 클라우드는 현재 5개 대륙, 21개 지역, 56개 가용 영역에서 엑사바이트(EB·1엑사바이트는 약 10억 기가바이트) 수준의 스토리지를 제공하고 있다.</p> <p contents-hash="ad9cf7aef87987db6e99f3f8a3ead12fad4a73a4e1b4be18fb6ade0cc24526d0" dmcf-pid="PjuC4OdzFt" dmcf-ptype="general">2018년 한국에 진출한 텐센트 클라우드는 게임, 전자상거래(이커머스), 엔터테인먼트,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등 분야에서 파트너십을 구축해왔다. 현재 서울에서 가용 영역 2곳을 기반으로 서비스를 운영 중이다.</p> <p contents-hash="9cdfe8d549ef219118494df04127af4943ab607d73c066006332ed0d09680998" dmcf-pid="QA7h8IJqz1" dmcf-ptype="general">너키 매니저는 중국판 카카오톡이라고 할 수 있는 '위챗·웨이신'을 통해 14억명 이상의 유저를 보유하고 있으며, 게임 등 엔터테인먼트 분야에서 확보한 사업 역량이 텐센트 클라우드의 '대체할 수 없는 강점'이라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043db22f95b0f405db19bbb3b098cfce192838fb1416363a19100050c0739d46" dmcf-pid="xczl6CiB75" dmcf-ptype="general">현재 국내 클라우드 시장은 아마존웹서비스(AWS),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클라우드 등 글로벌 '빅3' 기업의 입지가 절대적인 상황에서 전체 시장에서의 텐센트 클라우드 존재감은 미미한 상황이다.</p> <p contents-hash="598ce7a9e519d97612bac0095d8f5fed889ba4a0929d29fc0a8a0173609b0ec0" dmcf-pid="yuE8SfZwzZ" dmcf-ptype="general">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2023년 부가통신사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2023년 기준 국내 클라우드 시장 점유율은 AWS가 60.2%로 점유율로 가장 높았으며, 마이크로소프트 애저가 24.0%, 구글이 19.9%로 나타났다. 텐센트 클라우드는 집계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p> <p contents-hash="8f5e423850ee7e73351d053df0d01a552fa1e37615cd7bd4dd30559197648101" dmcf-pid="W7D6v45rpX" dmcf-ptype="general">너키 매니저는 빅테크 업체와 비교해 텐센트 클라우드가 국내 기술 지원 인력이 부족하다는 지적에 대해 "백엔드(서버·데이터베이스 등 처리 영역)부터 제품 단계까지 다양한 인력을 풍부하게 보유하고 있다"며 "인력 부족 문제는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단호히 말했다.</p> <p contents-hash="9621d99cfa2d3e1c388b444c67da8774f464e7833c6934443b6168ebedc0bd00" dmcf-pid="YzwPT81mFH" dmcf-ptype="general">그는 업계 1위 클라우드 업체인 AWS에 대해 "다양하고 표준화된 제품을 제공하는 CSP(클라우드 운용 사업자)라고 생각해 존중한다"며 "게임 업계에서는 AWS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려울 것이므로, 텐센트 클라우드는 (국내 클라우드 시장에서) AWS의 보완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7dbd0f857a83640ddf5f719aecd143c0589a9f04c67fa6c47512c2f2cd6a4af5" dmcf-pid="GqrQy6tszG"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텐센트 클라우드 데이 코리아 2025 [텐센트 클라우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4/yonhap/20250704070151543intq.jpg" data-org-width="1200" dmcf-mid="02U7rzvaz1"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4/yonhap/20250704070151543intq.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텐센트 클라우드 데이 코리아 2025 [텐센트 클라우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e417b7513b368c7f0ee57d63f042b2428a29817de68ce7d49da80035db1aa8cf" dmcf-pid="HBmxWPFOzY" dmcf-ptype="general">올해 초 생성형 AI '딥시크'를 기점으로 AI 기술 패권의 주요 플레이어로 부상한 중국은 최근 국내 클라우드 시장에도 적극 진출하며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p> <p contents-hash="f20ff841f8bd8545a415e5cc8a507f32d2c7a0b0e57782a8b767409a4bc657d5" dmcf-pid="XxYNpg9HUW" dmcf-ptype="general">알리바바 클라우드가 지난 달 국내 제2데이터센터를 가동하며, 커머스·인터넷·게임 분야 국내 고객을 적극 확보하겠다고 밝힌 게 대표적이다.