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 OLED 뇌에 삽입해 신경세포 자극 작성일 07-06 9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KAIST 최경철·이현주 교수팀<br>뇌질환 새로운 치료법 제시</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y7sQFyEQeB">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fc5c00d463c442a3caaf2ce9ade4b3ef8a4ad2e7c6ee569db03d0e67fe0ae74" dmcf-pid="WzOx3WDxRq"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터리얼즈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논문 전면 표지. /KAIST"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6/chosunbiz/20250706141933318jryo.jpg" data-org-width="680" dmcf-mid="xsMtrg8tMb"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6/chosunbiz/20250706141933318jryo.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터리얼즈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논문 전면 표지. /KAIST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6b888b4a957c20b2e1778eb65ac7bd9cb9f553179452d9f18084f78475983676" dmcf-pid="YqIM0YwMMz" dmcf-ptype="general">국내 연구진이 마이크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활용해 뇌에 삽입하고 뉴런(신경세포)을 자극할 수 있는 의료기기 ‘뉴럴 프로브’를 구현했다. 난치성 뇌 질환의 새로운 치료법을 제시해 주목된다.</p> <p contents-hash="7b3faeee021b7652725339b0a373de74c6c61f2876d4c1c3353a4b8c35b9a3e7" dmcf-pid="GBCRpGrRn7" dmcf-ptype="general">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최경철·이현주 전기전자공학부 교수팀이 정은교 인천대 전자공학부 교수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유연한 마이크로 OLED가 집적된 광유전학용 뉴럴 프로브 개발에 성공했다고 6일 밝혔다.</p> <p contents-hash="d7cd982d7dfb2b65e46ddd2ce407345cc1c39313cf4bbe1ecc131aad834822b4" dmcf-pid="HbheUHmedu" dmcf-ptype="general">연구 결과는 나노분야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터리얼즈(Advanced Functional Materials)’에 7월 전면 표지 논문으로 선정됐다.</p> <p contents-hash="ddb5dca0932984a7ef762160f1c3bc44cbb9373e96864c5c9f91f858d6d962a3" dmcf-pid="XKlduXsddU" dmcf-ptype="general">광유전학은 뉴런에 특정 파장의 빛 자극을 가해 뉴런의 활성을 조절하는 기술이다. 뉴럴 프로브는 뇌에 삽입해 자극을 주는 의료기기다.</p> <p contents-hash="83af8f8f07030ee76fcf8a7589b50046afd77f84021fb90d5bb0352ad632bd1a" dmcf-pid="Z9SJ7ZOJMp" dmcf-ptype="general">연구팀에 따르면 마이크로OLED는 유연하고 빛을 작은 부위에 정밀하게 전달할 수 있어 뇌 회로를 세밀하게 분석하는 데 적합하다. 빛의 파장을 정밀하게 조절해 복잡한 뇌 기능 연구도 할 수 있다. 하지만 체내 수분 등으로 전기적 특성이 쉽게 열화돼 생체 삽입형 장치로 활용되는 데 한계가 있다. 탐침 위에 집적하는 공정 최적화도 과제다.</p> <p contents-hash="b3989998b63a80ef250f3a53edc1592e7797c2e6e9e9fd3e0f77c92abc7d45dc" dmcf-pid="5k9TgxzTi0" dmcf-ptype="general">공동연구팀은 산화알루미늄·파릴렌-C(Al2O3/parylene-C)로 구성된 초박막 유연 봉지 막을 얇은 탐침 형태(260~600마이크로미터(㎛)) 너비로 패터닝해 생체친화성이 유지되도록 했다. 이를 통해 수분과 산소가 많은 생체 내 환경에서 OLED 구동 신뢰성을 높이고 생체 삽입 시 조직 손상을 최소화했다.</p> <p contents-hash="ff3be88ba1688102af206d75aea0bdcd6f5cf7e3d48f64e9ba1b5ca2e4db6d7f" dmcf-pid="1E2yaMqyd3" dmcf-ptype="general">또 고해상도 마이크로 OLED를 집적하는 과정에서 전체 소자의 유연성과 생체친화성을 유지키 위해 봉지 막과 동일한 생체 친화 재료인 ‘파릴렌-C(parylene-C)’를 활용했다. 이어 구조적 레이어인 ‘화소 정의막(pixeldefinelayer)’을 도입해 8개의 마이크로 OLED를 독립적으로 개별 구동할 수 있도록 해 인접한 OLED 픽셀 간 전기적 간섭 현상을 제거하고 각 픽셀을 공간적으로 분리했다.</p> <p contents-hash="a1ca9e4cc4ad6180f5bbf660a2785ebb910050c72a2d5e58580e50e8e430a4cf" dmcf-pid="tDVWNRBWeF" dmcf-ptype="general">특히 소자 내 다중 박막층의 잔류 응력과 두께를 정밀하게 조절해 생체 내 환경에서도 소자의 유연성을 유지하고 바늘과 같은 보조 장치 없이도 단일 탐침만으로 휘어짐 없이 삽입할 수 있게 했다. 이런 과정을 거쳐 연구팀은 광유전학·생체조직 자극 응용에서 상당히 높은 수준의 광출력을 갖는 마이크로OLED 집적 유연 뉴럴 프로브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p> <p contents-hash="023a8f355460cf91a714c16e087caea05bc54b04462297666157829e9d7c00a9" dmcf-pid="FwfYjebYMt"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시연을 통해 초박막 유연 봉지 막의 낮은 수분 투습률과 생체 내 높은 성능, 10년 이상 유지 가능한 소자 수명, 전기적 간섭 등이 없는 집적된 OLED의 개별 구동을 입증했다.</p> <p contents-hash="135997d1b6b0d24b23f5b5d0ced85a07b11208defaa6af2eacea7d7703f2eacd" dmcf-pid="3r4GAdKGJ1" dmcf-ptype="general">연구에 참여한 이소민 박사는 “이번 연구는 유연OLED의 인체 삽입형 측정과 치료 의료기기로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 것”이라고 말했다.</p> <p contents-hash="06aed753b8191bd97263962173164859d39e47d76f7725f3b74cf0a91ec3bbe6" dmcf-pid="0m8HcJ9Hi5" dmcf-ptype="general">참고 자료</p> <p contents-hash="47e4724c08d4dd72385acaa524cb014bd1aa4bbb960a09831e9841533abb55e9" dmcf-pid="ps6Xki2XRZ" dmcf-ptype="general">Advanced Functional Materials(2025) DOI: <span>https://doi.org/10.1002/adfm.202420758</span></p> <p contents-hash="2bd40b294badf9e2da4e3b3c9784204797b3e535f7d2cb059edfea68c9105cd2" dmcf-pid="UOPZEnVZiX" dmcf-ptype="general">-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암투병 민지영, 세계 여행 중 급히 귀국 "난소암 수치 높아" 07-06 다음 이재명 대통령 "과기인 연구 전념할 수 있는 환경 조성할 것" 07-06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