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6초 이내 배차, 10명 중 9.4명 탑승…카카오T 택시 '10년' 성과 작성일 07-07 4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카카오모빌리티, 카카오T 혁신 성과 공개<br>승차거부 없이 자동배차하는 '가맹택시'<br>원스톱 택시 핵심 '자동결제' 이용률 74%</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ytP2nIg2TG"> <p contents-hash="34b11a938b3b4f426c238440703eff8ae7493206e2b1d6f2351e51f83727db21" dmcf-pid="WFQVLCaVlY" dmcf-ptype="general"> [이데일리 이소현 기자] 국민 택시 호출 서비스로 자리매김 한 ‘카카오 T’를 통해서 택시 평균 배차 시간은 6.6초로 10년 전 대비 67% 단축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택시를 호출한 이용자 10명 중 9.4명은 탑승에 성공한 것으로도 조사됐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206affeba956e6bfedd67cc01daa0f363e6c022170ef58cedf2e7e03d733355" dmcf-pid="Y3xfohNfWW"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카카오 T 택시 10주년’ 혁신 성과(사진=카카오모빌리티)"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7/Edaily/20250707094408386emom.jpg" data-org-width="670" dmcf-mid="xW7Ffa6FyH"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7/Edaily/20250707094408386emom.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카카오 T 택시 10주년’ 혁신 성과(사진=카카오모빌리티)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a0951bc0c22830b224cf49c95fc7f1115bd4f9de29920c4bf4b37eb415adee84" dmcf-pid="G0M4glj4ly" dmcf-ptype="general">7일 카카오모빌리티는 택시 호출 서비스 시작 10주년을 맞아 통합 모빌리티 플랫폼 카카오 T를 통해 택시 이용 패러다임을 혁신해 온 성과를 이같이 공개했다.</p> <p contents-hash="d1f42eba36a28681475f1d68b5d26b6f16dba0e068a90afe3c12753475e5dad5" dmcf-pid="HpR8aSA8WT" dmcf-ptype="general">카카오 T 앱 내 축적된 데이터 분석 결과 카카오 T 택시 호출 후 평균적으로 택시 배차에 소요되는 시간은 출시 초인 10년 전과 비교해 약 67% 단축됐고, 탑승 성공률은 94%까지 높아진 것으로 집계됐다. </p> <p contents-hash="1c7d4e24948268d2510503510797327099a809480f75fe5bf9024b8aef7d7138" dmcf-pid="XUe6Nvc6Sv" dmcf-ptype="general">특히 2019년부터는 승차거부 없는 가맹택시를 도입, 단거리나 운행 비선호 지역의 택시 호출 수요도 대응하면서 이용자 편의를 극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p> <p contents-hash="2179c720f3462065754e19b4b33950bd5e77c4c340a5cf714e42e50633d9a931" dmcf-pid="ZudPjTkPCS" dmcf-ptype="general"><strong>부르면 ‘진짜’ 오는 ‘국민 택시 호출 서비스’ 자리매김</strong></p> <p contents-hash="1ce6602816d0e7b4744b35848996d575068d2fea82eff299b58e045ed3d8ec05" dmcf-pid="5MmcT7Ycyl" dmcf-ptype="general">카카오 T 택시는 2015년 서비스 출범 이후 기술 고도화와 이용자 중심 서비스 개선을 통해 ‘길에서 잡는 택시’에서 ‘원하는 곳으로 부르면 오는 택시’로 이동의 패러다임을 전환해 전 국민의 이동 경험을 끌어올렸다.</p> <p contents-hash="b5ac6d9a85e52cdbd1ef97702fc8fa4c06695803370891fd8565c5ffeeefa280" dmcf-pid="1RskyzGklh" dmcf-ptype="general">특히 택시 호출 서비스의 핵심 경쟁력인 ‘배차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고도화해 카카오 T 택시의 호출→배차→탑승 과정의 대기시간을 최소화했다. 실제 카카오 T 택시의 평균 배차 소요 시간은 올해 상반기 기준 6.6초로 2015년 19.87초에서 약 67% 단축된 성과를 보였다. 이를 통해 승객 편의는 높이면서 택시기사들의 영업 효율성도 극대화할 수 있었다.</p> <p contents-hash="198eb8cd9f3be2c4b8bce54f7f5a9e16353162816197cd20056ec14e6ab1433c" dmcf-pid="teOEWqHETC" dmcf-ptype="general">또 택시 호출을 시도한 승객이 실제로 탑승해 운행을 완료한 비율을 나타내는 ‘탑승 성공률’도 꾸준히 상승했다. 지난 5월 기준 카카오 T 택시의 탑승 성공률은 2015년 77%에서 17%포인트 증가한 94%를 기록했다. 이는 플랫폼 기술을 기반으로 카카오 T 택시를 고도화해 ‘부르면 오는 택시’로의 전환이 이뤄졌다는 평가가 나온다.