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리측정 정밀도, 양자물리학 허용 한계치 도달" 작성일 07-06 14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표준연, 4만분의 1초에 0.34나노미터 측정 성공…현존 장비 구현 세계 최고 수준</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yzMDwebYnt"> <p contents-hash="ba62d96de9b7a12a6b6539625eac09866da18db672a0b41a0376f58f133e1d4e" dmcf-pid="WqRwrdKGe1" dmcf-ptype="general">(지디넷코리아=박희범 기자)<span>양자 한계 정밀도를 가진, 현존 장비로는 최고 수준의 길이 측정 시스템이 개발됐다.</span></p> <p contents-hash="4f8cdc442ebe7c7f889f5b9392e9f379c13a9b0e92d4550a99756bb732ec713d" dmcf-pid="YBermJ9Hi5" dmcf-ptype="general">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원장 이호성)은 길이형상측정그룹이 양자물리학이 허용하는 한계 수준의 정밀도를 갖는 길이 측정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6일 밝혔다.</p> <p contents-hash="330932d11143d11f0adb00b7571c0619f2bc96dea9bd4c33e6bcc4aabac01621" dmcf-pid="Gbdmsi2XRZ" dmcf-ptype="general">야외 환경에서 구동할 수 있을 정도로 이용이 간편, 차세대 길이 측정 ‘기준’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연구진 설명이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534f9b4760f8824c5bb00f270666c975a672ca631bea0ec5cd316006c7dbbcef" dmcf-pid="HKJsOnVZJX"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한국표준과학연구원 길이형상측정그룹 연구팀이 세계 최고 수준의 길이측정 시스템을 개발했다. 왼쪽에서 세번째가 연구책임자인 장윤수 선임연구원.(사진=KRISS)"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6/ZDNetKorea/20250706075134103hzlq.jpg" data-org-width="640" dmcf-mid="P0s1tIg2e0"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6/ZDNetKorea/20250706075134103hzlq.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길이형상측정그룹 연구팀이 세계 최고 수준의 길이측정 시스템을 개발했다. 왼쪽에서 세번째가 연구책임자인 장윤수 선임연구원.(사진=KRISS)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6fa8d3d9c28290891792605ef4e3cd49c3c2dd1191ad2caade0bf8196da5de85" dmcf-pid="X9iOILf5iH" dmcf-ptype="general">현재 가장 정확한 길이 측정 장비는 1미터(m)의 기준이 되는 ‘길이측정표준기’이다. 이는 단파장 레이저 간섭계를 이용해 길이를 측정한다. 1~10나노미터(㎚, 10억 분의 1 m) 수준의 정밀한 측정이 가능하다.</p> <p contents-hash="e3ecf9e5fcae321a6d63fa501ab27476781742a8939917fc21c72d4bb6c27f63" dmcf-pid="Z2nICo41JG" dmcf-ptype="general">다만, 이 측정기는 단파장 레이저 파장 범위가 좁아 한 번에 측정할 수 있는 길이가 매우 제한적이다.</p> <p contents-hash="077629206383428376c0ebf0dc4f5265368bec1ed275e8db20b176592ab2c2ce" dmcf-pid="5VLChg8tRY"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광 주파수 빗(Optical Frequency Comb) 간섭계’를 이용해 절대길이 측정 시스템의 정밀도를 길이측정표준기 수준으로 높이는 데 성공했다.</p> <p contents-hash="e4f2469d9d76eef562c828086ad446db83228d1059c5a1626f4d4df572e2e7dc" dmcf-pid="1fohla6FiW"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이를 위해 절대길이 측정 시스템에 광 주파수 빗 간섭계를 적용하는 방식을 새로 고안했다. 광 주파수 빗은 피아노 건반처럼 일정한 간격을 갖는 수천 개의 주파수로 구성된 빛의 다발이다. 