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천원→1만5천원, 이건 충격이다” 싼 맛에 먹던 ‘고등어’ 사라진다? [지구, 뭐래?] 작성일 07-04 21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3dVFKrMU7u">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1d5b3bf62393f94833d25af2f190b59cc106b165c8844adbb8f2159f42b97552" dmcf-pid="0Jf39mRu7U"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고등어구이.[게티이미지뱅크]"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4/ned/20250704184142627pisj.jpg" data-org-width="1280" dmcf-mid="2FqTFoKGzd"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4/ned/20250704184142627pisj.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고등어구이.[게티이미지뱅크]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eef67cbcdc94755c846995199d4193e0432f71c39c0e35c8a9825fff9c5c75b4" dmcf-pid="pQBX7c8tpp" dmcf-ptype="general">[헤럴드경제=김광우 기자] <strong>“생선 한 마리도 맘 편히 못 먹겠다”</strong></p> <p contents-hash="c31ceca9103e531e3daf4f8cdb59de6dfc4bac731db541a1fe3afbbc5f888193" dmcf-pid="UxbZzk6F70" dmcf-ptype="general">저렴한 가격에 비해 풍부한 영양소, 호불호 없는 맛까지. 명실상부 대표 ‘국민생선’이었던 고등어의 지위가 위태로워지고 있다.</p> <p contents-hash="c033eff7830df42ba1dc4e160a4e76a5d59be15a0a8d548cce3be63508163d44" dmcf-pid="uMK5qEP333" dmcf-ptype="general"><strong>바로</strong><strong>어획량 감소로 가격이 5년 새 두배가량 급등한 것. </strong>통상 만원도 채 하지 않던고등어구이였지만, 최근에는 1만5000원을 넘는 식당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p> <p contents-hash="e26d9e62f9d44036b1cfc390ae2dccf649172f3193864af31ae8507ab6b8411e" dmcf-pid="7R91BDQ07F" dmcf-ptype="general">원인은 기후변화로 인한 수온 상승. 한반도 해역은 세계 평균과 비교해 3배가량 빠르게 뜨거워지고 있다.</p> <p contents-hash="1868c501ce3fbecc3951a35b6598fb01d808d4fc3520a180b5387cf2f7fdfcbe" dmcf-pid="ze2tbwxp0t" dmcf-ptype="general">이같은 현상이 지속될 경우 명태, 오징어, 갈치에 이어 <strong>마지막 남은 ‘국민생선’ 고등어까지 우리나라서 자취를 감출 것으로 보인다.</strong></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5ba96b872be7c5590baa2a99956f590f9aa4337edc7f5786d4d5234d964e6985" dmcf-pid="qdVFKrMUp1"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한 식당의 생선구이 메뉴판.[네이버 블로그 갈무리]"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4/ned/20250704184142896xheg.png" data-org-width="333" dmcf-mid="VVNVdGc60e"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4/ned/20250704184142896xheg.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한 식당의 생선구이 메뉴판.[네이버 블로그 갈무리]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729f9bbebb90aa235f6ea0ca74b131e006b5f62e60ae5c6ff3dafbd4c6f55bdd" dmcf-pid="BJf39mRuU5" dmcf-ptype="general">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2025년 7월 기준 국산 염장 고등어 한 손(2마리)의 소매가격은 6800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와 비교해 36%, 평년(지난 5년 평균)과 비교해 71.6% 증가한 가격이다. <strong>2020년대 들어 3000원대에서 6000원대까지 치솟은 셈.</strong></p> <p contents-hash="01d4da9be75551431a0364aff4a6a0b96a7c32a5a40df0a7a750a868282fc493" dmcf-pid="bi402se77Z" dmcf-ptype="general">여기에는 수산물 생산이 줄어드는 어한기(5~6월)의 영향이 작용했다. 