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서비스 변신 중…"내 취향에 맞춤형 뉴스·영상 뜬다" 작성일 07-06 28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AI로 맞춤형 콘텐츠 배치…게임으로 시선 끌기도</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pffHuTkPF2">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4d5a46673f494a91bcd60d04ff73bc1be5886101f5ccdb4043b1e30828a799f3" dmcf-pid="UPP1BGrRF9"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검색어 입력 시대 끝?…AI 챗봇 고속성장 중(CG) [연합뉴스TV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6/yonhap/20250706073503370tehy.jpg" data-org-width="1024" dmcf-mid="0DCdcQ7vuV"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6/yonhap/20250706073503370tehy.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검색어 입력 시대 끝?…AI 챗봇 고속성장 중(CG) [연합뉴스TV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4d96d69826b48ed469cf43ab48318d0612734a488ab683cf936ae2df3c9414f3" dmcf-pid="uQQtbHmezK" dmcf-ptype="general">(서울=연합뉴스) 김현수 기자 = 딱딱하게 묻는 말에만 답변하는 검색 서비스로는 이용자들의 시선을 확 잡아 끌 수 없는 시대가 됐다.</p> <p contents-hash="93158c85210a3b2bbc6eb824811a76a54e434e1688c890b7ed1b36b735a3597f" dmcf-pid="7xxFKXsdFb" dmcf-ptype="general">내로라하는 플랫폼 기업들이 인공지능(AI) 기술과 각양각색의 콘텐츠를 활용해 맞춤형 서비스를 끊임없이 제공하려는 이유다.</p> <p contents-hash="5fcef5195543304e5f05502b3044abb99bd2307044407e920dd8c07f4cf0aa6a" dmcf-pid="zMM39ZOJ3B" dmcf-ptype="general">6일 정보통신기술(ICT)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는 일부 이용자를 대상으로 모바일 검색 환경에서 맞춤형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A/B 테스트를 진행 중이다.</p> <p contents-hash="3a49938ef832f99f4bb32ea8e731bf66ec3a084d9f5ee8ea729a546a9654cb4b" dmcf-pid="qRR025Ii0q" dmcf-ptype="general">A/B 테스트는 두 가지 버전(A와 B)을 비교해 서비스 이용 행태 등을 측정하는 것을 말한다.</p> <p contents-hash="d545a81db224a76b1aa6ad65a9a27bd3ed9d254c4dc1857f46ff3025324c0f37" dmcf-pid="BeepV1CnFz" dmcf-ptype="general">네이버는 이용자가 동일한 검색어를 입력할 경우, 자주 본 콘텐츠 유형이 먼저 표시되는 기능을 시험하고 있다.</p> <p contents-hash="ce714a0cba9ebcf7e3b00f72525b89b5188b7ae46bab00431a67a32fc8db6900" dmcf-pid="bddUfthLz7" dmcf-ptype="general">이용자가 평소 뉴스나 동영상 중 더 자주 조회하는 분야를 분석해 해당 유형의 콘텐츠를 검색 결과 상단에 먼저 표시하는 원리다.</p> <p contents-hash="e2d4d6aa8c430fad3c0dc2d17c3ac191919aa8a6739bca771b5a42d8219d13b3" dmcf-pid="KJJu4FloUu" dmcf-ptype="general">이에 따라 야구선수 '김혜성'을 검색할 경우, 어떤 이용자는 뉴스가 먼저, 다른 이용자는 경기 하이라이트 영상이 먼저 검색 상단에 노출된다. 자주 조회한 콘텐츠가 바뀐다면 먼저 표시되는 콘텐츠도 함께 변한다.