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공동 우주망원경 ‘스피어엑스’, 관측 데이터 개방한다 작성일 07-07 7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타란튤라성운 등 이미지 공개</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0oVUdriBwV">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c4def970eaa6acd2cebe5d20121f69e87915870aa236732e47ddc35db207c06" dmcf-pid="pgfuJmnbs2"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스피어엑스가 촬영한 타란툴라 성운. 사진 제공=한국천문연구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7/seouleconomy/20250707142226608hmhq.png" data-org-width="640" dmcf-mid="FeDjGBXDs4"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7/seouleconomy/20250707142226608hmhq.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스피어엑스가 촬영한 타란툴라 성운. 사진 제공=한국천문연구원 </figcaption> </figure>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b4365e97655850fc75b3818b1f1f7b10044a179daca30f3889f222f380808e7" dmcf-pid="UM7Z8NP3O9"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스피어엑스가 촬영한 돛자리 분자운 능선. 사진 제공=한국천문연구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7/seouleconomy/20250707142228019qwjj.png" data-org-width="640" dmcf-mid="301vBdKGrf"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7/seouleconomy/20250707142228019qwjj.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스피어엑스가 촬영한 돛자리 분자운 능선. 사진 제공=한국천문연구원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587f73e58de41b28c2dc3a045b8a727886c42536290c1264f9b138ba6514da5a" dmcf-pid="uRz56jQ0EK" dmcf-ptype="general"> [서울경제] <p>한국천문연구원은 미국 항공우주국(NASA) 등과 공동 개발한 우주망원경 ‘스피어엑스’의 관측 데이터를 전 세계에 공유한다고 7일 밝혔다. NASA는 관측 데이터를 관련 웹사이트에 공개했다.</p> </div> <p contents-hash="ec18037435b0a8d2a5248bc456cc56b29803318ca29d8cf04cf219e28ab42f4e" dmcf-pid="7eq1PAxpEb" dmcf-ptype="general">한국 스피어엑스 연구팀은 이에 맞춰 새로운 이미지인 타란툴라 성운 이미지를 선정 및 합성해 공개했다. 양유진 천문연 책임연구원은 “한국 스피어엑스 연구팀은 관측 데이터를 과학 연구에 활용하기 위해 추가 데이터 처리 작업을 하고 있으며, 한국 천문학계를 대상으로 공모받은 120여 개의 연구주제를 바탕으로 연구 그룹을 구성하는 등 과학 연구를 진전시키기 위한 활동을 계속하고 있다”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38f2c01d5ab42bbe7fc70aaa83dad989791893ddc2a56299f915650bacfdb57e" dmcf-pid="zdBtQcMUwB" dmcf-ptype="general">스피어엑스는 3월 12일 발사돼 5월부터 본격 관측에 돌입했다. 지구 극궤도를 98분 주기로 하루 14.5바퀴 공전하며 600회 이상 촬영해 3600여 장의 이미지를 생성하고 있다. 이렇게 촬영한 이미지를 디지털 방식으로 합성해 향후 2년 동안 6개월마다 3차원 전천 지도를 제작해나갈 예정이다.</p> <p contents-hash="5ea7b6921ea95c6117bcaa2b9109d5e6fa26f3bd73ad0c8f8b5b5d04428c2a34" dmcf-pid="qJbFxkRurq" dmcf-ptype="general">스피어엑스는 우주의 기원, 은하의 형성과 진화 그리고 생명의 구성 요소인 물과 유기분자의 우주얼음 분포와 같은 주요 과학 임무를 목표로 한다. 이번에 관측 데이터 6000여 컷을 전 세계에 우선 공개해 다양한 과학 연구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번에 공개되는 자료는 본격 탐사가 시작된 5월 1일부터 1.5주 동안 얻은 이미지다.</p> <p contents-hash="80e70a1e768392305c8ba2d81b33a584862a467b4ed61057b751e6a01743e730" dmcf-pid="BiK3MEe7sz" dmcf-ptype="general">스피어엑스 데이터는 망원경이 각 관측자료를 처음 수집한 후 60일 이내에 순차적으로 공개된다. 데이터는 원본 그대로 공개되지 않고 스피어엑스 연구팀이 원시 데이터를 처리해 오류나 왜곡을 제거하거나 표기, 검출기 효과 보정, 정확한 천체 좌표로 정렬 등 기본적인 가공 작업을 거친다. 처리된 관측자료와 함께 데이터 처리에 사용한 절차까지 공개해 사용자가 독자적으로 연구할 수 있도록 한다.</p> <p contents-hash="0cd15728a57ac239e3b2bd093172cefde4cff598749e05dd218391737856a486" dmcf-pid="bn90RDdzs7" dmcf-ptype="general">스피어엑스 데이터는 캘리포니아 공대 천체물리학 및 행성과학 연구 및 데이터 센터(IPAC)의 아카이브 IRSA를 통해 축적, 공개된다. 스피어엑스뿐만 아니라 광시야 적외선 탐사 망원경 와이즈(WISE) 등 이전 미션에서 축적한 다양한 파장의 관측자료와 전천 지도가 보관돼 있다.</p> <p contents-hash="8571f8c005d4d3ed856262a37f0a7dab79f7de717ade065f90f6bff75aa0afdb" dmcf-pid="KL2pewJqIu" dmcf-ptype="general">스피어엑스는 자체로 가능한 과학 연구 임무 외에도 다른 임무와 연계해 광범위한 천문 연구도 가능하다. 데이터는 NASA의 제임스웹 우주 망원경이 추가 연구를 진행할 수 있도록 흥미로운 대상을 파악하고 NASA의 외계행성 탐사 위성인 테스(TESS)에서 수집한 외계행성의 매개변수를 개선할 수 있다. 유럽우주국(ESA)의 유클리드 우주망원경 미션과 함께 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의 특성을 연구할 수도 있다.</p> <div contents-hash="6f3308b9659645d68b41146585c2741d850c264fc7c403d5a4eaeff00470013a" dmcf-pid="9oVUdriBsU" dmcf-ptype="general"> <p>스피어엑스 한국 측 총괄 책임자인 정웅섭 천문연 책임연구원은 “스피어엑스 데이터 아카이브가 공개돼 우리가 예상하는 것보다 훨씬 더 다양한 방법으로 전 세계 천문학자들이 천문 연구에 활용할 것이다”며 “스피어엑스는 우주탐사 유산의 일환으로 어떤 새로운 연구결과들이 나올지 기대된다”고 말했다. </p> 김윤수 기자 sookim@sedaily.com </div>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김종민, ‘1박2일’ 하차할 뻔했는데 “걱정 하나도 안 돼” 07-07 다음 한국 바둑은 올해도 신진서 천하…상반기 다승·승률·상금 ‘올킬’ 07-07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