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 전 예언한 가상화폐, 이민사태... 재개봉 놓칠 수 없는 영화 작성일 07-08 3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독립예술영화 개봉신상 리뷰] 스왈로우테일></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PtI2jEe7OR"> <p contents-hash="9d9f585cc76b3a1436897f83df0f6b043f052a363cd4fe026643722f96ce8bd5" dmcf-pid="QZmbgAxpDM" dmcf-ptype="general">[김상목 기자]</p> <table align="center" border="0" cellpadding="0" cellspacing="0" contents-hash="6c78de910f1559f1d03efa97379b16d5faeb928e246a35ce0cd0a23e69e27f40" dmcf-pid="x5sKacMUIx" dmcf-ptype="general"> <tbody> <tr> <td>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8/ohmynews/20250708105701752tuya.jpg" data-org-width="1280" dmcf-mid="1HAjG5IiDO"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8/ohmynews/20250708105701752tuya.jpg" width="658"></p> </figure> </td> </tr> <tr> <td align="left"> <strong>▲ </strong> <스왈로우테일 버터플라이> 스틸</td> </tr> <tr> <td align="left">ⓒ (주)디오시네마</td> </tr> </tbody> </table> <div contents-hash="8d0af975814e2532bdc1c28b6962da0cffbba0280c2965754a13ee5e182a2a26" dmcf-pid="yn9m3uWADQ" dmcf-ptype="general"> 아득한 옛날, 세상은 일본 '엔'이 지배하고 있다. 전 세계에서 엔을 얻기 위해 몰려든다. 그들은 돈을 모아 고향으로 돌아가면 부자가 될 꿈에 오늘을 견딘다. 점점 많아진 밀입국 외국인 물결은 도시를 건설하기에 이른다. 일본인들은 도시를 '엔타운'이라 불렀다. 그곳 주민도 '엔타운'으로 통칭한다. 멸시를 담아서. </div> <p contents-hash="4a8bcc3d14b31d8a8b00c883d28c30016607426b0ead0e7bf50083a54457f585" dmcf-pid="WL2s07YcIP" dmcf-ptype="general">엔타운에서 한 여자가 죽었다. 장례 치를 돈도 없어 경찰서에 방치된 시신 곁에서 한 소녀가 조용히 서 있다. 이제 의지할 데 없는 13살 아이는 이리저리 팔리다 매춘부 겸 가수인 '그리코'에게 온다. 그리코는 다른 이들처럼 소녀를 돈을 받고 넘기려다 문득 마음을 바꿔 함께 살기 시작한다. 그는 이름도 없던 소녀에게 '아게하(나비)'란 이름을 붙여준다.</p> <p contents-hash="49953b331a6903f7ba46bef2334510b4700cb34e47b335a003b9518b3305213e" dmcf-pid="YoVOpzGks6" dmcf-ptype="general">아게하는 그리코의 친구들과 어울려 엔타운의 삶을 이어간다. 돈을 벌 수 있다면 폐품을 뒤지고, 서빙도 하고, 얌체 장사도 척척 해낸다. 그리코와 남자친구 '페이홍'은 그녀가 가수로 무대에 서는 라이브 클럽을 여는 게 꿈이다. 우연히 위조지폐 제조법을 습득한 일당은 돈을 모아 꿈에 그리던 '엔타운 클럽'과 밴드를 결성한다. 곧 그리코는 가수로 성공하지만, 그들 앞에 뜻밖의 사건과 위험한 상황이 쏟아지기 시작한다. 그리코와 아게하, 친구들은 위기를 탈출할 수 있을까?