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러브버그 정착한 첫 온대지역 작성일 07-07 5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XuNYKnVZWB">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aa2762fe2f050c01fcdb5742d0fa559cfe7dec0961b353ee6fcff2fc0d2f2c4" dmcf-pid="Z7jG9Lf5hq"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30일 오전 인천 계양구 계양산 정상이 러브버그(붉은등우단털파리)들로 뒤덮여 등산객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7/dongascience/20250707101509431uiwg.jpg" data-org-width="680" dmcf-mid="HGaWbi2XWb"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7/dongascience/20250707101509431uiwg.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30일 오전 인천 계양구 계양산 정상이 러브버그(붉은등우단털파리)들로 뒤덮여 등산객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7dbc0202adb97b981916b7b214f0edc08ebe0ee1020224252e9ff6bf8ce04e76" dmcf-pid="5zAH2o41Cz" dmcf-ptype="general">수년째 여름만 되면 국내에서 '러브버그'가 기승을 부리며 불편함을 초래하고 있다. 국내외 러브버그 연구자들은 "러브버그는 기후·주변 환경에 예민한 아열대 곤충으로 환경 변화의 중요한 지표"라며 "과학적으로 이들의 증가 요인에 대해 철저히 파악해야 한다"고 말한다.</p> <p contents-hash="4d8fbbe4107204d5024a1811f5047cc20bd6799dbed9de643c4a51054be29df1" dmcf-pid="1qcXVg8tl7" dmcf-ptype="general">과학자들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러브버그는 50년 내에 한국, 일본 등 동북아시아 상당 부분을 점령할 것으로 예상돼 러브버그 확산의 원인과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p> <p contents-hash="d30e9ddd513b054cdafc798d08b61ff4b125eb78b6f209beaedf465267203bae" dmcf-pid="tBkZfa6FTu" dmcf-ptype="general"><strong>● 50년 러브버그 연구한 美 연구자 "서울 대발생, 1970년대 플로리다 사례와 유사"</strong></p> <p contents-hash="31db245a700dfccd1d2193cfa98248db8db24ffe23dcc9cf87f212e3d373afa9" dmcf-pid="Fv4kHK5rlU" dmcf-ptype="general"> 1972년부터 50여 년간 러브버그를 연구한 놈 레플라 미국 플로리다대 교수는 2일 본보와 진행한 서면 인터뷰에서 "미국 플로리다에서 러브버그가 1970년대 대규모로 발생해 사회적 문제로 떠올랐다"며 "이후 개체수가 안정되다가 2010년 들어 크게 줄어 연구자들이 어떤 환경 변화가 개체수 감소로 이어졌는지 연구 중"이라고 말했다.</p> <p contents-hash="be0a2b0cd0220d61c8681f4636028effb2cccccdfd3e5d7c042b3859c2680213" dmcf-pid="3T8EX91mWp" dmcf-ptype="general">한국에서 발견되는 러브버그는 대부분 '플레시아 롱기포셉스(Plecia longiforceps)'로 플로리다에서 확산한 '플레시아 니악티카(Plecia nearctica)'와 같은 '속'에 속하는 '종'이다. 생김새와 특성이 유사하다. </p> <p contents-hash="4c57ba7c695cecc9b92af7460a2c0865be42566e22a2fd6f86fd838b9f0b6d4e" dmcf-pid="0y6DZ2tsh0" dmcf-ptype="general"> 1970년대 플로리다 러브버그 대발생 양상은 최근 한국에서 러브버그가 대규모로 확산하는 현상과 크게 닮았다. 플로리다의 경우 러브버그는 1950, 1960년대 중앙아메리카에서 미국으로 들어왔다. 한국에서는 러브버그가 2015년경 국내에 유입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실상 한 번의 외부 유입을 통해 한반도에 정착한 것이다.</p> <p contents-hash="dd5747ebaa357415710155506a8f2d9e3c1e68ac949c1d99e6ae3239f87cbe96" dmcf-pid="pWPw5VFOv3" dmcf-ptype="general">지난해 이명희 연세대 의대 열대의학교실 교수 연구팀이 국제학술지 '미생물학 스펙트럼(Microbiology Spectrum)'에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러브버그는 단일 침입사건을 통해 한반도에 유입된 것으로 확인됐다. </p> <p contents-hash="fc7dd8c236cb30fd85ce5d89e023a66fdd9fbb0ad0784e06d6e54e639ce941da" dmcf-pid="UYQr1f3ICF" dmcf-ptype="general">연구팀이 서울에서 채집한 러브버그 41개체의 미생물군집과 유전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 모든 표본이 동일한 유전자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세포 호흡에 필수적인 효소를 암호화하는 'COI' 유전자의 염기서열이 일치했다.</p> <p contents-hash="ba4171f3b7971e9e853936ea53da51784f5139f91e2e8299e06f64448afb5730" dmcf-pid="uGxmt40Cht" dmcf-ptype="general">COI 유전자는 변이 속도가 빨라 특정한 동물 개체군의 세대 분류와 유입 경로를 추정하는 데 사용된다. 