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2차 추경 1793억원 본회의 통과…AI 집중 투자 작성일 07-06 15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zFBLwAxptk">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91bd6dd964606ea023a0c43112faf4b736f7f4e9c5f7e887d0c345b50bdad70b" dmcf-pid="q3borcMUHc"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과기정통부 로고"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6/etimesi/20250706114413971ncfv.png" data-org-width="295" dmcf-mid="73HVdQ7vZE"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6/etimesi/20250706114413971ncfv.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과기정통부 로고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f11433ae964d8dd3869e17a2d46e52ad59533f75d96e96e6569be0425496430b" dmcf-pid="B0KgmkRu5A" dmcf-ptype="general">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2025년 제 2회 추가경정예산이 총 1793억원 규모로 국회에서 의결됐다.</p> <p contents-hash="72e2864daa5d1f13a26fa03b9127b6a40b2809749f02d25c79bcde5fd4ed2d18" dmcf-pid="bp9asEe7Hj" dmcf-ptype="general">2차 추경은 경기진작을 위해 AI 전환과 국민 체감도 제고에 초점을 맞췄다. AI의 활용 확산을 통한 우리나라 산업을 고도화하고, 공공서비스를 혁신하는 한편, 국가 정보보호체계를 강화하기 위한 내용을 담았다.</p> <p contents-hash="47b78c978de033071b0e35d585582a41623f585d5c2efad157dce26cf853296c" dmcf-pid="KU2NODdzGN" dmcf-ptype="general">첫째, 공공·의료·제조 분야에 AI를 접목하는 'AI 대전환'에 총 656억원이 투입된다. 세부적으로 공공부문에 AI 접목을 위한 '공공AX 프로젝트'(150억원), AI기반 의료 예후관리서비스 개발(40억원), 제조업의 기술고도화를 위한 AX실증 플랫폼 구축(40억원), 피지컬AI 핵심기술 POC(Poof of Concept)(426억원) 등을 지원한다.</p> <p contents-hash="e8a3d60132281caa370786d52dd89b69c175976722a5fd466499688e4a19a016" dmcf-pid="9xovtHme1a" dmcf-ptype="general">AI의 산업화 및 사업화 확대를 위한 투자도 강화한다. 2025년 본예산과 지난 1차 추경을 통해 확보한 AI혁신펀드(1000억원) 외에 500억원 규모의 AI혁신펀드를 추가로 조성하여 민간의 적극적인 투자를 유도하고, AI 분야 초기 창업기업을 비롯한 유망기업의 육성에 주력할 방침이다.</p> <p contents-hash="2adc68970d04e71951db3f77bf142ec5889a1a209619c5abfe3a2f1567365c1a" dmcf-pid="2MgTFXsdGg" dmcf-ptype="general">국산 AI반도체(NPU) 분야 역시 조기상용화 지원을 위한 1차 추경(494억원)에 이어 2차 추경에도 지속적인 의견수렴 과정에서 추가로 발굴한 수요를 사업화해 반영했다. 최신 AI모델과의 호환성 확대 및 설계에 필수적인 고비용 설계 IP 활용 등 제품 고도화를 지원(300억원)해 기업들의 수요처 확보에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할 계획이다.</p> <p contents-hash="3222506d9294437c18a019261fa870692ad7c1518e73263c79e4a5ae04ab7ec7" dmcf-pid="VRay3ZOJZo" dmcf-ptype="general">국민의 삶과 직결된 정보보호를 강화하고, 청년·취약계층의 AI역량 제고를 위한 지원을 대폭 확충한다.고위험 산업군 대상 정보보호관리체계 특화 인증항목을 개발해 국가 중요시설 등의 보호·점검 수준을 강화하는데 67억4000만원을 투입한다. 신속한 사이버 침해사고 분석·대응을 위한 생성형 AI 기반의 침해 대응체계를 구축하고(50억원), 대규모 인터넷 장애 방지를 위해 인터넷 경로 보안체계(RPKI)를 30억원을 투입해 구축할 예정이다.</p> <p contents-hash="f3f6d4db07d866fb93520c1142f7c3c542ce2233957e2c4d581feb5df19353bf" dmcf-pid="feNW05IiXL" dmcf-ptype="general">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이번 2회 추경은 공공, 산업, 민생 전반에서 인공지능이 실질적인 혁신을 이끌도록 하기 위해 금년 내에 집행가능하며, 가장 시급히 추진해야 하는 사업 중심으로 편성했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2a50879a6f170db386f07b539295e89e45ff7b7365dd4cc90c7bae8d37c3673f" dmcf-pid="4djYp1CnZn" dmcf-ptype="general">박지성 기자 jisung@etnews.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백반기행' 금산 밥상에 감탄 07-06 다음 블랙핑크, 핑크빛으로 서울 랜드마크 수놓았다 07-06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