</p> <div contents-hash="d4a86e9f6fd7030244ba68be1ad58eb628df87166cba0740d2b752e1e943aa9d" dmcf-pid="GgfIUqHEI8" dmcf-ptype="general"> <strong>'엔'이 지배하는 세상을 만나다</strong> </div> <table align="center" border="0" cellpadding="0" cellspacing="0" contents-hash="5f6554bef578ac77fcffdec7f9ceca52bbd892edd85c6c604e348060b4e3fff9" dmcf-pid="HhgtQebYw4" dmcf-ptype="general"> <tbody> <tr> <td>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8/ohmynews/20250708105703045heox.jpg" data-org-width="1280" dmcf-mid="FUJdCvc6Em"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8/ohmynews/20250708105703045heox.jpg" width="658"></p> </figure> </td> </tr> <tr> <td align="left"> <strong>▲ </strong> <스왈로우테일 버터플라이> 스틸</td> </tr> <tr> <td align="left">ⓒ (주)디오시네마</td> </tr> </tbody> </table> <div contents-hash="5fe40b95314f6327171461d51ea499747499d17e10093a67dae794a0f1466f05" dmcf-pid="XlaFxdKGmf" dmcf-ptype="general"> <스왈로우테일 버터플라이>가 돌아왔다. 1996년 처음 공개된 영화는 이와이 슌지의 대표작 중 하나이자 1990년대 일본영화를 대표하는 작품 중 일부로 남았다. 하지만 이때만 해도 아직 일본 대중문화 수입은 공식적으로 열리지 않던 때라 비공식 경로로 극소수만 접할 수 있었다. 그런 희소성과 함께 영화는 '전설' 같은 존재가 되었다. 국내 극장가에서 본 작품이 개봉한 건 무려 9년이 지나서다. </div> <p contents-hash="d968299e0086569d482e2aac0a4d57d4707a3e1e61d614ca8b6c5f58ff07e4f5" dmcf-pid="ZSN3MJ9HEV" dmcf-ptype="general">물론 이런 경우는 당시엔 흔한 사례다. 하지만 굳이 해당 사실을 적시한 데엔 이유가 있다. 특정 영화를 볼 때 작품의 완성도와 여러 요소를 고려해야 하지만, '타이밍' 역시 간과할 수 없다. 물론 잘 만든 작품은 시효를 초월하는 위력을 갖지만, 문제는 관객 역시 최적화된 상태로 영화와 호흡을 맞추면 더 좋다는 것. 고작 9년 차이인데 뭐가 문제냐 하겠지만, 이 영화에 담긴 독특한 기운은 '세기말'에 직면한 당대 정서를 고스란히 압축한 셈이라 20세기 말 vs Y2K를 넘긴 21세기 초에 보는 게 똑같을 수 없던 것이다.</p> <p contents-hash="0cacf17a98a227ed97ba33222299835b3c8fc510fa90a69b9eac42497a8123ae" dmcf-pid="5vj0Ri2XI2" dmcf-ptype="general">2차 세계대전 전후 기존 1세계 국가 중 가장 가파른 전후 부흥과 경제성장을 달성한 일본은 한때 미국을 추월한다는 호들갑이 나올 만큼 1980년대 번영을 누렸다. 일본 부동산을 팔면 미국 땅을 전부 살 수 있다는 말도 안 되는 소리가 떠돌던 때다. <떠오르는 태양>이나 <겅호> 같은 영화에서 일본의 미국기업 인수를 소재로 삼고, <로보캅> 시리즈 배경인 디트로이트시 강제개발 주역도 일본 회사로 교체되던 시절이다. 물론 1990년 전후 터진 거품경제 붕괴로 순식간에 신기루처럼 사라졌지만 말이다.</p> <p contents-hash="21c59f5ca0cfd745dda95d6b8c41235381d9dad4f4c4af0c0608550f7ae4023c" dmcf-pid="1TApenVZD9" dmcf-ptype="general">영화는 정말 엔이 달러의 지위를 아득히 넘어 세계 기축통화가 된 가상의 세계를 그린다. 엔을 벌고자 외국에서 밀물처럼 사람이 모인다. 그들은 한국에서 이주노동자가 귀화하는 과정처럼 저임금 노동, 심지어 불법적인 일에 종사하며 점점 뿌리를 내린다. 세계 어느 나라나 자연스럽게 겪는 과정이다. 물론 중간과정 진통과 혼란은 발생할 수밖에 없다. 영화 속 가상의 도시 엔타운엔 중국계, 미국계, 이탈리아계까지 다국적 유민이 넘친다.</p> <p contents-hash="08ecfd8cea63e269a6432fa7d41878c2db879fd42ff9eff0f85a30f52b45af5b" dmcf-pid="tycUdLf5EK" dmcf-ptype="general">문제는 일본 사회에선 그들을 더럽고 불결한 해충으로, 자신들의 기득권을 빼앗으러 온 불쾌한 이방인으로만 간주한다는 점이다. 