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 닥터 윗슨"…국제우주정거장서 우주인이 소개한 韓 초등학생 그림 작성일 07-05 11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3d008K5ry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348d7f71a06fa562e3e74bb0d84233bd3bfa0d4a65636db51449679bcb05c26" dmcf-pid="0Jpp691my0"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5일 국제우주정거장(ISS)에 있는 페기 윗슨 박사가 연세대 미래교육원 대강당에서 진행된 생중계 프로그램 '휴먼스 인 스페이스(Humans In Space, HIS) 유스(Youth) 수상작 우주정거장 그림 발표'에서 인사하고 있다. 이병구 기자 2bottle9@donga.com"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5/dongascience/20250705204847942grsq.jpg" data-org-width="680" dmcf-mid="1M66Ni2Xv7"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5/dongascience/20250705204847942grsq.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5일 국제우주정거장(ISS)에 있는 페기 윗슨 박사가 연세대 미래교육원 대강당에서 진행된 생중계 프로그램 '휴먼스 인 스페이스(Humans In Space, HIS) 유스(Youth) 수상작 우주정거장 그림 발표'에서 인사하고 있다. 이병구 기자 2bottle9@donga.com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e2679f76542f51ac2b091f275b58bafd24af1e517ed907d4fa0dafd4a50e3a7c" dmcf-pid="piUUP2tsW3" dmcf-ptype="general">"헬로, 닥터 윗슨!"</p> <p contents-hash="c28768b2a2c2a381dc751544af79343dc645382e6cd4312f9f966b830683671e" dmcf-pid="UnuuQVFOhF" dmcf-ptype="general"> 5일 오후 국제우주정거장(ISS)과 연결된 생중계에서 미국 우주기업 액시엄스페이스(Axiom Space)의 'AX-4' 임무의 사령관인 페기 윗슨 박사가 모습을 드러내자 연세대 미래교육원 대강당에 모인 사람들이 한목소리로 인사를 외쳤다.</p> <p contents-hash="639568cd187335fa25295a2bb540547b6f2a2b682265fbb1a83714579febc931" dmcf-pid="uMttVqHEWt" dmcf-ptype="general"> 지구에서 약 400km 떨어진 지구저궤도를 도는 ISS에 있는 윗슨 박사는 반가워하며 한국 초등학생들이 그린 그림 20점을 하나씩 보여주며 소개했다. 우주 엔지니어가 트롬본을 연주하고 외계인들이 음악에 환호하는 그림을 보며 윗슨 박사는 "아름답고 색감이 훌륭하다"라고 칭찬했다.</p> <p contents-hash="c64464dc569ea765dda7afc71eab4de5c31fd0eab78e9662d0afccd7c35db24f" dmcf-pid="7RFFfBXDy1" dmcf-ptype="general"> 다양한 행성의 돌을 수집해 전시한 박물관 그림, 인간과 외계인이 축구를 하고 파스타를 먹으며 즐기는 그림도 소개됐다. 페기 박사는 그림에 나오는 음식을 먹는 장면을 보고 "우주에서 음식을 먹을 때는 소스가 중요하다"고 자신의 경험을 덧붙이기도 했다.</p> <p contents-hash="05fab23c6ac46a4ecbe75aabc9f83225ae090d1126ced79787bf91b2b5ed0ea4" dmcf-pid="ze334bZwy5" dmcf-ptype="general"> 윗슨 박사는 미국인 중 최장이자 전세계 여성 최장 우주 체류기간을 기록한 우주비행사다. 두 차례나 우주정거장 사령관직을 수행한 유일한 여성이기도 하다. 우주 유영을 10회 수행하며 여성 최다 우주유영 기록을 세웠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eb4ff32ed3060e1c8f5618dcc1d3cb1f5688773ad738354c7834dde466eaeaf" dmcf-pid="qd008K5rhZ"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5일 연세대 미래교육원 대강당 앞에 HIS Youth 수상작으로 선정된 그림이 전시돼 있다. 이병구 기자 2bottle9@donga.com"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5/dongascience/20250705204849454evks.jpg" data-org-width="680" dmcf-mid="tdzzM40CTu"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5/dongascience/20250705204849454evks.