</p> <p contents-hash="e09b32b23941e478b0f3303b2fec9aae2d7445b463d4807e425df9bb82ee7879" dmcf-pid="9EE8n91m0U" dmcf-ptype="general">네이버 관계자는 "AI 기술을 바탕으로 이용자에게 개인화된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고자 꾸준히 노력 중"이라고 전했다.</p> <p contents-hash="a976f0630b6a7333f5127cba06cff07b73d8832e5de674825fcec344dccdddf1" dmcf-pid="2DD6L2ts7p" dmcf-ptype="general">네이버는 '찾는 검색'을 넘어 '보는 재미'로 통합 검색을 확장하기 위해 반복되는 정보는 줄이고, 엔터·스포츠·게임 등을 주제로 블로그, 카페, 숏폼 서비스 '클립' 등 사용자가 궁금해할 정보 위주로 검색 결과를 노출하는 테스트도 진행 중이다.</p> <p contents-hash="348868728501e265c849901798a6ed178bf7358c6d666722c106fd3ed4b7c3b8" dmcf-pid="VwwPoVFO30" dmcf-ptype="general">포털 다음도 모바일 환경에서 이용자들의 발길을 끌기 위해 고심하고 있다.</p> <p contents-hash="22ab7a2451eb43dda66838689733633b5d45f617ae9e01ac1e681f59dd75086d" dmcf-pid="f11DvjQ033" dmcf-ptype="general">다음은 최근 모바일 첫 화면에서 게임을 즐길 수 있는 '게임 온 다음' 서비스를 공개했다.</p> <p contents-hash="610d29361474c59610456d5ef78585cf124f23571a92cbb6f20a8f3623732deb" dmcf-pid="4ttwTAxpFF" dmcf-ptype="general">모바일 다음 뉴스탭과 펀(FUN)탭에서 시사 상식 퀴즈, 카드 뒤집기 게임 기억력 테스트 등 3가지 게임을 즐길 수 있다.</p> <p contents-hash="e5608e09c081181a347a5ed5f4371aa79ad780a94c564393dd2f4a4b44dddbdd" dmcf-pid="8FFrycMUpt" dmcf-ptype="general">글로벌 기업들은 텍스트 기반 검색에서 나아가 이미지 등 다양한 기능을 검색 서비스에 도입하고 있다.</p> <p contents-hash="5d8eaa009d0853ce08743e84445b6c0de93c7600ca740807d6fff4dd800cba60" dmcf-pid="6CCdcQ7vF1" dmcf-ptype="general">구글코리아에 따르면 이미지 기반 검색 기능 '구글 렌즈'를 통해 올해 1천억건 이상의 시각 검색이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p> <p contents-hash="87a72057b7a043c13e86a33d7c29149ceb6b6b6593303f076b889ca8eefd41a4" dmcf-pid="PhhJkxzTz5" dmcf-ptype="general">구글 렌즈와 연계된 '서클 투 서치' 기능은 이용자가 화면 속 관심 요소에 동그라미를 그리거나 강조 표시를 하면 즉시 검색이 이뤄진다.</p> <p contents-hash="0f00ca6d415d605ece946a9f178604a4d799aca3906695066ca4df481d73e780" dmcf-pid="QlliEMqy0Z" dmcf-ptype="general">IT 업계 관계자는 "검색이 원하는 답변을 얻는 데서 나아가 다양한 콘텐츠로 유입될 수 있는 통로가 되고 있다"며 "검색 시장 경쟁도 한층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전했다.</p> <p contents-hash="7592c169702876169cb7727cb33da9f6f0f40faed28798ac6f2e8526121cdeac" dmcf-pid="xSSnDRBW3X" dmcf-ptype="general">hyunsu@yna.co.kr</p> <p contents-hash="ad4c38e718c3b208eddcedb4c19b3ef5c2aeb143b278b6b5d4e5b302c8d86b01" dmcf-pid="WPP1BGrRUG" dmcf-ptype="general">▶제보는 카톡 okjebo</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송창식, 가슴으로 낳은 딸·아들 있었다…"처형이 입양 못한 子" ('가보자고5') 07-06 다음 방탄소년단 진, 스타플래닛 '6월 아이돌 랭킹 1위'..4개월 연속 '기부요정' 07-06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