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과학풀씨]③ 야생의 노린재는 어떤 냄새가 날까 작성일 07-06 16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UTldYEe7C9">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9857aa913d6af4b51c7b217f1f57f63e524549a08bb45e0c6f16f85cd4bdebe2" dmcf-pid="uySJGDdzlK"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회양목에서 발견된 큰광대노린재. 어린이과학동아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6/dongascience/20250706080210758xxbz.jpg" data-org-width="680" dmcf-mid="3gwtn91mTf"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6/dongascience/20250706080210758xxbz.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회양목에서 발견된 큰광대노린재. 어린이과학동아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304c0547e0463be65cb8525a314e502af5687d59d569d5e15288182989d24fed" dmcf-pid="7WviHwJqvb" dmcf-ptype="general">"와, 예쁘다! 향긋한 꽃 냄새가 나는 것 같아요."</p> <p contents-hash="ca921d7edd179e03068b0b64966535442fe26023733e15c0af79d2285105e497" dmcf-pid="zYTnXriBvB" dmcf-ptype="general"> 5월 14일 국민대에 모인 지구사랑탐사대원들이 갓 채집한 노린재의 냄새를 맡으며 감탄했다. </p> <p contents-hash="96bd672b0460d0ab733184eb1fd223b406eebeabe270cfb8e1721420837c054f" dmcf-pid="qGyLZmnbvq" dmcf-ptype="general"> 지구사랑탐사대는 동아사이언스 과학 잡지 '어린이과학동아'와 장이권 이화여대 에코과학부 교수가 2013년부터 진행해 온 시민과학 프로젝트다. 참가자들은 탐사대원으로서 우리 주변의 생물 16종을 탐사해서 기록하고 과학자들은 이 기록을 연구 자료로 활용한다. </p> <p contents-hash="2bc14e8ae69132b41d468fc0527b06f66ee3a51666bd26eec12d3d5c3f4cbfd8" dmcf-pid="BHWo5sLKTz" dmcf-ptype="general"> 올해 13기를 맞이한 지구사랑탐사대는 재단법인 숲과나눔과 함께 '시민과학풀씨' 4기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시민과학풀씨'는 환경과 안전, 보건 분야 연구자들이 시민과 함께 연구하는 프로젝트로 올해 5개 팀이 선정됐다.</p> <p contents-hash="ab82bb20bc13cd67492f35ba761262171703fbbd4d9f2858b756f8647bf126e3" dmcf-pid="byviHwJqS7" dmcf-ptype="general"> 이날은 이 중 한 팀인 '노린내를 찾아서' 팀의 현장 교육이 진행돼 지구사랑탐사대원 28명이 참가했다. '노린내를 찾아서' 팀의 목표는 곤충 노린재의 생태를 담은 노린재 도감을 만드는 것이다. 진이수, 최유나 국민대 산림환경시스템학과 학생이 팀을 결성했다.</p> <p contents-hash="33481dee94995fe355e61956aea2425540f50d99f4f21e2c84ad41328f3fce76" dmcf-pid="KWTnXriBSu" dmcf-ptype="general"> 우리나라에는 약 490종의 노린재가 땅에 산다. 도심의 공원과 들풀에서도 쉽게 볼 수 있다. 노린재는 위험을 느끼면 뒷다리 부근의 냄새 샘에서 '노린내'로 불리는 특유의 휘발성 물질을 내뿜는다.</p> <p contents-hash="2c6b60164f1a82671990e4898dd542c0cfc3244ce436f4fda8f9daef3b0404dd" dmcf-pid="9YyLZmnbSU" dmcf-ptype="general">이날 대원들은 북한산 자락의 국민대 캠퍼스 인근 숲에서 다양한 노린재를 탐사했다. 특히 노린재가 알을 낳거나 즙을 빨아먹으며 서식하는 기주식물들을 유심히 관찰했다.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fa7933af45088d851023fa9dff6886e48bcb1c3ba83d2a2339570114db84c87e" dmcf-pid="2GWo5sLKSp"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꽈리허리노린재의 알. 어런이과학동아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6/dongascience/20250706080212107ekiw.png" data-org-width="680" dmcf-mid="05EfOnVZvV"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6/dongascience/20250706080212107ekiw.