</p> <p contents-hash="9b21234f7e35c97393cacb90c911125d4e2b2ff63ca7a8c4a67d01a3235c6a1a" dmcf-pid="FdIDYBXDvI" dmcf-ptype="general"><strong>승차거부 없이 단거리·비선호 지역도 자동배차</strong></p> <p contents-hash="a8844409bdb33c0b6e46de5f2d6afe362998fffd4fa1e91129cc4b3f17bf1403" dmcf-pid="3JCwGbZwWO" dmcf-ptype="general">카카오모빌리티는 2019년 가맹택시 ‘카카오 T 블루’ 서비스를 시작한 이후 승차거부 없는 고품질 택시 호출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특히 목적지를 표시하지 않는 자동배차 시스템을 기반으로 단거리 이동 수요는 물론 기존에 운행이 선호되지 않았던 지역으로의 이동 수요까지도 효율적으로 해소하면서 ‘부르면 오는 택시’ 시대를 보다 안정적으로 이끌어갔다.</p> <p contents-hash="c37a77370c8b10059db49756bb8faaf0d78392e7c800d0ab65212504c4ebfa4d" dmcf-pid="0ihrHK5rCs" dmcf-ptype="general">실제 카카오 T 택시의 가맹택시 전용 호출인 블루파트너스 호출의 작년 기준 5㎞ 이내 단거리 평균 배차 성공률은 전체 택시 호출의 평균보다 1.2배 더 높게 나타났다. 또 승객을 목적지에 내려주고 되돌아올 때는 빈 차로 운행해야 해서 기피되던 이른바 ‘비선호 지역’에 해당하는 파주(2.1배), 김포(1.9배), 강화군(1.5배), 하남(1.3배) 등에서도 가맹택시는 전체 택시 호출 대비 높은 배차 성공률을 보인 것으로 집계됐다.</p> <p contents-hash="cc606103f7652cdbf2a9917157a9ffb6d2e329356b855f71c0f30f341860b17a" dmcf-pid="pnlmX91mlm" dmcf-ptype="general">카카오모빌리티는 승객의 상황과 필요에 따라 다양한 택시 옵션을 선택할 수 있도록 서비스 확장에도 적극 나섰다. 현재 카카오 T 택시는 일반 중형 택시 외에도 대형승합·고급택시 면허 기반의 ‘카카오 T 벤티’, 프리미엄 택시 서비스인 ‘카카오 T 블랙’, 모범까지 다양한 택시 호출 옵션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카카오 T 벤티와 카카오 T 블랙의 경우, 원하는 일정에 맞춰 사전에 이동 계획을 세울 수 있는 ‘예약 서비스’도 지원해 비즈니스 및 공항 픽업 등 다양한 상황에서 승객 이동 편의를 한층 높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p> <p contents-hash="87ce76e91c9e2a9640e72807474bd462172eab65932f2039a43c8d386d003dd7" dmcf-pid="ULSsZ2tsTr" dmcf-ptype="general"><strong>택시 ‘자동결제’ 이용률 74% 돌파</strong></p> <p contents-hash="58bc4e95d83fae6163d1a5e0e047d7fa30c05958ed1944af79697ab7934d7432" dmcf-pid="uovO5VFOhw" dmcf-ptype="general">호출 방식 뿐만 아니라 결제 방식에서도 많은 변화가 있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2018년 10월 ‘자동결제’ 기능을 도입해 탑승부터 하차 후 결제까지 원스톱으로 제공하고 있다. 해당 기능은 승객과 택시기사 사이 카드·현금 결제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필요한 마찰을 줄였다.</p> <p contents-hash="027a6dcc1a2748cfa54282d66c0b72e1449f4b06ff9fd18bf3aed10e8fdc9cae" dmcf-pid="7KgdwXsdTD" dmcf-ptype="general">특히 코로나19 시기에 적합한 결제방식으로 꼽히면서 서비스 이용이 큰 폭으로 늘었다. 카카오 T 택시에서 운행 완료된 건 중 자동결제 이용률은 2018년 8%에서 2025년 74%까지 증가하며 대표적 택시 운임 결제 방식으로 자리잡았다.</p> <p contents-hash="b419fd7f1c2072b8895381617688949dba7208e08a173f6b5be3215c10d5eb64" dmcf-pid="z9aJrZOJyE" dmcf-ptype="general">이후에도 카카오모빌리티는 카카오 T 택시 이용자의 편의 사각지대를 보완하는 기능을 계속해서 도입해왔다. 2023년 6월 출시된 ‘가족계정’은 미성년자나 고령층이 직접 카드를 등록하기 어렵다는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도입된 대표적인 서비스다. 또 ‘해외카드 결제 지원’을 통해 외국인 이용자의 진입 장벽도 크게 낮췄다. 이듬해인 2024년 2월에는 ‘결제카드 변경 기능’ 추가를 통해 이미 결제가 완료된 후에도 카카오 T 앱 내에서 일정 시간 내에 다른 카드로 재결제가 가능하도록 했다.</p> <p contents-hash="4041cc715d7cb7272d46a07dbe49cdf4a3590c8adc3e10a496d4ae738ff550f4" dmcf-pid="q2Nim5IiWk" dmcf-ptype="general">류긍선 카카오모빌리티 대표는 “카카오 T 택시는 지난 10년간 플랫폼 기술과 데이터, 이용자 경험의 삼박자를 통해 ‘길에서 잡는 택시’로부터 ‘부르면 오는 택시’라는 새로운 기준을 만들어왔다”며, “이용자를 위한 기술적 혁신은 물론, 지난해 택시 업계와의 상생 합의를 토대로 출범한 ‘지역참여형 가맹택시’ 모델과 같이 국내 택시 시장의 자체 경쟁력도 함께 높여나갈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p> <p contents-hash="9dcbfbc176a7189dc3b1088a96485cbc016e8cd642c830ff8b86ccf988f2f0c6" dmcf-pid="BVjns1CnSc" dmcf-ptype="general">이소현 (atoz@edaily.co.kr)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한국전기연구원, 열전모듈 경제성·친환경성 높인다…금속화 공정 기술 개발 07-07 다음 3연패 노리는 알카라스, 윔블던 8강 안착…여자 세계 1위 사발렌카도 순항 07-07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