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위성으로 본 이란 핵시설…"공정동 1곳 완전 파손" 작성일 07-04 14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텔레픽스, 초소형위성 블루본 및 영상분석 AI 샛챗 활용 분석보고서 발표</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0ZoDyqTN7l">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73a95dcca9056ce0809eea92cba135c125fafbbb19dc7d18362608d39d20cdad" dmcf-pid="p5gwWByjUh"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텔레픽스 블루본으로 촬영한 이란 이스파한 핵시설 위성영상 [텔레픽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4/yonhap/20250704093654806gtuu.jpg" data-org-width="606" dmcf-mid="FH6iwZDx0v"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4/yonhap/20250704093654806gtuu.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텔레픽스 블루본으로 촬영한 이란 이스파한 핵시설 위성영상 [텔레픽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90a856e11c1fb62169ae03f93b7f608ae02401f1f2a972c44279ed2ae8492243" dmcf-pid="U1arYbWA7C" dmcf-ptype="general">(서울=연합뉴스) 조승한 기자 = 미국의 공습을 받은 이란 핵시설의 공정동 중 1개 이상이 완전 파손됐다는 분석이 나왔다.</p> <p contents-hash="4f130e4bd95788259d40978ee9ae28b499f027f7677ae99bd7f876ce628994a2" dmcf-pid="utNmGKYcpI" dmcf-ptype="general">위성 스타트업 텔레픽스는 지난달 22일 미국의 미사일 폭격을 받은 이란 이스파한 핵시설 위성영상 데이터 분석 보고서를 4일 공개했다.</p> <p contents-hash="b71c0cce77a279ca60466eb2d5c544d29b5961d03069db5321dc3e1fe37fc5aa" dmcf-pid="7FjsH9GkpO" dmcf-ptype="general">이번 자료는 자사 인공지능(AI) 초소형위성 '블루본'과 위성영상 분석 AI 에이전트 '샛챗'을 처음으로 활용해 실증한 사례라고 회사는 설명했다.</p> <p contents-hash="9e91b29d699816d87ad809348a2f97a1eb7192ecf7eb4e66a799bbf32e47195f" dmcf-pid="z3AOX2HEzs" dmcf-ptype="general">이번 분석에는 지난달 14일과 22일 미국 플래닛사의 플래닛스콥이 촬영한 영상과 복구가 일부 진행된 28일 블루본이 촬영한 영상이 쓰였다.</p> <p contents-hash="601457a6674a9bc27084bc750b2c70e59319820e848da80d929ad8a5364aeb40" dmcf-pid="q0cIZVXDUm" dmcf-ptype="general">분석 결과 핵시설 주요 공정동 3~4개 동 중 최소 1개 동은 완전히 파손됐고 다른 1개 동은 부분 파괴된 것으로 추정됐다.</p> <p contents-hash="888c6d060a9236cac42e95229290f4bf2b1469659c156c5cc584d8763993b880" dmcf-pid="BpkC5fZwpr" dmcf-ptype="general">22일에는 약 1천㎡ 지붕 면적이 검게 그을렸으나 28일에는 완전 소실되거나 철거된 일부 지붕 사이로 내부 바닥이 노출돼 위성 상으로 밝게 반사되는 것이 탐지됐다.</p> <p contents-hash="adb797ca34d6d2e7d1a715ba39f0e033e2251d45dbbc4f8382f04e0364c2fcb3" dmcf-pid="bhPnr5wMUw" dmcf-ptype="general">이에 따라 지붕 손실률은 90% 이상으로 추정되며 잔해 제거는 60% 진행된 것으로 텔레픽스는 분석했다.</p> <p contents-hash="11254b4681a0a4644d407316efc6281fd1b0ee31d5cece1a261ce1277a2b880f" dmcf-pid="KlQLm1rR7D" dmcf-ptype="general">또 지름 10m 크기 흑색 원형 자국이 발견됐고 6일 뒤 회색과 갈색이 섞인 토양으로 변색해 연소 종료 후 복구 작업이 진행 중인 것으로 보인다고 텔레픽스는 설명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74eed99cdf12fed62c83d2a28577810f7f8fdf4d5b28518ec31891db30c00b64" dmcf-pid="9SxostmezE"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이스파한 핵시설 공급 전과 직후 및 복구 상황 [텔레픽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4/yonhap/20250704093654979xhxr.jpg" data-org-width="606" dmcf-mid="3mQLm1rRpS"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4/yonhap/20250704093654979xhxr.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이스파한 핵시설 공급 전과 직후 및 복구 상황 [텔레픽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edb34b5237d87d04455bca1f4996c51007b618a15a38e7f46cd6cde8d37ba56f" dmcf-pid="2vMgOFsduk" dmcf-ptype="general">북동쪽에 위치한 보조동과 저장고 중 가로 55m, 세로 30m 규모로 추정되는 대형 구조물 외벽에는 세 줄의 흑색 수직 줄무늬가 관측됐다.</p> <p contents-hash="8f38c95519298381a655f8d58676bca19ed8473ba57d8d6b7f410910ce9fe282" dmcf-pid="VTRaI3OJpc" dmcf-ptype="general">이 줄무늬는 28일에는 명도가 20% 증가하고 청색 톤이 강화된 것으로 확인돼 그을음이 빗물 등에 의해 씻겨 나갔거나 외벽에 임시 차양물이 설치된 것을 시사한다고 텔레픽스는 설명했다.</p> <p contents-hash="17ae72bf2277126dbaba8437f36e18bc67f5a93d9af8b5f78956ca75223921d2" dmcf-pid="fyeNC0IizA" dmcf-ptype="general">핵시설 내 전력 및 냉각 파이프라인은 서쪽 경계도로를 따라 매설돼 피해를 피한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시설 가동률 회복에는 최소 수 주가 소요될 것으로 예상됐다.</p> <p contents-hash="291ff973c4f8e9d22e8cd313d9352f62adf7f8dfb8b0c9b51bbf54098d223af1" dmcf-pid="4WdjhpCnzj" dmcf-ptype="general">다만 지하 시설이나 원심분리기가 위치한 실내 구조물에 대한 피해 여부는 확인이 불가능하다고 텔레픽스는 설명했다.</p> <p contents-hash="e55f20228dcdad9cfe7fdd0965afb1c0122a7d599ddb0598454adce2e54b0de8" dmcf-pid="8YJAlUhLzN" dmcf-ptype="general">조성익 텔레픽스 대표는 "이번 분석은 촬영 지역 선정부터 위성영상 수신, 분석, 보고서 작성까지 전 과정에 자체 개발한 AI 위성과 AI 기반 위성 운영 설루션이 활용됐다"며 "아직 블루본 위성이 초기 운영 및 최적화 단계임에도 세계 최초로 AI 큐브위성으로 고품질 위성영상을 촬영하고 AI 에이전트가 위성영상 분석 보고서까지 자동으로 생성하는 과정을 실제로 입증했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89eeffb414f592690303700792cf5d20f5e2706bb4ba15d5b40a5b27d62eb3d0" dmcf-pid="6GicSuloua" dmcf-ptype="general">shjo@yna.co.kr</p> <p contents-hash="74d20b6ef364bfa3c0d8537d95e5cf2dc7bc0ae924ac8d96541841605afba691" dmcf-pid="QXLETzva0o" dmcf-ptype="general">▶제보는 카톡 okjebo</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인간 게놈 ‘해독’ 넘어 ‘합성’ 도전한다 07-04 다음 4년 만에 돌아온 칠리치, 윔블던에서 영국 1위 드래이퍼 격침 07-04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