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SKT ‘위약금 면제’ 공식 판단…"미이행시 등록취소 등 행정조치"(종합) 작성일 07-04 15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조사단, 감염서버 총 28대·악성코드 총 33종 확인<br>유심정보 25종 유출…IMSI 기준 2696만건<br>계정정보 관리 부실, 과거 침해사고 대응 미흡, 암호화 조치 소홀<br>SKT 침해 사고 과실…"약관상 위약금 면제 사유 해당"</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KF6OyTaVlC">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129457bc45645d44a8ad5728106ea8dbc7672de1a3d3e3208074a3b6b1807115" dmcf-pid="9Pk3BqTNlI"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류제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차관이 4일 정부서울청사에서SK텔레콤 해킹 사태 관련 최종 조사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데일리안 조인영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4/dailian/20250704162225086plep.jpg" data-org-width="700" dmcf-mid="z7KkIOdzTv"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4/dailian/20250704162225086plep.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류제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차관이 4일 정부서울청사에서SK텔레콤 해킹 사태 관련 최종 조사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데일리안 조인영 기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3318577d1906cd05ee2f8381eff0e9be73ed87b6b6921a807fe3d131684fe43c" dmcf-pid="2QE0bByjyO" dmcf-ptype="general">SK텔레콤(SKT)의 유심정보 유출 사고와 관련해 정부가 ‘회사의 귀책 사유’로 판단, 이용자 위약금 면제가 가능하다는 해석을 내놨다. 통신사 과실로 인한 해지에 대해 정부가 약관상 면제 조항을 적용한 첫 사례다.</p> <p contents-hash="028a143cb10be67d1995d5864c3ef64320602c9802bca1c49a3887a502ed75ae" dmcf-pid="VxDpKbWACs" dmcf-ptype="general">만일 SKT가 위약금 면제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등록 취소 등 추가 제재를 가할 수 있다는 것이 정부의 입장이다. SKT가 고객 보상과 관련해 추가 조치를 내놓을지 관심이다.</p> <p contents-hash="2f9c6f780995bc162ca7ad8d72faa5914392f549f003b54740984d510e57bf44" dmcf-pid="fMwU9KYcCm" dmcf-ptype="general">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4일 민관합동조사단의 조사 결과를 발표하며, SK텔레콤이 이번 침해사고에 과실이 있고, 계약상 주된 의무인 안전한 통신서비스 제공을 다하지 못했다고 판단했다.</p> <p contents-hash="76b80a4c00e758f3f5b1baf41e68e89d91cb87ed2e4de5b9c740d68b3b6f7799" dmcf-pid="4Rru29GkCr" dmcf-ptype="general">조사단은 SK텔레콤이 ▲계정정보 관리 부실 ▲과거 침해사고 대응 미흡 ▲중요 정보 암호화 조치 미흡 등 여러 문제점을 드러냈다고 판단했다.</p> <p contents-hash="eb8119cd237a4e4e38af549244b2d90ff301a2bcae741dc94b4842ad18c4549b" dmcf-pid="8em7V2HEWw" dmcf-ptype="general">이번 침해 사고 대응과정에서 SK텔레콤은 침해사고 신고 지연 및 미신고, 자료보전 명령 위반 등 정보통신망법 준수 의무 2가지를 위반했다고 조사단은 밝혔다.</p> <p contents-hash="555041fd9a09523e7963af6ed4c43795b76cb5f584c1af01d1944c87e85893a9" dmcf-pid="6dszfVXDlD" dmcf-ptype="general">구체적으로 SK텔레콤은 침해사고를 인지한 후 24시간 이내에 과기정통부 또는 KISA에 신고해야 하나, 24시간이 지난 후 신고했다. 또한 악성코드(타이니쉘 2종)에 감염된 서버를 발견하고도 침해사고 신고를 하지 않았다.</p> <p contents-hash="6f2bdcc8cc13678c0ae092e5e7eafc41372da858368b80c6e1ee75578baf5c44" dmcf-pid="PJOq4fZwlE" dmcf-ptype="general">또 과기정통부가 침해사고 원인 분석을 위해 자료 보전을 명령했으나 SK텔레콤은 서버 2대를 포렌식 분석이 불가능한 상태로 임의 조치 후 조사단에 제출했다.</p> <p contents-hash="73fb5dde3bc8167f01221cc1f95a4ed6cee4f8db56bc7226e0aabdca3c9fcedf" dmcf-pid="QiIB845rhk" dmcf-ptype="general">이에 따라 정부는 SKT에 과태료를 부과하는 한편 자료보전 명령 위반과 관련해 수사기관에 수사를 의뢰할 예정이다.</p> <p contents-hash="92892f77131a9b368f203e1887c1c0bc543321a563e515ec0ae2bcd88691af2a" dmcf-pid="xnCb681mCc" dmcf-ptype="general">이는 SKT 이용약관상 ‘회사의 귀책 사유’에 해당하는 것으로, 피해 이용자는 약정 기간 중에도 위약금 없이 계약 해지가 가능할 전망이다.