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3대 강국 가속"…과기정통부, 기업·현장과 매주 만난다 작성일 07-08 3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류제명 2차관, 첫 방문으로 KOSA·KISIA 낙점<br>AI·보안 생태계 민관 협력 논의</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y2LgfMqyeB">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23d3f70a4877d7ca10368579fc2b4c7b52089f41a56571623f3bbf9b2441e0c1" dmcf-pid="WVoa4RBWdq"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8/akn/20250708160140442aunf.jpg" data-org-width="340" dmcf-mid="xiTWkOo9Rb"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8/akn/20250708160140442aunf.jp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11219e5a9ac5d7be11e74daf4df7128c60b8907e90590fc8d80609c1d6a8671d" dmcf-pid="YfgN8ebYiz" dmcf-ptype="general">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인공지능(AI) 3대 강국 실현을 위한 현장 중심 소통에 본격 착수했다. 매주 AI·디지털 기업, 연구기관을 직접 찾아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정책에 반영하겠다는 방침이다.</p> <p contents-hash="4e0446a943794d6657a820b81eab6a1b8a2acace2557896c6f5064a5d98c5f82" dmcf-pid="G4aj6dKGd7" dmcf-ptype="general">류제명 과기정통부 제2차관은 8일 한국인공지능·소프트웨어산업협회(KOSA)를 방문해 업계 관계자들과 만나 'AI 3대 강국 조기 실현을 위한 민관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같은 날 이어진 정보보호산업협회(KISIA) 방문에서는 보안 기업들과 만나 AI 산업의 지속가능성을 뒷받침할 사이버보안 분야의 전략을 공유했다.</p> <p contents-hash="9fa929b96627d3e32a327c229baeb45741be6dc9d1de6501f389446c41a41a23" dmcf-pid="H8NAPJ9Hnu" dmcf-ptype="general">이번 현장 방문은 과기정통부가 새 정부의 핵심 국정과제로 추진 중인 AI 산업 정책을 구체화하기 위한 첫걸음이다. 정부는 매주 AI 분야 기업·학계·연구소 등을 찾아 정례 간담회를 갖고, 현안에 따라 핵심 사안을 집중적으로 논의하는 방식으로 현장 소통을 이어갈 계획이다.</p> <p contents-hash="132345cbc44ead313210278a78963dfe17066a250acec179578741c2c4762410" dmcf-pid="X6jcQi2XJU" dmcf-ptype="general">이날 KOSA 간담회에는 조준희 회장을 비롯해 LG AI연구원, 네이버클라우드, 퓨리오사AI, 업스테이지 등 AI 모델, 클라우드, AI 반도체 기업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기업인들은 글로벌 AI 경쟁 동향을 공유하고, 한국의 AI 산업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규제 개선, 인프라 확충, 인재 양성 등 정책적 요구사항을 전달했다.</p> <p contents-hash="c8ceb83dc84a2ce37850010cf3223c34d76330a3a05e822b3a2634ce12719b71" dmcf-pid="ZPAkxnVZLp" dmcf-ptype="general">류 차관은 "AI는 국가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수단이자 진정한 성장을 이끄는 동력"이라며 "새 정부도 AI를 핵심 국정과제로 삼고 있는 만큼,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해 차질 없이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016668d34ed1ae99383d7a19227e488cf2bfd151e3305f9ff9a0beb72e86f369" dmcf-pid="5QcEMLf5i0" dmcf-ptype="general">조준희 KOSA 회장은 "민간도 정부 정책에 보조를 맞춰 글로벌 AI 경쟁력 확보와 생태계 혁신을 위해 함께 노력하겠다"고 화답했다.</p> <p contents-hash="097257f03b176c3bc593853a40f789a31b5c92feacee57d5d063ebfa97d33178" dmcf-pid="106QUK5rL3" dmcf-ptype="general">이어 열린 정보보호기업 간담회에는 조영철 KISIA 회장을 비롯해 안랩, 이글루시큐리티, 이로운앤컴퍼니 등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고도화되는 사이버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기술 개발과 산업 생태계 조성 방향을 공유하고, 민관 협력을 통한 보안 역량 강화 필요성에 공감했다.</p> <p contents-hash="8dd7b5aa0d08d1609149aee1360fee5f3995822e303a9128f7c5a8496ebfdc1d" dmcf-pid="tpPxu91meF" dmcf-ptype="general">류 차관은 "진정한 AI 선도국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탄탄한 정보보호와 보안 기술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면서, "보안 산업이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하는 한 축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9c118cf9397a7a167a056872e6c460266dc6eb90b328b3d5cf26f737834ede79" dmcf-pid="FUQM72tset" dmcf-ptype="general">과기정통부는 이번 간담회를 시작으로 주요 AI 기업과 연구기관을 순차적으로 찾아가는 AI 현장 소통 시리즈를 본격화할 예정이다. AI 핵심 기술 확보, 산업 생태계 활성화, 인재 양성, 안전한 활용을 위한 규제 정비 등 전방위적 논의가 이뤄질 전망이다.</p> <p contents-hash="f82c2ff9bd44e2f89a8d9e4d6cad06862e40d1af1f41905870d4f131b3fc13f6" dmcf-pid="3uxRzVFOJ1" dmcf-ptype="general">박유진 기자 genie@asiae.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데니스 리차드, 이혼 소송 中 밝혀진 충격적 한 달 생활비… 매달 1억 쓴다 [TD할리우드] 07-08 다음 [AI와 디지털전환] 'K-AI' 100조 투자, 무엇이 동반돼야 하는가 07-08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