이미 2세가 허다하고, 외모는 외국일지언정 일본 땅에서 태어나 자란 이들에겐 이곳이 고향일 수밖에 없다. 하지만 일본은 이를 포용할 생각 없이 모든 문제를 엔타운으로 돌릴 뿐이다. 그러나 엔이 세계를 지배하는 상황에서 엔타운을 막을 방도는 존재하지 않는다. 트럼프가 아무리 국경을 폐쇄하고 강제추방을 일삼아도 이민자 국가의 정체성을 바꿀 수 없는 것처럼.</p> <p contents-hash="3cc0418226a0db981f918489890a7c3d8a33c5feff9f3ab350038efbf508488d" dmcf-pid="FWkuJo41sb" dmcf-ptype="general">영화 속 일본이 과시하는 엔의 존재 자체가 자석처럼 작동한다. 같은 일을 해도 일본에서 하면 고생한 보람을 누리는 걸 본 이들에게 엔타운의 고단한 삶은 위험을 기꺼이 감수하게 만들고, 엔을 획득하는 게 목표인 이들에게 온갖 탄압은 이미 자국에서도 겪어본 일이다. 일본사회만 이걸 모를 뿐. 엔타운이 문제란 경찰에게 누군가 일갈한다. 이건 당신들이 만든 것이라고. 엔의 위험한 마법에서 족쇄를 끊은 존재가 누구인지 확인하면 알 수 있는 일이다.</p> <div contents-hash="98b0bfb91404adeb8dcd57aef6d1c4bf48ff147b4959df8c6f14252db34cdc50" dmcf-pid="3YE7ig8tmB" dmcf-ptype="general"> <strong>차별과 혐오가 넘치는 '옛날 옛적'</strong> </div> <table align="center" border="0" cellpadding="0" cellspacing="0" contents-hash="6705267832dcb10d8cf6fdb82f1c82d107c00c1ecdb320c9a8fb6bcf055cd4a3" dmcf-pid="0siX4Q7vmq" dmcf-ptype="general"> <tbody> <tr> <td>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8/ohmynews/20250708105704346hfvd.jpg" data-org-width="1280" dmcf-mid="brWyKf3IIa"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8/ohmynews/20250708105704346hfvd.jpg" width="658"></p> </figure> </td> </tr> <tr> <td align="left"> <strong>▲ </strong> <스왈로우테일 버터플라이> 스틸</td> </tr> <tr> <td align="left">ⓒ (주)디오시네마</td> </tr> </tbody> </table> <div contents-hash="ff806a69069308874fad0fed917d9d6d07210c2141f5d3e7b9c3c97a9edb40b1" dmcf-pid="pOnZ8xzTwz" dmcf-ptype="general"> 불청객 취급을 당하는 엔타운 주민에게 일본 사회는 차갑기 그지없다. 차별과 혐오는 숨 쉬듯 자연스럽다. <설국열차> 속 무임승차자 집단인 '꼬리칸' 사람들을 향한 시선과 처우가 가장 근사치에 가깝다. 자연스럽게 주류에 편입되지 못한 채 멸시와 배제에 직면한 엔타운은 음지화하고, 범죄의 온상으로 찍힌다. 악순환의 반복이다. </div> <p contents-hash="e09a6b06f5857cc1a41075a7297e35daad1421fe479e54037800cbf5e58d09d6" dmcf-pid="UIL56Mqyr7" dmcf-ptype="general">하지만 정작 일본 정부는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엔타운 해체를 추진하지도 않는다. 그게 가능하지 않다는 것, 엔의 지배에 따른 당연한 반대급부란 점을 뻔히 알기 때문이다. 마치 <매트릭스> 시리즈에서 기계제국이 일종의 '휴지통'으로 인간들의 근거지 '시온'을 남겨둔 것과 같은 이치다.</p> <p contents-hash="ece1dd451f5bc5b636febd0b17392bc0f73e6e512438828cc2b20a43faffe3aa" dmcf-pid="uCo1PRBWEu" dmcf-ptype="general">청하지 않은 손님이기에 감수해야 한다고 여길 테지만, 소녀 아게하의 존재는 거기에 균열을 낸다. 아게하의 과거는 모호하지만, 일본인이란 단서는 쉽게 발견된다. 