기존 간섭계의 광원들과 달리 광 주파수 빗은 파장 범위가 넓으면서도 파장의 배열은 매우 일정한 간격으로 정돈되어 있어 긴 거리도 한 번에,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p> <p contents-hash="34793145cee104f120695b9f502d7bd55883a511ff3126b5da0147d93a79472f" dmcf-pid="t4glSNP3iy" dmcf-ptype="general">이번에 개발한 ‘광 주파수 빗 분광 간섭계 기반 절대길이 측정 시스템’은 길이측정표준기의 정밀도와 절대길이 측정 시스템의 간편함을 고루 갖췄다.</p> <p contents-hash="ca51d6f697927d2b122719ec5c0dfb3f9c4fded7e11da9ef56460bf27b790d49" dmcf-pid="F8aSvjQ0LT" dmcf-ptype="general">시스템 정밀도는 0. 34나노미터로, 현존 장비 중 최고 수준이자 양자물리학에서 도달 가능한 한계 수준이다. 측정 속도는 4만분의 1초인 25마이크로초(μs, 100만 분의 1초)로 야외 환경에서 구동할 수 있을 만큼 빠르고 간편해 국내 첨단 산업 현장의 길이 측정 정밀도를 한층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p> <p contents-hash="b94198b5ecc11c1ffb241c738ae19364e6d806ff94a09dce2570b5527fdad787" dmcf-pid="38aSvjQ0Mv" dmcf-ptype="general">연구진은 이번에 개발한 시스템을 차세대 길이측정표준기로 등재할 수 있도록 장비의 측정 불확도를 평가하고 성능을 지속 개선하는 등 후속 연구를 이어갈 예정이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72c48b07205f46a54b1933a77838c409adc843d514d613fbaa2b730fbde73c8" dmcf-pid="06NvTAxpMS"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KRISS가 개발한 광 주파수 빛 분광 간섭계 기반 절대길이 측정 시스템 모식도.(사진=KRISS)"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6/ZDNetKorea/20250706075135368mnhh.jpg" data-org-width="500" dmcf-mid="Qxs1tIg2d3"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6/ZDNetKorea/20250706075135368mnhh.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KRISS가 개발한 광 주파수 빛 분광 간섭계 기반 절대길이 측정 시스템 모식도.(사진=KRISS)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5f304237c00e620e2d0eaa9907029e6b0be7bb2e999bc159cd61ee9a0e72ebcb" dmcf-pid="pPjTycMUMl" dmcf-ptype="general">KRISS 길이형상측정그룹 장윤수 선임연구원은 “AI반도체·양자기술 등 미래 산업의 경쟁력은 나노미터 단위의 거리를 정확히 측정하고 제어할 수 있는지에 달렸다”라며 “이번 성과는 우리나라가 차세대 길이표준을 제시하는 선도국으로 자리매김하는 계기가 될 것”라고 말했다.</p> <p contents-hash="4fa87a706b4e95f4e266c3a0088680e201cc51b6148216ebdca44d93776bb8b8" dmcf-pid="UQAyWkRunh" dmcf-ptype="general">연구성과는 KRISS 기본사업의 지원을 받았으며 광학 분야의 세계적 학술지인 레이저앤포토닉스 리뷰(Laser&Photonics Review)에 게재됐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6da977f1b39c7a8881cabc3320041ec1a944f8ddf0537cf7bb661efccffb11a" dmcf-pid="uxcWYEe7dC"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세계 각국의 절대길이 측정 시스템과의 측정 결과 비교표.(자료=KRISS)"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6/ZDNetKorea/20250706075136634ctwi.jpg" data-org-width="640" dmcf-mid="xPermJ9HdF"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6/ZDNetKorea/20250706075136634ctwi.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세계 각국의 절대길이 측정 시스템과의 측정 결과 비교표.(자료=KRISS)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2b9c9b37c0e50fe13cb3401009f8f3655027549f67ed7475114a1a46575d1086" dmcf-pid="7MkYGDdzdI" dmcf-ptype="general">박희범 기자(hbpark@zdne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탈북민 포함 5인조 다국적 보이그룹 '유니버스' 데뷔 앨범 선공개 07-06 다음 조코비치, 윔블던 통산 100승 달성…단식 16강행 07-06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