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의 거짓’·‘브더2’ 잘 나가네…작지만 강한 네오위즈 작성일 07-07 18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PC·콘솔 게임, 모바일 플랫폼 모두 사로잡아<br>대형 게임사보다 매출 규모는 낮으나 트렌드는 앞서<br>누적 판매량 300만장 ‘P의 거짓’, 차기작 등 IP 확장<br>‘브더2’, ‘소통’ 기반 글로벌 팬덤 형성…역주행 성공 신화</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FjQ0dpTNYO">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739f142058b4c0417f73eccd02515168109b22ff379032ae750b480801411339" dmcf-pid="3AxpJUyjGs"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브라운더스트2 대표 이미지. 네오위즈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7/dt/20250707160708067kixo.jpg" data-org-width="640" dmcf-mid="tCYc5kRutI"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7/dt/20250707160708067kixo.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브라운더스트2 대표 이미지. 네오위즈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0f4408557e6bafeb54c65af349553c6692918f6a83d2ba4c9442bb42b737a76d" dmcf-pid="0cMUiuWAXm" dmcf-ptype="general"><br> 작지만 강한 네오위즈가 ‘P의 거짓’, ‘브라운더스트2’에 힘입어 게임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웹보드, 인디게임 영역 강자에서 플랫폼과 장르 다변화에 성공한 모습이다. 네오위즈는 두 게임의 글로벌 팬덤을 견고히하면서 글로벌 인기 지식재산(IP)로 발돋움시킬 채비에 나섰다.<br><br> 7일 게임업계에 네오위즈는 지난해 연간 매출 3670억원, 영업이익 333억원으로 국내 대형 게임사 대비 규모는 작다. 그러나 P의 거짓과 브라운더스트2의 흥행으로 사업 전략의 성공 사례를 남긴 게임사로 주목받고 있다.<br><br> 2023년 출시한 P의 거짓은 국산 콘솔 게임이 글로벌 시장에서 충분히 경쟁 가능함을 입증한 사례다. 지난해 3월 기준 누적 이용자 수 700만명을 돌파했고 지난달 20일 기준 누적 판매량 300만장을 넘어섰다. P의 거짓은 엑스박스의 게임패스 데이원에 입점해 판매량 대비 높은 이용자 수를 기록했다.<br><br> 이 같은 P의 거짓의 성공은 ‘국산 콘솔 게임의 이정표가 되겠다’는 출시 전 각오를 실현한 것이다.<br><br> P의 거짓은 실제로 서구권에서 큰 성공을 거두며 국내외에서 탄탄한 팬덤과 인지도를 쌓았다. 네오위즈는 이 게임의 성공으로 글로벌 개발 스튜디오와의 교류가 더욱 활발해졌다. 지난달 선보인 공식 한글판 아트북은 하루 만에 펀딩 목표액 2000% 초과 달성했다.<br><br> 브라운더스트2는 ‘승리의 여신: 니케’, ‘블루 아카이브’에 이어 국산 대표 서브컬처 게임으로 자리잡아 가는 중이다. 이 게임은 탄탄한 팬덤을 구축하며 역주행 성공 신화를 썼다.<br><br> 네오위즈에 따르면 지난달 출시 2주년을 맞은 브라운더스트 2가 일간활성이용자수(DAU) 28만명을 돌파하며 역대 최대치를 달성했다. 이는 론칭 초기 시점 최고 기록인 약 27만명을 초과한 수치다. 대만·홍콩에서도 최고 매출 1위를 달성했다.<br><br> 브라운더스트2는 출시 이후 하락세가 이어졌지만 팬덤과의 긴밀한 소통을 통해 위기를 극복하고 장기적으로 흥행 가능한 IP로 발돋움하는 데 성공했다.<br><br> 네오위즈 측은 “당장의 매출상승보다 팬덤을 키우고 이들과 소통하는 것에 주력했다”며 “팬과의 접점을 확대하기 위해 국내외 오프라인 행사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고 말했다. 브라운더스트2는 이달 11일 중국 최대 서브컬처 행사 ‘빌리빌리 월드 2025’에 참가할 예정이다.<br><br> 네오위즈는 하반기 인디게임 3종과 자회사 파우게임즈의 ‘킹덤2’ 등 신작을 출시한다. 내년에는 탄탄한 내러티브를 내세우는 글로벌 개발사의 신작과 P의 거짓 차기작을 선보인다.<br><br> 김영욱 기자 wook95@d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세계적 해킹대회 '코드게이트' … 한컴그룹 회장의 '17년 뚝심' 있었다 07-07 다음 이만희 교수 "SW 공급망 보안, 단순 기술이 아닌 안보 문제" 07-07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