</p> <p contents-hash="4f5352407f1a721a9e140ebcabab84684431cd2058ecc373fc7ca709813494d8" dmcf-pid="ZMGjUa2Xuy" dmcf-ptype="general">이미 국내 게임·커머스 업계와 파트너십을 구축한 텐센트 클라우드는 같은 중국계 기업인 알리바바 클라우드의 행보를 환영했다.</p> <p contents-hash="d126212d07aa1176c2a9fee29787cb20ab27282561ff28f9517064c1d53e2ef1" dmcf-pid="5RHAuNVZ3T" dmcf-ptype="general">너키 매니저는 "알리바바는 굉장히 존경하는 회사"라며 "알리바바 클라우드가 한국에서 제2의 데이터센터를 가동한다는 것은, 반대로 한국 시장을 중요한 시장으로 선정한 텐센트 클라우드의 전략이 맞는 것이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bdcfb256726f4d7a04f59c1dd9b9bd475825b9316a13bd8386555dfd756eef6a" dmcf-pid="1eXc7jf5Uv" dmcf-ptype="general">허정필 텐센트 클라우드 코리아 컨트리 매니저는 "가장 중요한 건 고객사를 어떻게 만족시킬 수 있느냐"라며 "텐센트 클라우드도 열심히 경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p> <p contents-hash="f6870dae9234c580a0f88cfc518e417141f1ce60392b9b44962bb0454b9b07d7" dmcf-pid="tdZkzA41zS" dmcf-ptype="general">텐센트는 2023년 초거대 AI 모델 '훈위안'을 공개하는 등 AI 분야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p> <p contents-hash="e2c2a14df719e1d36c67b9f4d7f911b3acc690fbd56503feae35de1636a01575" dmcf-pid="FJ5Eqc8t0l" dmcf-ptype="general">너키 매니저는 "AI는 텐센트 클라우드 사업에서도 꼭 가야 하는 길"이라며 "텐센트가 자체 개발한 훈위안은 700여개의 텐센트 내부 제품에서 사용되고 있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a6915d8660f5b83f118ee1ff61026655a6d982c8b858229fe593ecb08fda082d" dmcf-pid="3i1DBk6Fzh" dmcf-ptype="general">AI 기술을 바탕으로 국내 공공 분야, 지방 투자 계획을 묻자 "게임, SNS, 오디오, 비디오 등 엔터테인먼트가 주력 방향이라고 생각한다"며 "이 분야에서 더 깊이 있게 발전하길 바란다"고 에둘러 답했다.</p> <p contents-hash="0fdb992dbcf600181432cca34bf0bf25de75a41ffd914adc63135eda6699027e" dmcf-pid="0ntwbEP3UC" dmcf-ptype="general">국내 실적 목표치에 대해서는 매년 두 자릿수 이상의 성장률을 보인다면서도, 구체적인 수치는 공개하기 어렵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12e24b8f74030cb337a0e73cee0764da1334f2b42a6486c654f112ed4229ddca" dmcf-pid="pLFrKDQ03I" dmcf-ptype="general">클라우드 서비스 보안 수준을 묻는 말에는 제품, 데이터 민감성 측면에서 텐센트 클라우드가 이미 자사 내부에서 활발히 활용됨에 따라 신뢰할 수 있다고 자신감을 보였다.</p> <p contents-hash="4494a953a228be860dfd62a1d81b5088a64ea8ab5f9672143f2dcbf61932fb64" dmcf-pid="Uo3m9wxpuO" dmcf-ptype="general">너키 매니저는 "클라우드를 내부적으로 먼저 사용해서 많이 응용하고 있다"며 "모든 고객이 데이터에 대한 통제권을 가지고, 보안·암호화 툴을 제공하고 있기에 텐센트 클라우드의 보안성은 굉장히 높다고 본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6bf3d252d96d801947fb373f2466a7fdcc24a2f363bd787b91e54c4401d4e038" dmcf-pid="ug0s2rMUUs" dmcf-ptype="general">hyunsu@yna.co.kr</p> <p contents-hash="b6fad5a4f4748f3e25aa64b8ddd84d3c450cae071d13b8a935d4dbbb547cb760" dmcf-pid="zi1DBk6F0r" dmcf-ptype="general">▶제보는 카톡 okjebo</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SKT·KT, '한국적 AI' 주도권 경쟁…같은 날 LLM 오픈소스 승부수 07-04 다음 IOC 선수위원 도전 원윤종 “한국 스포츠 외교 발전에 기여하고 싶다”[인터뷰] 07-04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