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지방에 AI 데이터센터 건립 시 지방세 할인·보조금 지원 필요" 작성일 07-07 1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박충권 의원, 'AI 데이터센터 구축 전략' 세미나 개최<br>SKT "AIDC, AI G3 도약 주춧돌…여러 지원 고려해 달라"<br>네이버 "에이전틱 AI 시대 걸맞은 새 데이터센터 전략 필요"</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1yE0XAxpCK">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513c7e33f33e941dcd931bc75dfdf2cfc752a4949b916076cc668bab3b253568" dmcf-pid="to4mA2tsCb"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서울=뉴시스] 윤정민 기자 = 박충권 국민의힘 의원이 7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지속가능한 AI 데이터센터 구축 전략 세미나'를 열었다. 2025.07.07. alpaca@newsis.com"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7/newsis/20250707173934777vsvb.jpg" data-org-width="720" dmcf-mid="XVwU5kRuWV"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7/newsis/20250707173934777vsvb.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서울=뉴시스] 윤정민 기자 = 박충권 국민의힘 의원이 7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지속가능한 AI 데이터센터 구축 전략 세미나'를 열었다. 2025.07.07. alpaca@newsis.com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1e2df365276d33b86f6bf3ccd0eda74988e88664de37a5fdf4792b26489c03e2" dmcf-pid="Fg8scVFOyB" dmcf-ptype="general"><br> [서울=뉴시스]윤정민 기자 = SK텔레콤이 지방에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를 확대하기 위한 방안으로 지방세 할인, 보조금 지원 등 사업자에게 실질적인 인센티브가 필요하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76d200e3c35281b8758cb59f0b39328775a53015058493d12d82fa2550179c82" dmcf-pid="3a6Okf3Ihq" dmcf-ptype="general">하민용 SK텔레콤 부사장은 7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지속가능한 AI 데이터센터 구축 전략' 세미나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산업통상자원부가 (AI 데이터센터) 지방 분산을 유도하기 위한 정책을 활발하게 논의해 달라"며 이같이 밝혔다.</p> <h3 contents-hash="db557e43cda6eb215a6276bee3c2c360505e208e275ec1e08071c567fe4f9b01" dmcf-pid="0NPIE40CWz" dmcf-ptype="h3"><strong>울산-AWS 사례 든 SKT "글로벌 사업자 유치하려면 전기료·세제 혜택 필요"</strong></h3> <h3 contents-hash="bc5c4c737c85326c56bfc232cff05ba233c30a1a3b40417afc1b717c691b63ca" dmcf-pid="pjQCD8phv7" dmcf-ptype="h3"><strong><strong>정부 "세액공제 협의, 비수도권 인력 양성 확대 등 지방 분산 적극 협력"</strong></strong></h3>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fffc5cec9c7fd1c4470486205589fc05d9362b396409d7a3ff78971d7c6c2285" dmcf-pid="UAxhw6UlWu"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울산=뉴시스] 고범준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20일 울산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울산 AI데이터센터 출범식에서 참석자들과 함께 세리머니를 하고 있다. 왼쪽부터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최민희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이 대통령, 프라사드 칼야나라만 AWS 인프라 총괄 대표,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김두겸 울산광역시장. 2025.06.20. bjko@newsis.com"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7/newsis/20250707173934969ukmx.jpg" data-org-width="719" dmcf-mid="5KPIE40CS9"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7/newsis/20250707173934969ukmx.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울산=뉴시스] 고범준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20일 울산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울산 AI데이터센터 출범식에서 참석자들과 함께 세리머니를 하고 있다. 왼쪽부터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최민희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이 대통령, 프라사드 칼야나라만 AWS 인프라 총괄 대표,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김두겸 울산광역시장. 