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U+, 디지털 트윈 기반 ‘데이터센터 통합시스템’ 고도화 박차 작성일 07-07 28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LG전자·LG CNS 등 협력, DCIM 내재화 및 효율화<br>평촌 2센터, AI 냉방 시스템…에너지 10% 절감 목표</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Bsy3kYwM73">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1aa8099f655eec8ace33c32a7043a300bf0e97b5fd1684ce0ffea1fbb4c6b5e" dmcf-pid="bOW0EGrR3F"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유우진(왼쪽 부터) LG전자 Open Innovation TF 담당, 박완규 LG전자 칠러사업 담당, 정숙경 LG유플러스 AIDC사업 담당, 오중수 LG CNS 스마트시티서비스 담당 등이 지난 2일 LG유플러스 용산사옥에서 열린 협약식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LG유플러스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7/ned/20250707090139156qvut.jpg" data-org-width="1280" dmcf-mid="8xgm4NP30d"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7/ned/20250707090139156qvut.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유우진(왼쪽 부터) LG전자 Open Innovation TF 담당, 박완규 LG전자 칠러사업 담당, 정숙경 LG유플러스 AIDC사업 담당, 오중수 LG CNS 스마트시티서비스 담당 등이 지난 2일 LG유플러스 용산사옥에서 열린 협약식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LG유플러스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0e5052267a93ee78e3e413fbc036982a9d463f024bdd6f1eb865350d06b8588f" dmcf-pid="KIYpDHmeUt" dmcf-ptype="general">[헤럴드경제=고재우 기자] LG유플러스는 LG전자, LG CNS와 함께 인공지능(AI)과 디지털 트윈(가상모형) 기술을 접목한 데이터센터 냉방 효율화 기술(DCIM) 실증에 나선다고 7일 밝혔다.</p> <p contents-hash="1101ce238d9359a4aadba6fc76063105a5bb57f90bf3ded69dcbf15bdac0af22" dmcf-pid="9CGUwXsd71" dmcf-ptype="general">이번 프로젝트는 LG그룹 계열사 간 협력 모델을 기반으로 추진된다. 데이터센터의 에너지 사용을 줄이고, 운영 효율을 높이는 고도화된 관리 기술을 자체적으로 확보하는 데 목적이 있다.</p> <p contents-hash="7be8bc1961f13480ab66d5a87f8ff4eeaf0bc3733ff0a63746d7b34558236fae" dmcf-pid="2hHurZOJU5" dmcf-ptype="general">특히 AI를 통해 냉방 설비를 제어하고, 가상 환경에서 운영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해 냉각 에너지 소비를 최대 10%까지 절감하는 것이 목표다.</p> <p contents-hash="2648fcc25fe7a3580c75391430924fa67069b9459c7844720594c85a5689e31e" dmcf-pid="VlX7m5Ii0Z" dmcf-ptype="general">오는 9월부터 본격적으로 진행될 실증은 LG유플러스의 평촌 2센터에서 우선 진행된다. 이에 따라 평촌 2센터에는 냉동기와 컴퓨터룸 공조기(CRAC) 등 주요 설비에 AI 제어 알고리즘과 디지털 트윈 모델 등이 적용된다. 실증 결과는 향후 파주센터를 포함한 LG유플러스의 주요 데이터센터로 확대 적용된다.</p> <p contents-hash="ad13851c46194d7abba46f20bde813f4b2cd0985376f8bfce4184a8670f1fa4f" dmcf-pid="fEhZaSA8UX" dmcf-ptype="general">현재 LG유플러스는 평촌 1·2, 가산, 서초 1센터를 통합운영시스템으로 관리 중이다. 올해 안에는 논현·상암센터까지 운영체계를 확대할 계획이다. 내년 완공 예정인 파주센터에는 실증 결과를 반영한 AI 기반 통합 운영 시스템이 구축될 예정이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3214b33a9fdf1989b923f62e1c7710ef6ad696416796c3ab821c7d5d8ac936b" dmcf-pid="4Dl5Nvc6UH"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LG유플러스 평촌 2센터 조감도. [LG유플러스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7/ned/20250707090139425mgxq.jpg" data-org-width="1257" dmcf-mid="qWGUwXsdp0"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7/ned/20250707090139425mgxq.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LG유플러스 평촌 2센터 조감도. [LG유플러스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6be9ad4101f95ae195f29c0ca18bb589353c29e740cdee4e30a780efe281c197" dmcf-pid="8wS1jTkP0G" dmcf-ptype="general">세부적으로 LG전자는 디지털 트윈 기반의 CRAC 제어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실제 평촌 2센터 설비에 적용해 최적 운전 조건을 도출하는 역할을 맡는다. LG CNS는 데이터센터 환경을 정밀하게 모사하는 디지털 트윈 기술을 바탕으로 AI 모델을 설계하고, 향후 다양한 센터로 확장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다.</p> <p contents-hash="66ea650056e1380e2c29d9049ec84c079be0946ebc1d24c6b8aa0bea6040b6e2" dmcf-pid="6rvtAyEQpY" dmcf-ptype="general">LG유플러스는 평촌 2센터 내 전용 개념검증(PoC) 테스트룸을 구성해 실시간 데이터를 수집하고, AI 제어를 테스트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는 등 프로젝트 전반을 리딩하고 있다. 나아가 LG전자, LG CNS 등 3사 업무협약(MOU)을 통해 기술 협업의 안정성과 확장 가능성도 확보했다.</p> <p contents-hash="1e9c84874e0c2a0a2c3df5118fb5119f193dd894b4d98543aa723dffd875aee6" dmcf-pid="PmTFcWDxFW" dmcf-ptype="general">이번 협력을 통해 세 회사는 단순한 기술 도입을 넘어 실증 중심의 운영 노하우를 쌓고, 그룹 내부에서 자립적인 기술 체계를 구축하겠다는 복안이다. 실증 프로젝트는 총 3단계로 구성된다. ▷냉방·공조 최적화 ▷설비 예지보전 ▷전력·설비 통합 관제 기능 확장 등으로 고도화될 예정이다.</p> <p contents-hash="848f1bcc1534f75428089fd602dbe210e83c8ccca26d818df5e499cd5172beef" dmcf-pid="Qsy3kYwMuy" dmcf-ptype="general">정숙경 LG유플러스 AIDC사업 담당은 “국내 데이터센터 업계에서도 AI 기반 운영 시스템에 대한 관심은 높지만, 실제 적용 사례는 아직 많지 않다”며 “이번 실증을 통해 냉각 전력의 효율을 높이고, 그룹 차원의 스마트 데이터센터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김지민♥김준호, 결혼 준비 중 위기 봉착!···포위돼 옥신각신 (조선의 사랑꾼) 07-07 다음 열전모듈 경제성·친환경성 높여 금속화공정 상용화 07-07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