제대로 교육받지 못 했어도 일본어가 유창하다. 그런 소녀가 엄마를 잃고 팔려 다니는 위기는 엔타운의 슬럼가 풍경이라기보단, 일본의 과거 유곽을 연상케 만든다. 자의로 엔타운의 일원이길 택하는 아게하의 결단은 그래서 퍽 자연스럽다. 결국에 사회에서 가장 빈곤하고 환대받지 못 하는 이들이 역설적으로 엔타운 주민으로 인정받는 공식이 통한 셈이다.</p> <p contents-hash="d619c75af3f30fa060a24301299d4872743dda4f1ae76cf05051916c8c4b0f08" dmcf-pid="7hgtQebYDU" dmcf-ptype="general">엔타운은 일본 내에 있지만, 외국도 일본도 아닌 독자적 정체성을 갖는다. 마치 일본 대도시의 한인타운과 주일미군 기지 주변, 차이나타운 등이 결합된 형국이다. 이곳에선 일본어보다 중국어와 영어가 일상적으로 통한다. 영어는 서로 다른 출신 간에 일종의 공용어로, 중국어는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중국계와 의사소통 때문이다. 그런 독특한 정체성은 영화 내내 중요한 장치로 활용되는 엔타운 밴드 구성원의 음악적 자부심과 연결된다.</p> <p contents-hash="60ef1c85af6dd1f35cc2cb7da8706382723ebc374b858f9fdf63b65b2234d871" dmcf-pid="zlaFxdKGDp" dmcf-ptype="general">엔타운 주변에는 범죄와 마약, 매춘과 폭력이 넘치지만, 독특한 공동체와 무국적 문화 융합 역시 자연스레 발생한다. 시간과 관심만 주어지면, 어느 순간에 이들은 영화 속 일본 사회에 새로운 기운을 수혈해줄 것이다. 그러나 편견과 무지에 익숙한 자들은 이를 용납하지 않는다. 다중 언어 구사 능력은 서로 다른 세계를 연결하는 통로이자 개방된 시야를 제공하는 마법의 도구다. 하지만 이 능력을 가진 이들은 엔타운의 고통과 분노를 남들보다 더 본질적으로 체험하는 존재이기도 하다. 소녀 아게하가 그런 것처럼.</p> <div contents-hash="1a98220431a0919a7a80617d36d6a8d91e511f81700142548b4e5f8a6b238c37" dmcf-pid="qSN3MJ9HD0" dmcf-ptype="general"> <strong>세기말 폐허의 소녀, 나비로 성장하다</strong> </div> <table align="center" border="0" cellpadding="0" cellspacing="0" contents-hash="4da4678d4cd8e2d9f27962e0ca49cb080a8a23ada4b2df661b079f33e6a220e7" dmcf-pid="Bvj0Ri2XE3" dmcf-ptype="general"> <tbody> <tr> <td>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8/ohmynews/20250708105705652ljok.jpg" data-org-width="1280" dmcf-mid="6gdGV6UlIe"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8/ohmynews/20250708105705652ljok.jpg" width="658"></p> </figure> </td> </tr> <tr> <td align="left"> <strong>▲ </strong> <스왈로우테일 버터플라이> 스틸</td> </tr> <tr> <td align="left">ⓒ (주)디오시네마</td> </tr> </tbody> </table> <div contents-hash="7294eda6374133acb29a3d0eb9ce7771ee8f564e272db23885e942223ac137ae" dmcf-pid="bUv6DsLKwF" dmcf-ptype="general"> 오랜만에 다시 만난 <스왈로우테일 버터플라이>는 희미한 기억보다는 몇 배는 더 정치·사회적 요소가 짙게 농축된 작업이었다. 하지만 감독은 그런 배경과 소재를 절묘하게 녹여내면서도 시사적인 이야기로 폭주하지 않는다. 그저 그런 환경 속에서 등장인물 각자의 자유의지와 타인을 향한 태도가 그들을 어떻게 '성장' 혹은 좌절이나 패배에 처하게 만드는지 세밀하게 표현할 뿐이다. </div> <p contents-hash="14e6f9714341049e7305f89e70d925b570269d39c4ddfbc62ecd56c8c7a8e3b1" dmcf-pid="KuTPwOo9Dt" dmcf-ptype="general">처음 등장할 때 13살이던 소녀는 험난한 성장기를 겪는다. 