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5일 연세대 미래교육원 대강당 앞에 HIS Youth 수상작으로 선정된 그림이 전시돼 있다. 이병구 기자 2bottle9@donga.com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74bab613be0dacb6f0ff24d6110d5f17711aa220298b7b5e231a01a173d20b1a" dmcf-pid="BJpp691mCX" dmcf-ptype="general">이번 특별 생중계 프로그램은 어린이와 청소년이 참가하는 과학경진대회인 '휴먼스 인 스페이스(Humans In Space, HIS) 유스(Youth)'의 일환으로 보령과 한국과학창의재단이 공동으로 추진했다.</p> <p contents-hash="2103e6522b6e6f0bc12c9c554d242fa48c32e09cf44814e673c0bc36d41354df" dmcf-pid="biUUP2tsyH" dmcf-ptype="general"> 이날 그림 소개 과정에서 소통이 원활하지 않아 윗슨 박사와 어린이들의 현장 질의응답은 하나만 진행돼 아쉬움이 남았다.</p> <p contents-hash="c6f20a059cd7dbd50c2a9bd1be1616fdaffd2567ac3cb735846c617e68a0a70d" dmcf-pid="KnuuQVFOWG" dmcf-ptype="general"> 이유건 어린이가 우주정거장에서 윗슨 박사가 하는 일을 묻자 윗슨 박사는 "이번 우주임무의 사령관을 맡고 있고 2주간 과학 실험 등을 진행한다"고 답변했다.</p> <p contents-hash="3b9316db4f1f2e549e3e1f8283d8536589c2c8078873ad28ad71bfdce0c93eb3" dmcf-pid="9nuuQVFOSY" dmcf-ptype="general"> 김정균 보령 대표는 "이런 행사는 미국이나 ISS에 파트너로 참여한 국가 등에서는 자주 하는 일"이라며 "한국에서도 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느꼈다"고 말했다. </p> <p contents-hash="ef111027817a86d66882d2411849cb228ee01ef0e02ac5d56313c5b36ab7d11e" dmcf-pid="2L77xf3ISW" dmcf-ptype="general"> 이어 "우리 아이들의 그림을 우주에 보내기 위해 다른 나라, 남의 손을 빌리는 과정을 겪었다"며 "몇 년 후가 될지는 모르겠지만 한국 땅에서 로켓을 쏘고 한국이 확보한 우주 공간에서 한국 우주비행사가 그림을 소개하도록 하는 게 제게 주어진 임무가 아닌가 한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79b23e20a6098bd0190b3ef076b27dc10304facbfb68bfd1719f1b297c16d01e" dmcf-pid="VozzM40Cly" dmcf-ptype="general"> 김 대표는 "아이들의 그림이 발사된 39번 A 발사대는 아폴로 11호가 발사됐던 발사대"라며 "2025년 7월 5일은 대한민국의 꿈이 우주를 향해 큰 한걸음을 내딛은 날로 기억될 것"이라고 말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45a1852b7262f43001d70ed0bcc66c500186dfcaa81a817cae361c02fcbd8a3" dmcf-pid="fgqqR8phWT"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5일 연세대 미래교육원 대강당 앞에 HIS Youth 수상작으로 선정된 그림이 전시돼 있다. 이병구 기자 2bottle9@donga.com"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5/dongascience/20250705204850968glob.jpg" data-org-width="680" dmcf-mid="FZffoebYlU"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5/dongascience/20250705204850968glob.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5일 연세대 미래교육원 대강당 앞에 HIS Youth 수상작으로 선정된 그림이 전시돼 있다. 이병구 기자 2bottle9@donga.com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87f97549073955fd9283e9308ba2738ea8c579042e6beb605d80637522405462" dmcf-pid="4aBBe6UlWv" dmcf-ptype="general">이날 행사는 지난 1회 대회에서 초등부를 대상으로 열린 그림 공모전 ‘우주정거장에서의 하루’에서 최종 선정된 20점의 작품이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소개되는 자리였다. 