</p> <p contents-hash="c0376558d1005308fd70c7f776d1a1a69631d62c04b22ec4f71787251b9071d8" dmcf-pid="yyqjmrMUTA" dmcf-ptype="general">위약금 면제와 관련해 정부는 SK텔레콤이 계정정보 관리 부실, 과거 침해사고 대응 미흡, 중요 정보 암호화 조치 미흡 등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 과정에서 SK텔레콤이 정보통신망법을 위반한 사실을 확인함에 따라 SK텔레콤 과실이 있다고 판단했다.</p> <p contents-hash="7d0a29d905d1f9f19e98b14bd6570f838be31cd88e4de1dae4e7096341f96dd3" dmcf-pid="WWBAsmRuWj" dmcf-ptype="general">정부는 조사 결과를 토대로 6월 26일부터 7월 2일까지 5개 법률 자문기관에 추가 자문을 의뢰했고, 이 중 4곳은 SK텔레콤의 과실을 인정하고 위약금 면제 규정이 적용 가능하다고 판단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62242bf7309622cda1cb420d22584abf5b62c16653192c997b8ec1e4e5370ab" dmcf-pid="GGKkIOdzWa"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SKT 침해 사고 원인ⓒ과학기술정보통신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4/dailian/20250704162225741llej.jpg" data-org-width="700" dmcf-mid="qY1eag9HhS"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4/dailian/20250704162225741llej.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SKT 침해 사고 원인ⓒ과학기술정보통신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7ef39f2001dfbf8a21cc6ae13e3c90cb7b94efec6bb04ff0af5cd19be2626f76" dmcf-pid="HH9ECIJqTg" dmcf-ptype="general">정부는 이번 침해사고에서 SK텔레콤의 과실이 발견된 점, SK텔레콤이 계약상 주된 의무인 안전한 통신서비스 제공 의무를 다하지 못한 점 등을 고려할 때, 정부는 SK텔레콤 이용약관 제43조 제1항 제4호의 '회사의 귀책 사유로 인한 해지 시 위약금 면제' 조항을 적용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p> <p contents-hash="e1261b957ba5c913d91ed172ba1755ddbd90e264eca1940bce391e90dc500d07" dmcf-pid="XX2DhCiBvo" dmcf-ptype="general">SKT가 정부의 '위약금 면제' 판단을 거부할 경우 전기통신사업법상 시정명령, 행정조치 등 다양한 조치를 하겠다고 밝혔다. 여기에는 통신사 등록취소도 해당된다.</p> <p contents-hash="7c527af1e7e67e03e9f9342aa3ccf4e4e19edf8853d5f18031ecae7fa1a6a851" dmcf-pid="ZZVwlhnbSL" dmcf-ptype="general">전기통신사업법 제92조 제1항 제2호에 따르면 정부는 전기통신사업자가 이용자의 이익을 현저히 해친다고 판단될 경우 시정명령을 내릴 수 있다. 만약 사업자가 이 시정명령을 이행하지 않을 경우, 법 제65조에 따라 사업정지나 등록취소 등 추가적인 행정조치가 가능하다.</p> <p contents-hash="90d2ca85396ec8993b02da67773d27e2eae74f044d61ff5ee1f1ac42850047b0" dmcf-pid="55frSlLKhn" dmcf-ptype="general">류 차관은 "시정명령 92조 제1항 제2호는 이용자가 이익을 현저히 해친다고 인정되는 경우 시정요구를 할 수 있다. (사업자가) 이행하지 않을 경우 (후속) 조치들이 이뤄진다"면서 "등록 취소 조항은 사용자가 이행하지 않으면 취할 수 있는 조치"라고 밝혔다.</p> <p contents-hash="9fa7f55d4972bb63dbd89fc2c61e6e9c328b7eb89f365a67b7c5e83b3652355d" dmcf-pid="tt8sTvg2hJ" dmcf-ptype="general">위약금 면제 범주에 대해서 유출된 2696만건이 해당이 된다고 봤다. 류 차관은 "침해사고로 번호이동한 가입자에게는 위약금 환불조치가 이뤄져야 한다. 나머지는 SKT가 구체적인 범위를 결정해야 한다"고 언급했다.</p> <p contents-hash="b1c97c7611ab9e96b9f50055dc297b08f592474453c164bb9aca766e39444382" dmcf-pid="FKLG3Fsdvd" dmcf-ptype="general">다만 위약금 면제 판단은 이번 사례에 한정되며 모든 해킹사고에 동일하게 적용되지는 않는다고 선을 그었다.</p> <p contents-hash="997c5d4e77210680ff762acd422d9606924e162668d7ea036991b5e22f02c41c" dmcf-pid="39oH03OJye" dmcf-ptype="general">이재명 대통령이 전날 위약금 면제를 것이 법률 검토 결과에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서는 선을 그었다. 앞서 강유정 대변인은 이 대통령이 "계약 해지 과정에서 회사 귀책 사유로 피해자들이 손해보는 일이 없어야 한다"고 말했다고 전했다.</p> <p contents-hash="39562ed848cce48674da134db81af7a4ec2ea0fc217bf4e6f001bd21f3253842" dmcf-pid="02gXp0IiTR" dmcf-ptype="general">류제명 과기정통부 2차관은 "조사는 6월 27일 완료됐으며 법률자문결과는 2일에 받았다. 