2025.06.20. bjko@newsis.com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9267bed17418072257b571eac8b80600b74e73349781b5c986fda81fac5b3597" dmcf-pid="ucMlrPuSyU" dmcf-ptype="general"> <strong><br> 정부는 지역 균형 발전, 데이터센터 수도권 집중 문제 완화,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분산 등을 위해 지방에 AI 데이터센터 구축을 장려하고 있다. 이에 지난달 SK그룹은 아마존웹서비스(AWS)와 함께 울산에 국내 최초 AI 전용 데이터센터를 구축한다고 밝힌 바 있다.<br><br> 하 부사장은 "울산에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 밸류체인이 갖춰져 있다. 또 통신 기술 발달로 수도권과 연결할 통신 인프라도 잘 구축돼 있다"면서도 "울산에 (기존) 데이터센터가 없어 운영 인력을 확보하는 데 굉장히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방이 전력 생산지와 가까워 에너지 공급에 수월하지만 인력 측면에서 열악하다는 뜻이다.<br><br> 그는 "지방에 전력은 있더라도 도로(교통)가 잘 돼 있지 않는 등 기본 인프라가 갖춰지지 않으면 글로벌 클라우드 서비스 공급사(CSP)를 대상으로 국내에 데이터센터를 유치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br><br> 이어 <strong>"글로벌 CSP는 저렴한 전기료를 요구한다. 세제 등에서도 다른 경쟁국 대비 좀 더 매력적이었으면 좋겠다는 의견을 많이 표현했었다"</strong>며 "(AI 데이터센터 설립이) AI 3대 강국으로 발전하는 데 주춧돌이다. 정부가 여러 지원을 고려해 주면 좋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지역 대학·연구기관과 연계한 맞춤형 인력 양성 프로그램, 직원 정주 여건 개선, 데이터센터 건립을 위한 인허가 절차 간소화, 사업화 지원 등 행정적 지원도 요구했다.<br><br> 이동수 네이버클라우드 이사도 에이전틱 AI(인간 개입 없이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작업을 수행하는 자율 인공지능 체계) 시대에 도래함에 따라 완전히 새로운 데이터센터 구축 전략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기존 챗GPT 등 일반 AI 서비스보다 더 많은 토큰값을 만들어내 전력이 적어도 30배, 많게는 100~200배 필요하기 때문이다.<br><br> 이 이사는 유민수 한국과학기술원(카이스트) 교수 연구 결과를 인용해 구글 전 세계 트래픽을 <strong>에이전틱 AI로 활용하려면 미국 전력의 절반을 써야 할 정도로 수많은 전력을 소모해야 한다</strong>며 "다소 모델이 작더라도 우리가 지닌 인프라에 대해서 어떤 최적화된 AI 모델을 만들 것인지 중점적으로 (전략을) 설계해야 한다"고 말했다.<br><br> </strong> 과기정통부, 산자부 등 관계 부처도 지방 데이터센터 유치를 위해 정책적으로 협력 의사를 전했다. </div> <p contents-hash="155fb68eb62009d8e7858438dcce50a19c74a9808a66aacc4d512de002bb0c02" dmcf-pid="7riWCebYhp" dmcf-ptype="general">정부는 국내 그래픽처리장치(GPU) 수요 부족을 해소하고자 예산을 추경 편성해 GPU 구매 지원에 나섰다. 하지만 장기철 과기정통부 과장은 국내 데이터센터가 부족해 1만장만 구매할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955a4007ed624674f1dddca8221920749ab3d529e4ed29e352ead1c28f4474c0" dmcf-pid="zmnYhdKGS0" dmcf-ptype="general">장 과장은 "데이터센터 전력 소모 규모가 5000가구 아파트 단지 전력 소모량과 맞먹는다. 이러한 데이터센터를 짓기 위한 인허가 절차가 복잡하다"며 건축 허가, 환경 영향 평가 등 다수 절차를 신속히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a0b1dfaffe697f3264236a76c8f47579f1aa9cf35fdb529b86365abf1d4cac93" dmcf-pid="qsLGlJ9HW3" dmcf-ptype="general">아울러 ▲기획재정부와 AI 데이터센터 건립 관련 세액공제 협의 ▲기존 공랭식(기체 냉각) 방식에서 냉열판, 액체 냉각 등 친환경 냉각 기술을 적용하도록 지원하는 방안 ▲AI 데이터센터 관련 비수도권 인력 양성 사업 비중 확대 ▲전자파 및 환경 유해성에 대한 주민 인식 개선 활동 진행에 집중하겠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dd1479dbb9e8578e9ee667167ca56c76b7ce177a3e721d3bbb542164c110e4bf" dmcf-pid="BOoHSi2XCF" dmcf-ptype="general">최성준 산자부 전력계통혁신과장도 "현재 300여개 데이터센터 건립 계획이 들어와 있는데 국토교통부에 신도시 300곳에 해당하는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라는 것과 같다"며 현실적인 어려움도 전했다.</p> <p contents-hash="7b83484dbc0cd6256a59b0f5cbc8bb279889372d0fcabad1315c8066376582af" dmcf-pid="bIgXvnVZSt" dmcf-ptype="general">다만 전력 계통(송전망) 능력 평가를 간소화하거나 지방 분산 입지를 유도하는 인센티브를 마련해 수도권 집중 문제를 완화하려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과기정통부 등과 협력해 인허가 완화, 입지 인센티브 설계 등을 계속 논의하고 있다고 전했다.</p> <p contents-hash="ce41148bb273e4e71317d6d291ab0b593c9f7819e8b6e75d64fba7c68a612dbb" dmcf-pid="KCaZTLf5S1" dmcf-ptype="general"><span>☞공감언론 뉴시스</span> alpaca@newsis.com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주먹 '불끈' 황선우 "수영 세계선수권 4연속 메달 기대하세요" 07-07 다음 마리아, 스타덤 '트로트 차트' 주간랭킹 1위…황영웅 2위 07-07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