연구팀은 "러브버그가 여러 차례 외부에서 유입된 것이 아니라 한 번의 침입으로 국내에 들어와 유전적 다양성이 낮은 집단을 형성했다”고 설명했다. </p> <p contents-hash="80f7133bfc6d6392ce35c8d944ee3683cbce946876abe1fbefc80dcd92e4e95f" dmcf-pid="7HMsF8phT1" dmcf-ptype="general">러브버그는 도시 환경에 빠르게 적응하고 있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신승관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연구팀은 한국에 서식하는 러브버그는 생존에 불리한 환경에 버티는 데 도움이 되는 유전자군이 크게 확장됐다는 연구결과를 지난해 국제학술지 ''유전체 생물학과 진화'에 공개했다. </p> <p contents-hash="5791f61cbdc9d83c3bbe8a3d93368383ee84ac1b395ba8665acd9eed03440bea" dmcf-pid="zXRO36UlS5" dmcf-ptype="general">레플라 교수는 "외래종이기 때문에 러브버그가 사라져도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은 없을 것"이라면서도 살충제를 이용해 제거하는 방법은 부작용이 크다고 경고했다. 익충이나 사람, 반려동물이 살충제 피해를 입을 수 있기 때문이다. </p> <p contents-hash="1c5517e06d2d58e33fbb4b90518cb536ee2e065f2bddcb739179d67bd359a0fa" dmcf-pid="qZeI0PuSTZ" dmcf-ptype="general"><strong>● 서울은 러브버그가 정착한 첫 온대지역</strong></p> <p contents-hash="9d642fd6ecab0920fcb0d74009be2e04bdb4bfa37e19f4bd9365987b01e8c80d" dmcf-pid="B5dCpQ7vyX" dmcf-ptype="general"> 러브버그는 따뜻하고 습한 기후를 좋아하는 아열대성 곤충이다. 애벌레는 잔디 사이나 토양 속 썩은 풀, 낙엽 등 식물 잔해 속에서 산다. 플로리다에서 러브버그는 2010년대 들어 개체수가 갑자기 크게 줄었다.</p> <p contents-hash="df251eabe297e8e41bcaca848df285bf0c9d58626085e20727db1234e732a0dc" dmcf-pid="b1JhUxzTCH" dmcf-ptype="general">이와 관련 레플라 교수는 "서식지 파괴, 기후변화, 곰팡이 병원균 유행 등 환경 변화가 개체수 감소에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보고 연구하고 있다"며 "러브버그는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변화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라고 강조했다. 한국도 아열대 기후로 변하며 러브버그가 대규모 확산하는 것으로 알려진다. </p> <p contents-hash="513ba1c6a6c05a47fe48b663365e3874bf941c3bfda8cc66162d2dbf44539024" dmcf-pid="KtiluMqyCG" dmcf-ptype="general"> 서울대 연구팀은 '앙상블 종 분포 모델링'을 통해 러브버그의 서식지 확장과 침입 잠재력을 평가하고 향후 50년 내에 동북아시아 상당 부분이 러브버그가 서식할 수 있는 지역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결과를 2022년 발표했다. 앙상블 종 분포 모델링은 현재 여러 종의 분포 특징을 토대로 미래 분포 양상을 수치화해 예측하는 기법이다. </p> <p contents-hash="bed1ea9b286f7f5159f0e9a882c71e17fcc59854808081246c9f5d65f257d180" dmcf-pid="9FnS7RBWyY" dmcf-ptype="general"> 연구팀은 "서울은 아열대 기후에서 살던 러브버그가 정착한 첫 온대지역이다"며 "앞으로 러브버그가 적응력에 따라 북쪽으로 더욱 서식지를 넓힐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br> 레플라 교수는 "러브버그는 오해를 많이 받는 곤충이다"며 "비행 능력이 매우 떨어져 바람에 쓸려다녀 떼처럼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지만 각자 움직이며 병원균을 전혀 옮기지 않는다"고 했다.</p> <p contents-hash="945b408a49445f1995ccaa7406f1835b7a3cb4d69f6ab70184c24a33c0534521" dmcf-pid="2iGVNvc6SW" dmcf-ptype="general">실제 이명희 교수팀이 러브버그 41개체에서 검출된 453종의 박테리아를 검출해 분석한 결과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끼치는 박테리아는 없었다. 레플라 교수는 "러브버그 체액은 중성이지만 사체나 러브버그 알이 햇빛에 의해 달궈지면 24시간 내에 pH 4.25 수준의 산성으로 변하기 때문에 자동차 도색을 부식시키는 등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고 덧붙였다.</p> <p contents-hash="a15b79e97d933126322874f65d83ae93fdb82e79ff28ec7f816e1fc547473943" dmcf-pid="VnHfjTkPCy" dmcf-ptype="general">[이채린 기자 rini113@donga.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동아사이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에이핑크 4人, 위드어스와 전속계약…14주년 활약 기대 [공식입장] 07-07 다음 황정아 "삭감된 R&D 예산 반드시 복원할 것" 07-07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