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지난해 'AI 대중화 원년' 과제에 7100억원 투입···디지털 혁신 성과 잇따라 작성일 07-06 3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pbcU5SA85g">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2dd320578acef238e0cc2738d6d32d58301747242ff2d51ef5026108afdf40be" dmcf-pid="UKku1vc6Ho"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사진=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6/etimesi/20250706170246612nxkv.jpg" data-org-width="700" dmcf-mid="0bMyIAxpta"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6/etimesi/20250706170246612nxkv.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18265299d16f9dd1cf1fa069e38e6164172ff66d8d505abce05a3530a01bf86f" dmcf-pid="u9E7tTkPGL" dmcf-ptype="general">정부가 지난해를 '인공지능(AI) 대중화 원년'으로 삼으면서 수천억원 규모 예산을 투입하고, 범국가적 디지털 전환 정책을 추진한 것으로 나타났다.</p> <p contents-hash="d98bf561b104b8eb9d340fa64718d6a7cd8790eb225ce7b4ab6d4fc553901c3b" dmcf-pid="72DzFyEQ1n" dmcf-ptype="general">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지능정보화 동향과 성과 등을 취합해 작성한 '2024 국가지능정보화백서'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해 'AI 일상화와 산업 고도화 계획'을 수립하고, 총 69개 과제에 걸쳐 예산 약 7100억원을 투입했다.</p> <p contents-hash="33870dfceb22b0a83766cfb0fd6c5119444be1b45487ec68eaa5475a0a18c39c" dmcf-pid="zVwq3WDxti" dmcf-ptype="general">생성형 AI가 빠르게 확산하고, 국민 생활 전반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한 데 따른 것이다.</p> <p contents-hash="6e265c1c433f47ebd283b1d9271dccc459cbf2fb1a78a4638137102cb8dbec3c" dmcf-pid="qfrB0YwMHJ" dmcf-ptype="general">2024년 기준으로 국민 4명 중 1명이 생성형 AI 서비스를 직접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AI 기술은 교육, 의료, 업무, 창작 등 다양한 분야에 실질적으로 활용됐다.</p> <p contents-hash="c20b8f4e704643c447aab5d539382b2b553f40b0fa201c9b23238ed33210dd5b" dmcf-pid="B4mbpGrR1d" dmcf-ptype="general">정부는 AI를 국민의 삶으로 확산하기 위해 생활 밀착형 서비스 확대와 산업 현장 적용, 공공 행정 혁신, 인재 양성 등 과제를 추진했다. AI 디지털교과서, 의료 진단 보조 시스템, 복지 사각지대 발굴, 스마트 돌봄 서비스가 대표 사례로 언급됐다.</p> <p contents-hash="c8f3eb1a70c38cbb4f8ef496e899b044f2f6b4b0579e8c777a4f3d32f8700035" dmcf-pid="b8sKUHmeXe" dmcf-ptype="general">69개 과제는 사회적 포용과 연결됐다. 정부는 AI 활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해 '디지털포용법'을 제정하고, 노인·장애인·저소득층 등 디지털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지원을 병행했다.</p> <p contents-hash="c9caa3e5d1bc2dedb47beecaaf46dccdbccf60a36c7d9c79ec70ee956849c19e" dmcf-pid="KKku1vc6XR" dmcf-ptype="general">글로벌 규범 정립도 본격화했다. '인공지능 발전과 신뢰 기반 조성 등에 관한 기본법'을 국회에서 통과시켰다. 이 법은 2026년 1월부터 시행된다. 이로써 우리나라는 유럽연합(EU)에 이어 세계 두 번째로 AI 기본법을 제정한 국가가 됐다.</p> <p contents-hash="6b4e37f0bccf1229b4b4cd079cf76579723fa6a1df0985496b664f160b3a2b35" dmcf-pid="99E7tTkP1M" dmcf-ptype="general">정부는 AI 확산에 따른 위험 대응 체계도 마련했다. '신뢰할 수 있는 AI 실현 전략' 수립과 함께 AI 안전연구소 설립, 윤리 기준 제정이 추진됐다.</p> <p contents-hash="b529973e980881c333b21dc4130b8bd38808da451fa40a572d44e7d9b4015d01" dmcf-pid="22DzFyEQtx" dmcf-ptype="general">디지털 전환은 전국으로 확산했다. 경기도는 광역버스 혼잡도 분석 시스템을 운영했고, 울산은 유휴공간 공유 플랫폼을 도입했다. 전남은 스마트 악취 관제, 충남은 디지털트윈 기반 문화재 심의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지역 디지털 혁신 사례가 잇따랐다.</p> <p contents-hash="094d616a0fd1030f6e2169862ee51ef9471b5d42a21809c30ec78a169627173e" dmcf-pid="VVwq3WDxZQ" dmcf-ptype="general">백서는 “AI 기술이 성능 중심 경쟁에서 사회적 가치 창출 중심으로 무게중심이 이동하고 있다”며 “이러한 변화에 정부와 사회가 유연하게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5ab60417445d5cd9c0a5692c85b607e042234f0ef9e11f22bca63ba3c84cfae3" dmcf-pid="ffrB0YwM1P" dmcf-ptype="general">류태웅 기자 bigheroryu@etnews.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공식] "협박 수위 높아" 신세경 악플러, 징역 8개월 실형 선고…"향후에도 선처 無" 07-06 다음 “신뢰 잃은 SKT, ‘해킹 후폭풍’은 지금부터”…고객·신뢰도·AI투자 ‘삼중위기’ [팩플] 07-06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