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ISS, 초정밀 길이 측정 시스템 개발…0.34nm 정밀도 구현 작성일 07-04 14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광 주파수 빗 간섭계 기반…절대길이 측정 정밀도 대폭 향상</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3BZHWByjhQ">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f4ef8b6cae5c3df7ebe49efb82fd7d14e93a3e7b0c173bede4e6a65fee2c371" dmcf-pid="0b5XYbWASP"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KRISS가 개발한 광 주파수 빗 분광 간섭계 기반 절대길이 측정 시스템 모식도. ⓒ한국표준과학연구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4/dailian/20250704103528001ribj.png" data-org-width="700" dmcf-mid="FMANolLKCx"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4/dailian/20250704103528001ribj.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KRISS가 개발한 광 주파수 빗 분광 간섭계 기반 절대길이 측정 시스템 모식도. ⓒ한국표준과학연구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ad649aa26e6dcf13ad7f464798edb7f5008fbae6b067920fd968029f0ace77ba" dmcf-pid="pK1ZGKYcC6" dmcf-ptype="general">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은 양자물리학 이론이 제시하는 수준에 근접한 0.34nm 정밀도의 길이 측정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p> <p contents-hash="a4f398b7c07a45f2d34f522eb4ce39f3537facd2b03f03426e643eaebe470826" dmcf-pid="U9t5H9GkC8" dmcf-ptype="general">높은 정밀도와 더불어 야외에서도 구동할 수 있을 만큼 간편하게 구성돼, 차세대 길이 측정 기술로 주목된다.</p> <p contents-hash="c19ba067d401046154c49bef762b8375845ee146110fe327692be6214720e445" dmcf-pid="ulANolLKy4" dmcf-ptype="general">현재 가장 정확한 길이 측정 장비는 1m의 기준이 되는 ‘길이측정표준기’다. KRISS를 포함한 각국의 측정표준 대표기관이 운용하고 있으며, 단파장 레이저 간섭계를 이용해 1~10nm 수준의 정밀도로 길이를 측정한다.</p> <p contents-hash="7dad20c958a91c1c788d88c62b8d7e02ec16d336a86694fe5c4722dd51abff59" dmcf-pid="7ScjgSo9Sf" dmcf-ptype="general">다만 길이측정표준기는 한 번에 측정할 수 있는 길이가 제한적이다. 이는 단파장 레이저의 파장 범위(스펙트럼)가 좁기 때문으로, 긴 거리를 측정하려면 여러 구간으로 나눠 반복 측정하고 결과를 합산해야 한다. 측정 시간과 공간 활용 면에서 제약이 크고, 위치 이동에 따른 오차 가능성도 있다.</p> <p contents-hash="93f901d79fedbd6ff1eddc11df0040def984a648a98d23c3bcf6520fade64051" dmcf-pid="zvkAavg2hV" dmcf-ptype="general">이와 달리 절대길이 측정 시스템은 상대적으로 긴 거리를 한 번에 측정할 수 있어 산업 현장에서 널리 활용된다. 기준점에서 대상까지 빛을 쏘고 되돌아오는 시간을 기반으로 거리를 산출하는 방식으로, 장비 소형화와 빠른 측정이 가능하다. 하지만 기존 시스템의 정밀도는 마이크로미터(㎛) 수준에 머물러 왔다. 이는 빛의 이동 시간을 극미세 간격으로 측정하는 데 기술적 한계가 있었기 때문이다.</p> <p contents-hash="2175d31c1c04fcb4ce5633ba23354d25fe159c6132aeacb3c5f12ece9f7805b1" dmcf-pid="qTEcNTaVC2" dmcf-ptype="general">KRISS 길이형상측정그룹은 이번에 ‘광 주파수 빗(Optical Frequency Comb) 간섭계’를 절대길이 측정 시스템에 적용해 정밀도를 대폭 향상시켰다.</p> <p contents-hash="e5f88c427514d5b747766fb6f34d15c47646cad61496082b9535cf093790107c" dmcf-pid="ByDkjyNfC9" dmcf-ptype="general">광 주파수 빗은 일정한 간격의 수천 개 주파수로 구성된 빛의 다발로, 파장 범위가 넓으면서도 간격이 고르게 정돈돼 있어 긴 거리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p> <p contents-hash="f0026ad013312ec796abddaf158b57ceee43c98bd0580d12913cd56d438f9c51" dmcf-pid="bWwEAWj4hK" dmcf-ptype="general">연구진이 개발한 광 주파수 빗 분광 간섭계 기반 절대길이 측정 시스템은 기존 길이측정표준기의 정밀도와 절대길이 시스템의 실용성을 결합한 형태다.</p> <p contents-hash="a1d06b8de493055f40c51218adde344fd28e9fc79a41ab5260e0b344034e62b7" dmcf-pid="KYrDcYA8vb" dmcf-ptype="general">정밀도는 0.34nm, 측정 속도는 25㎲로, 야외 환경에서도 활용 가능한 수준이다. 현재까지 보고된 절대길이 측정 시스템 가운데에서도 높은 성능을 구현한 사례로 평가된다.</p> <p contents-hash="d9ef7c9e106005c9b54c14bd5be162db6303ddafda9f9df3f437c36bf73f5a42" dmcf-pid="9GmwkGc6lB" dmcf-ptype="general">KRISS는 이번 시스템을 차세대 길이측정표준기 후보로 등재하기 위해 측정 불확도 평가와 성능 개선 등 후속 연구를 진행 중이다.</p> <p contents-hash="66e48d3070dbff9667acdfd53648afe3b62fcf550315ea17b065e48fe6903a84" dmcf-pid="VXOmDXEQSz" dmcf-ptype="general">장윤수 KRISS 선임연구원은 “AI 반도체, 양자기술 등 미래 산업의 경쟁력은 나노미터 단위의 거리 제어와 정밀 측정 능력에 달려 있다”며 “이번 성과는 우리나라가 차세대 길이 측정 기술에서 새로운 기준을 제시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얼굴 인식 기술, 나를 보호할까 감시할까 07-04 다음 얼굴 인식 기술, 나를 보호할까 감시할까 07-04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