하지만 한반도 해역의 고수온 현상이 거세지며 기존에 많이 잡히던 생선들의 어획량까지 줄자, 가격 상승세가 두드러졌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6328ed6951eae83b5732e161c91e795206921595e850b7e7693365d6be1f988" dmcf-pid="Kn8pVOdzFX"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기후변화로 인한 고수온 영향으로 고등어와 조기, 오징어 등 수산물 가격이 큰 폭으로 오른 가운데 3일 서울의 한 대형 마트에 고등어가 진열돼 있다.[연합]"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4/ned/20250704184143134vppt.jpg" data-org-width="1280" dmcf-mid="fwDQgtme0R"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4/ned/20250704184143134vppt.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기후변화로 인한 고수온 영향으로 고등어와 조기, 오징어 등 수산물 가격이 큰 폭으로 오른 가운데 3일 서울의 한 대형 마트에 고등어가 진열돼 있다.[연합]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5f8396959016b6d124db5a675b4ccee2023a781bfa32b17382312a34954ba2b2" dmcf-pid="9L6UfIJquH" dmcf-ptype="general">실제 관측 이래 가장 더웠던 해로 분류되는 지난해, 우리나라 연근해 어업령은 84만1000톤으로 1년 만에 11.6%가량 줄어들었다. <strong>같은 기간 고등어 어획량은 17.4% 줄었다.</strong> 물가 안정을 위한 비축용 고등어 확보도 쉽지 않은 상황이 반복되고 있는 셈.</p> <p contents-hash="994991b9cab491932347b261d559b25a9096f1bc50e9b1b2a905935bfd040f42" dmcf-pid="2L6UfIJqFG" dmcf-ptype="general">기온 상승의 여파는 올해까지 이어지고 있다. 통계청 ‘6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수산물 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7.4% 이상 상승했다. 이는 2023년 3월(7.4%)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조기와 오징어도 각각 10.6%, 6.3%의 가격 상승세를 보였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842c908d248f9fb61d3497a27161dbfb0ab281677dc434aea3f4794f4b794df" dmcf-pid="VoPu4CiBpY"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고등어구이.[헤럴드DB]"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4/ned/20250704184143491bwau.jpg" data-org-width="502" dmcf-mid="4NBX7c8tUM"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4/ned/20250704184143491bwau.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고등어구이.[헤럴드DB]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1a9f9f96335e9f2e67ae04b7e69ab0c950256eaacbe7088ffd65d2394b8ed99c" dmcf-pid="fgQ78hnb0W" dmcf-ptype="general">수산물의 상품성도 악화하고 있다. 적정 서식 수온 범위를 넘어서며, 성장에도 영향을 준 것. 실제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수산업관측센터에 따르면 올해 1~5월 고등어 누적 생산량은 지난해에 비해 증가했다. 하지만 <strong>내수용으로 취급되는 중대형 크기의 고등어가 줄어들며, 소비자가 체감하는 가격이 올랐다.</strong></p> <p contents-hash="03dc7e9ae6f577954c426d5ea6f8bef3632469ee52f5a63c2d6bb8e01b12422b" dmcf-pid="4axz6lLKUy" dmcf-ptype="general">문제는 해수 온도 상승 속도가 거세지고 있다는 것. 한국의 경우 유독 심각한 수준이다. 국립수산과학원에 따르면 1968년부터 2023년까지 56년간 우리나라 해역 표층 수온은 1.44도 상승했다. 같은 기간 <strong>세계 평균 수온이 0.7도 상승한 것과 비교하면 2배 이상 빠르게 뜨거워진 셈이다.</strong></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3009cd1e8a9aca0a6d5a3ed55650acc77086f480e1702ad26fe45563bfadac2" dmcf-pid="8NMqPSo9zT"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서울 시내의 한 대형마트에 진열된 고등어.[연합]"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4/ned/20250704184143739bpte.jpg" data-org-width="1280" dmcf-mid="89ZOGRUlpx"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4/ned/20250704184143739bpte.