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타임즈 "한국, 러브버그 몸살"…"물 뿌리지 말고 살충제 써라" 분통 작성일 07-04 17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7KKwiJzThw">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d9739a761d59b7c329ad28f2cb5b14476e7c94dd6344ec367db08cf4fc1067c" dmcf-pid="z99rniqyTD"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3일 서울 노원구 공릉동 삼육대학교에서 소방대원들이 물을 뿌리며 러브버그 현장 방제활동을 하고 있다. 관계자는 러브버그 퇴치는 날개가 약한 개체의 특성으로 나뭇잎 아래쪽에 살수하는 것으로 충분하다고 전했다. 연합뉴스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4/dongascience/20250704134619978cabe.jpg" data-org-width="680" dmcf-mid="uaxvkc8tyr"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4/dongascience/20250704134619978cabe.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3일 서울 노원구 공릉동 삼육대학교에서 소방대원들이 물을 뿌리며 러브버그 현장 방제활동을 하고 있다. 관계자는 러브버그 퇴치는 날개가 약한 개체의 특성으로 나뭇잎 아래쪽에 살수하는 것으로 충분하다고 전했다. 연합뉴스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ce5bbf3635ce09114dd68779286a00856354b7d789088b275254010b5f1d3eb8" dmcf-pid="q22mLnBWlE" dmcf-ptype="general">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을 휩쓴 ‘러브버그’ 떼 출몰 사태가 외신의 주목을 받고 있다. 미국 뉴욕타임스는 3일(현지시간) “서울시는 러브버그에 너그럽지만 많은 사람들은 곤충을 죽이길 원한다”며 당국과 시민 간의 온도 차를 상세히 전했다.</p> <p contents-hash="9c1551e22610a14485a90797b48b4ae236482dc6e1a7f5a7d05fb308c4ff3270" dmcf-pid="BVVsoLbYlk" dmcf-ptype="general">서울과 인천 등지에서는 지난달부터 손톱 크기의 러브버그들이 짝짓기를 하며 떼로 날아다니는 광경이 벌어졌다. 서울시는 러브버그가 인체에 해를 끼치지 않고 생태적으로 유익하다는 이유로 ‘친환경 대응’을 고수하고 있다. 물로만 분사하는 방식이다. 서울시는 홍보 영상에서 “러브버그는 해충이 아니다”, “살충제 사용을 멈추고 자연을 보호하자”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1d19138be2dcaf60c925f0b1e06397f961afe4ca8e2077ab4cda0eb0c8349535" dmcf-pid="bffOgoKGCc" dmcf-ptype="general">하지만 도심 상가 유리창에 죽은 러브버그가 층층이 쌓이고 산책 중 얼굴에 날아드는 상황을 겪은 시민들은 분통을 터뜨리고 있다. 인천에서 술집을 운영하는 A씨는 뉴욕타임즈와의 인터뷰에서 “물로는 안 된다”며 살충제와 소주까지 뿌려봤지만 소용이 없었다고 말했다. 그는 “이 벌레에게 좋은 점은 아무것도 없다”고 잘라 말했다.</p> <p contents-hash="e570274342578ed523a9c695501e06ff2da2f7ca56c82cf8fad7e1ce1a9d85c1" dmcf-pid="K44Iag9HWA" dmcf-ptype="general">러브버그는 학명은 '플레시아 롱기포셉스(Plecia longiforceps)'다. 꽃가루를 옮기고 낙엽을 분해해 토양을 비옥하게 만드는 곤충이다. 물지 않고 병원균도 옮기지 않아 생물학적으로는 유익한 곤충으로 분류된다. 그러나 군집을 이루기 때문에 시각적·심리적 혐오감이 크다. 특유의 짝짓기 자세 때문에 몸집이 실제보다 두 배로 보이기도 한다. </p> <p contents-hash="1aca9df94427ccb5d04cf863e388b507f2f47802720b04636a794e4cf03dfd23" dmcf-pid="988CNa2Xhj" dmcf-ptype="general">2022년 서울에서 처음 대량 발생한 이후 올해 민원이 폭증했다. 서울과 인천에 수천 건의 민원이 접수됐다. 인천 계양구에서 등산을 하던 B씨는 “처음엔 참을 만했지만 산길에 벌레 사체가 쌓여 악취가 났다”며 “손으로 치우고 내려왔다”고 말했다. 그는 “좋은 곤충이라고 하는데 왜 그렇게 부르냐”며 혐오감을 드러냈다.</p> <p contents-hash="8b1a2dcac0c8206767bdfeb28166f0fb080823c056df8cc7796707c4cbaee70e" dmcf-pid="266hjNVZWN" dmcf-ptype="general">서울시와 인천시는 대부분 친환경 기조를 유지하고 있지만 계양구는 결국 2일 살충제 연막차를 투입했다. 백은실 계양구청 감염병예방팀장은 “혐오스럽고 무섭다는 민원이 너무 많았다”며 “심리적으로라도 대응이 필요했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f1ec3b2743ee069f799707b72c837576ec264902d5e8046565d4db55de8fe935" dmcf-pid="VJJGmrMUla" dmcf-ptype="general">이러한 방역에도 효과가 미미하다는 불만이 이어지고 있다. 커피숍을 운영하는 C씨는 “살충차도 효과가 없다”며 “벌레 수가 인간의 통제를 벗어났다”며 “당국은 시민을 달래기만 할 뿐 해결 능력이 없다”고 비판했다.</p> <p contents-hash="4a18a4e7579545fd72d34f114137e34c4cfcb2deda04188e4a2799309a3f13b0" dmcf-pid="fiiHsmRuyg" dmcf-ptype="general">러브버그가 한국에 얼마나 퍼졌는지는 파악되지 않았다. 신승관 서울대 생물학과 교수는 "러브버그는 동중국 해안을 오간 배를 통해 국내에 유입됐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이어 "이 벌레는 겨울엔 습한 흙이나 낙엽 아래에 알을 낳고 여름 기온이 오르면 집단으로 출몰한다"며 "수도권 이외 지역으로 확산되진 않았지만 뾰족한 방제 방법도 없다"고 설명했다. </p> <p contents-hash="24577ae762c3286163745b8fa44a3953eb08d19d3b849b00ec2e717f6a80c1e8" dmcf-pid="4nnXOse7lo" dmcf-ptype="general">신 교수는 또 러브버그를 없애기 위해 섣불리 살충제를 사용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살충제를 쓰면 조류나 사마귀 등 포식자 생태계에 영향을 주고 저항성만 생길 수 있다”며 “빛으로 유인해 유도하는 방식이 더 나을 수 있다”고 제안했다.</p> <p contents-hash="0dd0bb1c3a2ab13d031eb0f6c80f98dab95c8f0014d1f40f2c293dfc742717af" dmcf-pid="8LLZIOdzvL" dmcf-ptype="general">[박정연 기자 hesse@donga.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동아사이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김대권 보로노이 대표 “VRN11 자체 개발…기술수출보다 큰 기회” 07-04 다음 국기원 세계태권도연수원, 외국인 국제사범 교육 실시 07-04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