인신매매 상품 취급을 받으며 폭력에 고스란히 노출되는 위기를 수차례 겪는 건 기본이고, 위폐범 일당에 가담하거나 마약에 손대기도 한다. 성장 스토리 치고는 기구하다는 말론 모자랄 만큼 파격적인 행보다. 물론 엔타운 자체가 소녀에게 가하는 위험도 크지만, 그런 환경에 버려지게 둔 일본 사회의 차가운 시선과 방치가 더 서늘하게 느껴진다. 그런 주인공을 거두고 애정으로 대하는 엔타운 공동체의 우정이 유독 돋보이는 지점이다.</p> <p contents-hash="db50f0052230388f6ed3ef11cd09c3192cecab5c8a2d20a8eae9d1c2b5833ad1" dmcf-pid="97yQrIg2r1" dmcf-ptype="general">무엇보다 영화를 돋보이게 하는 건 언뜻 허무맹랑한 SF 활극처럼 꾸며진 무국적 설정을 떠받치는 이미지와 사운드의 환상적 여운일 테다. 한때, 그리고 지금도 여전히 한국 독립영화계에 일정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이와이 슌지 특유의 '뽀얀' 디지털 필터와 전설적인 촬영감독 시노다 노보루가 포착하는 명불허전 장면 & 일본영화 OST를 언급할 때 늘 빠지지 않는 고바야시 타케시 프로듀서와 주연을 맡은 가수 차라(CHARA)가 뿜는 세기말 음악은 설명하긴 힘든데 잊히지 않는 순간을 관객의 뇌리에 새긴다.</p> <p contents-hash="03d6123b62b6dcaff22548756095b5c82fe05be0f2d0b7b42d6eaa4f65dbb00a" dmcf-pid="2zWxmCaVI5" dmcf-ptype="general"><스왈로우테일 버터플라이>를 어떻게 정의할 수 있을까? 20년 만에 재개봉하는 영화를 다시 보면 작품이 예언하듯 구현한 이민 사태와 가상화폐 열풍 같은 시의성에 은근히 놀라게 된다. 정치풍자극이었던가 싶을 만큼. 또는 엔타운이란 '이상한 나라'에 표착한 또 다른 '앨리스' 이야기인 듯도 하다. 혹은 거대한 평행세계 영상 화보집이나 영화 버전의 콘셉트 앨범 뮤직비디오 확장판으로 볼 수도 있겠다. 혹자는 그저 만화적 상상력을 실사화한 일본 영화 전형이라 치부할 위험도 다분하다.</p> <p contents-hash="e4178446e3bc7f7b325304e1f81c8daab9fcee8752124d1d34f6e6b475389f2c" dmcf-pid="VqYMshNfmZ" dmcf-ptype="general">그러나 결국 이 영화는 생과 사를 오가며 변화하는 캐릭터들의 성장기를 쌉쌀한 뒷맛의 판타지 동화로 구현한 비전일 것이다. 느닷없이 '데우스 마키나'처럼 출몰하는 추억의 팝송 'My Way'가 어떤 느낌으로 들리는가에 따라 관객 각자의 결론은 다를 수 있겠지만, 이 시리도록 아름다운 이야기를 세기말 기운과 함께 동시대에 목격하지 못한 게 한스러워도 돌아온 기회를 포기하지 말자. 감독 역시 꾸준히 작품활동 이어가지만, 그 시절에만 가능했던 성취에 닿지 못 하니 너무 억울할 필요는 없다. <스왈로우테일 버터플라이>는 지금도 충분히, 그리고 새로운 의미를 추가해 '클래식'에 추가될 영화이니 말이다.</p> <p contents-hash="84408caa2f2af59ab7330a8771f731e7fac983a421b66c5f209c039612d4580c" dmcf-pid="fBGROlj4mX" dmcf-ptype="general"><작품정보></p> <p contents-hash="a517c7c098c4002391e0b19b64445947143fe23942d4eef874cdb4672e3c2d99" dmcf-pid="4bHeISA8EH" dmcf-ptype="general">스왈로우테일 버터플라이<br>スワロウテイル<br>Swallowtail Butterfly<br>1996|일본|드라마<br>2025.07.16. (재)개봉|147분|청소년 관람불가<br>감독/각본/편집 이와이 슌지<br>출연 차라, 이토 아유미, 미카미 히로시, 에구치 요스케, 앤디 후이, 와타베 아츠로, 야마구치 토모코<br>수입/배급 (주)디오시네마</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공식] 쇼호스트→유튜버까지 판매왕 가린다…SLL 신작 ‘세일즈 배틀’ 예능 하반기 공개 07-08 다음 '미스트롯' 하유비, 러블리 서머송 '꽃다발' 오늘(8일) 공개 07-08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