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서울 시내의 한 대형마트에 진열된 고등어.[연합]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9d8c3af166b5386c2db89c125b4c88b5718ff79af745ed6b136b156f4fcbe415" dmcf-pid="6jRBQvg2uv" dmcf-ptype="general">특히 한류성 어종이 잡히는 동해의 수온이 가파른 속도로 상승했다. 1968년부터 2017년까지 동해 표층 수온은 1.7도 올랐다. 같은 기간 남해가 1.4도, 서해가 0.3도 증가한 것과 비교하면, 최대 5배 이상 빠르게 오른 셈이다. 오징어, 명태 등 한류성 어종이 빠른 속도로 우리나라 해역에서 자취를 감춘 이유다.</p> <p contents-hash="a01f2d3fc63ede8c374bbdab6f084bfa82b0ddd42e346c311aedf4733e656384" dmcf-pid="PAebxTaVUS" dmcf-ptype="general">심지어 국립수산과학원은 우리나라 연근해 수온이 2100년까지 지속해서 상승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실제 2100년 기준 우리나라 해역 3km 내 표층 수온은 지금보다 평균 4도가량 상승할 것으로 예측됐다. 동해는 최대 5도까지 상승할 것으로 추산됐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f056a502937b759995fbb50dbfa13b60eb1e813ba7302f95b637707f210814ef" dmcf-pid="QcdKMyNfUl"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강원 강릉시 주문진항 어판장에서 어민들이 채낚기 어선이 잡아 온 오징어를 선별해 상자에 담고 있다. [연합]"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4/ned/20250704184144125kryh.jpg" data-org-width="1280" dmcf-mid="tIzGUjf57z"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4/ned/20250704184144125kryh.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강원 강릉시 주문진항 어판장에서 어민들이 채낚기 어선이 잡아 온 오징어를 선별해 상자에 담고 있다. [연합]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0a3d35cee2ab08d93c4ea870e84a68cddfe4639db80fbedb0fd0c0598e0d9f53" dmcf-pid="xkJ9RWj40h" dmcf-ptype="general">결국 한국의 어업 환경이 완전히 바뀔 수밖에 없다는 것. 이미 어획량이 크게 줄어든 명태, 오징어, 갈치 등에 이어 <strong>마지막 남은 ‘국민생선’ 고등어마저 씨가 마를 가능성이 크다. </strong>그도 그럴 것이, 이미 고등어는 기존에 서식하던 남해·제주 어장을 떠나 동해에서 잡히는 사례가 늘고 있다.</p> <p contents-hash="7970629bef8e07fc231855e14f33ce143b0fa9d4fc2ab98fda09c1ad515cb08f" dmcf-pid="y7XsYMphFC" dmcf-ptype="general">한편 정부는 오는 7월부터 12월까지 노르웨이 등에서 수입하는 고등어 1만톤에 대해 기존 관세(10%)를 0%로 낮추기로 했다. 소비자 부담을 낮춰 급한 불을 끄겠다는 취지다. 아울러 장기적으로 어업 환경 변화에 따른 대책도 시행 중이다. 고수온에 강한 인공종자 생산, 총허용어획량 관리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p> <p contents-hash="fcff3f40b2a3edbce4a4d31cf75be6abefd77a97390fc51a0fa42cdb9a84bb80" dmcf-pid="WzZOGRUl7I" dmcf-ptype="general">해양수산부 관계자는 “기후변화로 인한 고수온 영향으로 생육이 부진해 상품성 있는 수산물이 덜 잡히거나 어군이 기존과 다른 곳에 형성돼 어획량이 줄어들었다”며 “국내 양식장 폐사를 줄이기 위해 비상 대책본부를 가동하는 등 예방 체계를 강화하기로 했다”고 말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fe54c879c3cae8f1a0531b6f66812dd37fa7e1787977839af8ca35dbb57b22a5" dmcf-pid="Yaxz6lLK3O"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4/ned/20250704184144469cpjz.jpg" data-org-width="1280" dmcf-mid="FaGryQ3I37"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4/ned/20250704184144469cpjz.jpg" width="658"></p> </figure>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걸스데이' 혜리, 게임 중독인 유라에 분노.."인생의 반이 게임"[혤스클럽] 07-04 다음 [생성 AI 길라잡이] 인공지능이 작성한 표절 논문 찾아내는 무하유 ‘GPT 킬러’ 07-04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