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 ‘지상-위성 6G 통합 통신’ 시연…UAM 실시간 비행 성공 작성일 07-08 38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하늘과 땅을 하나로 잇는 6G, UAM 끊김없이 비행<br>세계 최초 실시간 시연·세계 최고 초공간 핵심기술 확보</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9hrt53SgSt"> <p contents-hash="d988da19901f3498ffcb0cc73852f7e5d734b5d26e60e6148d6968184fed8cc6" dmcf-pid="2lmF10val1" dmcf-ptype="general"> [이데일리 윤정훈 기자]국내 연구진이 지상망과 위성망을 통합하는 6G 초공간 통신 기술 실시간 시연에 처음으로 성공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5915b872ce13e6bbef67448f34a88f98e2670401e435bf18157e273a64cf710" dmcf-pid="VSs3tpTNC5"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ETRI 연구진이 지난 ETRI 컨퍼런스 2025 전시장에서 지상-위성 통합 6G 초공간 통신 기술을 시연하고 있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8/Edaily/20250708090506186htfb.jpg" data-org-width="589" dmcf-mid="KrayvYwMWF"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8/Edaily/20250708090506186htfb.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ETRI 연구진이 지난 ETRI 컨퍼런스 2025 전시장에서 지상-위성 통합 6G 초공간 통신 기술을 시연하고 있다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fcaef7b36927e9532d0c692d814775f1fb8baed134ca58ae3e1b2909c884132e" dmcf-pid="fvO0FUyjyZ" dmcf-ptype="general"> 향후 6G 시대의 핵심 인프라로서 6G 국제표준화의 주도권을 확보했다는 발판 마련의 청신호로 평가받으며 주목받고 있다. </div> <p contents-hash="49118dc8b04c731a76759bf520f6f1332dedfcba48a299956dae5a6715475812" dmcf-pid="4TIp3uWAyX" dmcf-ptype="general">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지상 기지국과 위성 기지국, 통합 단말, 6G 코어로 구성된 테스트베드를 통해 도심교통항공(UAM)이 실제로 도시 사이를 비행하면서 끊김없이 지상망과 위성망에 연결되는 모습을 실시간으로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고 8일 밝혔다.</p> <p contents-hash="78c5e1630879703501def18045a5d6c3724513842d9d841e370e10b4352cb5d0" dmcf-pid="8Ss3tpTNCH" dmcf-ptype="general">특히, 통합 단말과 6G 코어에는 ‘듀얼 스티어링 기술’이 적용되어, 상황에 따라 지상 또는 위성 신호를 자동으로 선택해 안정적인 통신을 제공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p> <p contents-hash="4746a5c73ed502cecc798f2f854ca5bdbff22e95a5328244507213d90f502b4c" dmcf-pid="6vO0FUyjWG" dmcf-ptype="general">연구진은 시연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CG 기반 애니메이션과 실제 테스트베드 장비를 연동해 지상-UAM과 위성-UAM 간 무선 링크 변화가 시각적으로 표현했다. </p> <p contents-hash="0aa718faa762cbc5a777862664187fd78634dd81f19cf8101ad86e1a58ee1f08" dmcf-pid="PTIp3uWAhY" dmcf-ptype="general">아울러, 키사이트 채널 에뮬레이터를 통해 실제와 유사한 무선 환경도 정밀하게 구현했다.</p> <p contents-hash="6b9566df294ec4f8816285a856ad1979b9f00ed1eff210dc5e5b44a75ee9a204" dmcf-pid="QyCU07YchW" dmcf-ptype="general">헤드마운트디스플레이(HMD)를 통해 마치 UAM에 탑승한 듯한 시점에서 초공간 6G 서비스의 체험도 가능하다. 이를 통해 몰입감 높은 체험이 향후 기술 상용화 시 큰 관심이 예상된다.</p> <p contents-hash="9221c2efaf2880f553184bb87ce0a3321233addddb8d69f96c22fd61307e4418" dmcf-pid="xWhupzGkyy" dmcf-ptype="general">ETRI는 이번 기술 시연에 적용된 6G 초공간 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3GPP 국제표준화 활동 주도 △개방형 무선 접속망(Open RAN) 연합 참여 등 국제표준 선도를 위한 연구 활동을 활발히 진행해 왔다.</p> <p contents-hash="596f6b5a51cd4e527a1b0284e58aad5d53faabff2ccfd567328bae1eaf20e66e" dmcf-pid="yM4cjEe7WT" dmcf-ptype="general">현재까지 이 기술과 관련해 ETRI는 △SCI 논문 14편 발표 △국내외 특허 48건 출원 △3GPP 국제표준 채택 43건 등 세계 최고 수준의 성과도 달성했다.</p> <p contents-hash="75f675ffb33116e0e03460e6d76a293aaa482e32dcad1a58e29e374d2d31a5eb" dmcf-pid="WR8kADdzyv" dmcf-ptype="general">백용순 TRI 입체통신연구소장은 “6G 시대에는 지상과 하늘의 경계를 허물고, 언제 어디서나 연결되는 진정한 ‘초공간 통신’이 실현될 것이다. 이번 시연을 통해 우리나라가 기술 리더십을 확고히 입증했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1d9faa4a60bb687c642ffd19afe698974687fcc829eb967961b33848938d93b4" dmcf-pid="Ye6EcwJqSS" dmcf-ptype="general">이문식 ETRI 위성통신연구본부장도 “5G까지는 지상과 위성망이 분리되어 있었지만, 6G는 양자를 완전히 통합하는 것이 목표이다. 이를 위해 민·군·산·학·연의 긴밀한 협업과 국제 경쟁력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0cfe76762a24e91538db2ccd813746017d3900bbc4f21ad0ba7faf03cf7cfd50" dmcf-pid="GdPDkriBWl" dmcf-ptype="general">향후 이러한 기술은 도심항공교통(UAM)과 같은 차세대 모빌리티 서비스에 우선 적용될 것이며, 지상과 위성을 끊김없이 연결하는 핵심 인프라로 활용될 것이다.</p> <p contents-hash="63c43f522ae92ca8508d0482ad58d05e2a9af8f0a670dd4632ec5706bda755c6" dmcf-pid="HoeOmCaVSh" dmcf-ptype="general">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이 지원하는 ‘6G 핵심원천 기술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됐다.</p> <p contents-hash="7068b4ffee85b754072289d4720c84f4bb30682982b144ffffa9b0e7a1b5d2ca" dmcf-pid="XgdIshNflC" dmcf-ptype="general">ETRI가 주관기관으로,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KT SAT, SK텔링크, AP위성, 클레버로직, 에프알텍, RFHIC, 엠티지, 아주대학교, 인하대학교, KAIST 등 국내 최고 수준의 기관이 참여하고 있다. 이 기술은 지난달 초 개최된 ‘ETRI 컨퍼런스 2025’에서 일반에게 공개되어 큰 관심을 받았다.</p> <p contents-hash="d28deee98d99d4fe30d31f58d13024a64a22b01d8fb2ad663a20eb06cefac287" dmcf-pid="ZaJCOlj4TI" dmcf-ptype="general">윤정훈 (yunright@edaily.co.kr)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LG유플러스, 정보보호백서 발간···올해 투자 30% 이상 확대 07-08 다음 [사이테크+] "온난화로 빙하 녹는 속도 가속…전 세계 화산 폭발 위험 증가" 07-08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