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꽈리허리노린재의 알. 어런이과학동아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a3a3202c89fc53d20d78571d981dcfcd13a462dd6d4546a8ad7387050192d673" dmcf-pid="VHYg1Oo9l0" dmcf-ptype="general">탐사대원들은 가장 먼저 풀숲에 핀 메꽃 잎의 뒷면에서 노린재의 알을 발견했다. 메꽃, 토마토, 나팔꽃 등을 기주식물로 삼는 꽈리허리노린재의 알이었다. 적갈색 알 30여 개가 다닥다닥 붙어 있었다.</p> <p contents-hash="e0ed63e3e932b506c5581bd601495cee55baac13d573ce2f7e57bfac696ea074" dmcf-pid="fXGatIg2S3" dmcf-ptype="general"> 이어 탐사대원들은 울타리용으로 많이 쓰이는 낮은 나무인 회양목이 모인 곳에서 큰광대노린재를 잇달아 발견했다.</p> <p contents-hash="aa38859999153f359cb32fa500611b772bf133bc794a9d026b9aeb9ffb505b3d" dmcf-pid="4ZHNFCaVlF" dmcf-ptype="general">큰광대노린재는 회양목의 줄기와 잎 등에서 즙을 빨아먹는다. 성충은 성인 손톱만 한 크기로 금색과 녹색, 적색이 어우러진 화려한 무늬가 특징이다. 탐사대원들은 털이 있는 진한 회색의 꽈리허리노린재, 연갈색의 넓적배허리노린재도 탐사할 수 있었다.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87adbe0f70ec1eac5b44bfb8439838e45d07381cb31bf8541b12326ba436aa7" dmcf-pid="85Xj3hNfht"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채집한 노린재를 살펴보는 탐사대원들. 어린이과학동아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6/dongascience/20250706080213416fljz.jpg" data-org-width="680" dmcf-mid="pzL7APuSl2"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6/dongascience/20250706080213416fljz.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채집한 노린재를 살펴보는 탐사대원들. 어린이과학동아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23cf7b1784080504dc5a5bee68ced3c0979ccfac38b1448c31a1196840b8cd26" dmcf-pid="61ZA0lj4y1" dmcf-ptype="general">탐사대원들은 채집한 노린재들에게서 풍기는 냄새를 맡아 보고 감상을 나눴다. 시큼한 냄새, 꽃 향, 풀향 등 다양한 표현이 나왔다. 진이수 학생은 "노린재는 주된 먹이에 따라 오이 냄새, 식초 냄새 등 다양한 향이 난다"고 설명했다. </p> <p contents-hash="3790fa410e308c6e824605cc585271868258e88959792973e9f2cc43512edad5" dmcf-pid="Pt5cpSA8y5" dmcf-ptype="general"> 향을 맡기 위해 노린재를 과하게 자극하거나 괴롭히는 행동은 삼가 달라는 안내에 따라 탐사대원들은 노린재를 최대한 건드리지 않고 관찰했다. </p> <p contents-hash="39ff8e84fa16e6ca6f48c4195078e74cc8815fa1faafedac8fa793cf134d3def" dmcf-pid="QF1kUvc6CZ" dmcf-ptype="general"> 이날 탐사 후 진이수, 최유나 학생은 탐사대원들에게 노린재를 동정하는 방법도 알려줬다. 노린재 도감과 네이처링 등 자연 관찰 플랫폼에서 정보를 확인하거나 더듬이, 날개 등의 모양을 통해 구분하면 주변에서 발견한 노린재를 쉽게 동정할 수 있다. </p> <p contents-hash="405d15cfbd8ce1215b878c6b1912c459a195802419c2824a2db521bf0759199a" dmcf-pid="x3tEuTkPSX" dmcf-ptype="general"> 이날 탐사를 마친 '임형주의 가족' 팀 임주원 대원은 "방패형의 노린재 외에 다양한 모습의 노린재를 알게 되었고 예전에 담배 냄새와 비슷한 노린내를 맡아봤는데 또 다른 향이 있다니 신기했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노린재의 특성을 알아가고 싶다"고 소감을 전했다. <br> </p> <p contents-hash="45ff77cc917aa166a3428844ca7b9283aaf72bf01f6fac3258069000b4b5b0d0" dmcf-pid="yaozcQ7vTH" dmcf-ptype="general">[박수진 기자 sooz@donga.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동아사이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이선빈 ‘노이즈’, 50만 돌파…할리우드 공세에도 ‘굳건’ [IS차트] 07-06 다음 경이로운 ‘공감각의 세계’…빛을 듣는 사람들, 소리를 보는 사람들 07-06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