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위약금 면제 관련 시장과열 안 돼”…방통위, 통신3사 임원 소집 작성일 07-07 1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XomjFwJqDS">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2625951061c8cfd4df737baf3ea644de3fc5fe08255267eba30d20aa8fda5ede" dmcf-pid="ZgsA3riBDl"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사진은 7일 서울의 한 통신사 매장에 붙은 관련 안내문. 연합뉴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7/joongang/20250707184206196qkds.jpg" data-org-width="560" dmcf-mid="HeSrzhNfrv"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7/joongang/20250707184206196qkds.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사진은 7일 서울의 한 통신사 매장에 붙은 관련 안내문. 연합뉴스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af9ba1b701df593e436ee5d5f55778f2343b225f2d62facba406a3d6a25ba7c8" dmcf-pid="5aOc0mnbDh" dmcf-ptype="general"><br> 방송통신위원회가 이동통신 3사에 과도한 경쟁을 자제해 줄 것을 요청했다. SK텔레콤의 약정 위약금 면제 조치를 계기로 번호이동 수요를 노린 각 회사간 마케팅 경쟁이 과열 양상을 띄기 시작하면서다. </p> <p contents-hash="4430e2c88a27d09dbec8af411e54cf71de3d95e5a15f4a2c55a41e6c57caec6e" dmcf-pid="1NIkpsLKsC" dmcf-ptype="general">7일 방통위는 SKT, KT, LG유플러스 등 통신 3사 임원들을 불러 과도한 보조금 살포 등 불법행위를 자제해 줄 것을 요청했다. 지난 4일 SKT 고객 중 타사로 번호이동한 고객들의 위약금 면제 정책이 발표된 이후 이동통신시장이 비정상적으로 과열되고 있다는 게 정부 판단이다. </p> <p contents-hash="ef88c5d6f0843e171cef37236a22cc1586e4ffdf2ac05e55c6f6b920a4bba5a7" dmcf-pid="tjCEUOo9OI" dmcf-ptype="general">위약금 면제 발표 후 첫날인 지난 5일 기준 SKT에서 다른 통신사로 이동한 고객 수는 1만 660명으로 집계됐다. KT에서는 3131명, LG유플러스에서는 3664명이 SKT로 옮기면서 SKT 가입자의 순감 규모는 3865명으로 나타났다. 위약금이 면제되는 이달 14일까지 통신3사간 가입자 쟁탈전이 치열할 것으로 전망된다. 실제 KT와 LG유플러스의 경우, SKT의 위약금 면제 정책 발표 이후 갤럭시S25 등 플래그십 스마트폰의 번호이동 판매장려금을 기존 20만~30만원 대에서 90만원대까지 올렸다. </p> <p contents-hash="e3d7f349b3be186e1632842d3d65500c8f491048a3d2e17c4f49e60c1fccb67c" dmcf-pid="FAhDuIg2mO" dmcf-ptype="general">통신사 간 신경전도 치열해지고 있다. 이날 통신업계에 따르면 SKT는 방통위에 KT의 이용자 불안 조장 행위에 대해 조사해달라는 신고서를 제출했다. 소비자 불안을 부추기는 공포 마케팅을 자제하도록 당국이 실태점검 등을 통해 개입해달라는 취지다. SKT는 “이번 사이버 침해사고 관련 경쟁사의 법 위반에 대해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신고 여부는 확인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p> <p contents-hash="1b0b71ba4f13e16499379d98ef61a8688bde017696e306e3a25e06d8c5ba0910" dmcf-pid="3clw7CaVOs" dmcf-ptype="general">김남영 기자 kim.namyoung3@joongang.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자연재해에 가벼운 입…또 터진 아이돌 '경솔 발언' [엑's 이슈] 07-07 다음 박지윤, “남편 만행에 이혼까지 생각” 눈물 고백 (동상이몽2) 07-07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