타이트한 일정 속 검토 결과를 가지고 내부 입장을 지금까지 정했다"고 말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87404509f38029715d72a59f91f3334eae819ecd4a746e3d036f32dece9989b" dmcf-pid="UfN5uUhLWx"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SKT 위약금 면제 관련 약관ⓒ과학기술정보통신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4/dailian/20250704162225981ridc.jpg" data-org-width="700" dmcf-mid="B2tdNa2XCl"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4/dailian/20250704162225981ridc.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SKT 위약금 면제 관련 약관ⓒ과학기술정보통신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4630c57b157f3c3d36953f85297396d3a1dbf6dd97985d091b185d31ffccdfbd" dmcf-pid="u4j17uloSQ" dmcf-ptype="general">앞서 조사단은 이번 SK텔레콤 침해사고가 국내 1위 이동통신사의 침해사고, 유심정보 유출로 인한 휴대폰 부정 사용 등 국민 우려 증가, 악성코드의 은닉성 등을 고려해 전체 서버 4만2605대를 대상으로 BPFDoor 및 타 악성코드 감염여부에 대해 조사를 벌였다.</p> <p contents-hash="a2c11bfb459d47cc56f870ee18b25c3d6a4c02cbd862fa32bb03285c500b857a" dmcf-pid="z6cFqzval6" dmcf-ptype="general">총 28대 서버에 대한 포렌식 분석 결과, BPFDoor 27종, 타이니쉘 3종, 웹쉘 1종, 오픈소스 악성코드인 CrossC2 1종, 슬리버 1종 등 총 33종을 확인했다.</p> <p contents-hash="d48d4168d5e7936fb7b5d2f35f5a0d6a762ab143ae3cf3ba171dd3a6aac97fb8" dmcf-pid="qPk3BqTNT8" dmcf-ptype="general">유출된 정보는 전화번호, 가입자 식별번호(IMSI) 등 유심정보 25종이며 유출 규모는 9.82GB(기가바이트), IMSI 기준 약 2696만건이다.</p> <p contents-hash="ce083cae12111b0619869f3783bd67252bd111545f907505dc230659981e33f0" dmcf-pid="BQE0bByjC4" dmcf-ptype="general">추가 조사에 따른 유심 복제 피해 사례는 현재까지 발견하지 못했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20f1527dafe23d97f3725f2fb580b3d7ea2ab30ffee35b2cd0441bc2037ff673" dmcf-pid="bavVMx0CCf" dmcf-ptype="general">류 차관은 "유심정보보호서비스, 부정방지시스템(FDS) 고도화로 피해 우려를 차단하고 있다는 판단"이라며 "추가 조사에서도 피해를 발견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0696a4eeea17fab32bd90613be7f4bfc2e969c74823c91fc9f9be0a4fbe636e9" dmcf-pid="KNTfRMphSV" dmcf-ptype="general">이어 "IMEI 숫자가 유출됐다 하더라도 단말기가 복제되는 상황은 불가하다. 사업자들이 복제폰 네트워크 접속 차단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어 국민들께서 복제폰, 복제 유심으로 인한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된다"고 말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44e09e9f0ec65f138ea7a871e5a29c9a4b35d9ff0e25f4fbfada4942900cfbe" dmcf-pid="2AW8deuSh9"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4월 28일 서울 송파동의 한 SK텔레콤 직영점에서 유심을 교체하려는 고객들이 길게 줄지어 서있다.ⓒ데일리안 이주은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4/dailian/20250704162226191unqj.jpg" data-org-width="700" dmcf-mid="bmdT5ZDxhh"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4/dailian/20250704162226191unqj.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4월 28일 서울 송파동의 한 SK텔레콤 직영점에서 유심을 교체하려는 고객들이 길게 줄지어 서있다.ⓒ데일리안 이주은 기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8a7f256d50e346951f7e3d88dbbe34ce187efd667228f048235c5619ff59331f" dmcf-pid="VcY6Jd7vCK" dmcf-ptype="general">한편 이번 조사는 투입 인력 및 조사 대상 모두 상당한 규모로 나타났다. 최우혁 민관합동조사단장은 "조사단은 23명이며 (조사) SKT 서버 대수는 4만여대여서 점검 과정에서 KISA 인력 70여명이 투입됐다"면서 "따라서 강도 높은 조사라는 표현을 쓰고 있다"고 설명했다.</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상반기 中 스마트폰 시장 1.4% 성장…애플 판매량 1위" 07-04 다음 과기정통부 "SKT 위약금 면제 안하면 사업취소…해킹 피해는 없어" 07-04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