작품들은 미국의 우주기업 액시엄 스페이스의 ‘Ax-4’ 미션을 통해 국제우주정거장(ISS)에 도착했다. </p> <p contents-hash="821c80e701cf220713bcad3e717b2ae2536854d49888a4f39cb35a341af65a69" dmcf-pid="8NbbdPuSlS" dmcf-ptype="general">Ax-4 미션은 액시엄 스페이스의 네 번째 민간 우주비행 프로젝트로, 작품들은 스페이스X가 개발한 발사체 팰컨9에 실려 현지시간으로 25일 우주로 향했다. </p> <p contents-hash="c832cfebc3d158cfab552bf11671ebacbbd6c27e53e738e344a5ff800ed40a19" dmcf-pid="6jKKJQ7vWl" dmcf-ptype="general">우리나라 물품이 ISS에 운송된 것은 우리나라 최초의 우주인 이소연 박사가 2008년 우주에 간 뒤 17년 만이다. ISS에서 정식으로 발표되는 최초의 국내 예술 작품이기도 하다. </p> <p contents-hash="3566a6fb7b970a125881878626aea56b61f5e9cf63e3201ae1c7e085570a7b75" dmcf-pid="PA99ixzThh" dmcf-ptype="general">이번 행사에는 윤영빈 우주항공청 청장, 이태식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회장, 이상철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원장, 윤동섭 연세대학교 총장, 서영수 KT SAT 대표, 윤학순 스페이스린텍 대표 등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p> <p contents-hash="28a5e9521b1a0eccd1f7c180ea5537b2cc0a55e6f2678d0a771d7c3565606e21" dmcf-pid="Q1kkyCaVCC" dmcf-ptype="general">정우성 한국과학창의재단 이사장은 개회사에서 “우주 산업은 국가를 넘어 민간 기업과 개인까지 참여하는 거대한 생태계로 확장되고 있다”며 “이번 행사를 통해 우리나라가 우주 강국으로 도약하는 역사적인 출발점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p> <p contents-hash="1cda4008134fb0e297e8180846342810a595eb0d8b5c7748c13c5dc716848cce" dmcf-pid="xtEEWhNflI" dmcf-ptype="general">윤영빈 우주항공청 청장은 축사를 통해 “이번에 선정된 그림들은 미래를 향한 상상력, 인류에 도전 정신, 우주를 향한 꿈이 담겨 있다”며 “여러분의 꿈과 상상이 더 멀리, 높이 날 수 있도록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고 우주가 여러분 가까이에서 펼쳐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3c73af77aa1b3d590dd5f4aee9cb1bb66e710834a903f4b53403d2c632f1998c" dmcf-pid="yozzM40CvO" dmcf-ptype="general">이소연 박사도 화상 연결을 통해 축하 인사를 건넸다. 이 박사는 “우주에 다녀온 지 17년이나 됐는데 우리나라 학생의 그림이 우주로 올라간다는 게 흥분되고 설렌다”며 “여러분이 대한민국 우주의 미래이고 우리나라 제2의, 제3의 우주인이 우주에 간다면 그중 한 명은 여러분이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했다. </p> <p contents-hash="84f09b0ebd23386aaf0b880d5e7dee8fe629c5170f6b406d8ae3a75abe44b99d" dmcf-pid="WgqqR8phSs" dmcf-ptype="general">이날 공개된 특별 축하 영상에서 한국계 우주비행사 조니 킴은 어린이들에게 "꿈꾸는 것을 멈추지 말고 계속 반짝이길 바란다"며 "언젠가 별들 사이에서 만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ab2ef000f97146e31be9493fcbaa023718039c21a4ccd9fa9c91a759535d5a21" dmcf-pid="YaBBe6UlWm" dmcf-ptype="general"> 김정균 보령 대표는 "올해는 단순히 우주정거장으로 그림을 보냈다면 앞으로 아이들의 실험물이나 그림을 달로 보내는 것도 머지않아 가능할 거라 생각한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d7309aa6d14c7a369a8acb363afd29a54d8f187eb46e38aa350d18511ae2869d" dmcf-pid="GNbbdPuSSr" dmcf-ptype="general">[이병구 기자,박연정 기자 2bottle9@donga.com,yjyj0829@donga.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동아사이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강소라 "'써니' 동창회 주최, 심은경이 가장 선배님" (아임써니땡큐) 07-05 다음 '카운트다운, 강력특수팀, 금장 시계' 강력한 반격 예고한 박보검 (굿보이) 07-05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