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계산기' 두드리는 가전·배터리…"中 업체 따돌릴 기회될 수도" 작성일 07-08 21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PLCHlGrRSy">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4d15e4dfdae5a478064b04a67c34930fc0aba84e64b41e3b9fa4f430612d38c9" dmcf-pid="QohXSHmeTT"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8월 1일부터 한국에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7일(현지시간) 밝혔다. 지난 4월 2일 발표 때와 같은 관세율을 유지, 한국 입장에서는 관세율이 높아지는 최악의 상황은 피했고 협상 기간도 연장되는 결과를 얻었다. 사진은 8일 경기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에 수출용 컨테이너들이 세워져 있는 모습. /사진=뉴스1"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8/moneytoday/20250708173644939rqkr.jpg" data-org-width="1200" dmcf-mid="6uLDgEe7CW"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8/moneytoday/20250708173644939rqkr.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8월 1일부터 한국에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7일(현지시간) 밝혔다. 지난 4월 2일 발표 때와 같은 관세율을 유지, 한국 입장에서는 관세율이 높아지는 최악의 상황은 피했고 협상 기간도 연장되는 결과를 얻었다. 사진은 8일 경기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에 수출용 컨테이너들이 세워져 있는 모습. /사진=뉴스1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c5750c9a36e1a9da5b7a5e77bf6e90d38c06a2511b41deec495e674380b1f814" dmcf-pid="xglZvXsdvv" dmcf-ptype="general">미국 정부의 상호관세 부과 계획에 가전·배터리 업계의 동요는 크지 않다. 해외에서 생산하는 체계를 갖췄고, 중국산에 더 큰 관세가 부과되는 게 오히려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 다만 관세부과로 가격 인상이 불가피한데 그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은 부담이다. </p> <p contents-hash="327752d7fb1d39d31df341e40a059e4fe74f5c97945cc73ce80781973bf2191b" dmcf-pid="yF8iPJ9HCS" dmcf-ptype="general">가전 업계는 품목별로 미국의 상호관세 영향이 다를 것으로 전망한다. TV는 전 세계 생산의 58%가 상대적으로 높은 관세를 적용되는 중국에서 생산되는데, 국내 기업의 경우 멕시코와 동유럽에서 대부분 만든다. 현재 공지된 수준으로 관세가 부과된다면 미국 시장에서 경쟁 중인 중국기업 대비 유리한 고지를 차지할 수 있다. 미국 정부는 지난 5월 12일 합의로 일단 90일 동안 중국산 수입품에 30%의 추가 관세를 부과 중이다. </p> <p contents-hash="60d23496f4238c4e2adfb8a2e031a1a295b5ab60605636542e1c94d5fdfca0e9" dmcf-pid="W36nQi2Xll" dmcf-ptype="general">냉장고, 세탁기, 에어컨도 해외 생산 확대로 수출 규모가 감소하는 추세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미국 생산 비중을 높이며 관세부과에 대응 중이다. 일부 생산시설 확충도 준비 중이다. 또 관세율이 낮은 중남미 지역 등의 생산 비중을 높이는 '스윙 생산'도 대응 방침 중의 하나다. 다만 '철강·알루미늄 파생 제품 관세부과'에 가전이 포함된 것은 마이너스 요인이다. </p> <p contents-hash="dbdf6328efa7f0b787a085cf21f6eedd4a38ea3709a413bfd0909077a72bf2a9" dmcf-pid="Y0PLxnVZhh" dmcf-ptype="general">배터리 업계는 현지화 생산 전략을 추진해온 만큼 타격이 크지는 않다는 입장이다. 국내 기업들은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 시기 IRA(인플레이션감축법)에 따라 현지 생산 거점을 늘려왔다. 합산 약 82조원을 투자해 북미에 공장 15개를 짓기로 했으며 이 중 일부는 이미 가동에 들어갔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배터리 기업은 배터리를 수출하는 구조가 아니라 미국에서 만들어서 파는 구조를 구축해 영향이 제한적일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배터리 업계도 경쟁 관계인 중국의 상호관세가 확정되면 반사이익을 누릴 수 있다. </p> <p contents-hash="b347319c8188141009d59b2fdd063ce075a769fffd777ac8e56f1ebd9fcebb30" dmcf-pid="Gs1qFzGkyC" dmcf-ptype="general">하지만 가전과 배터리 업계 모두 관세부과로 인한 원자재와 부품 가격 상승으로 인한 간접 영향은 불가피하다. 미국에서 완제품을 생산하더라도 부품과 소재는 수입해서 써야 하므로 원가 상승의 압박을 받을 수 있다. 가전 업계에서는 가격 상승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예상도 나온다. </p> <p contents-hash="6caa7ad8990b878716d5910c51f93f5f31d01f0df9bb5f048778f5201eab1daa" dmcf-pid="HOtB3qHECI" dmcf-ptype="general">태양광 기업은 미국 내 가격 상승으로 인한 수요 둔화를 우려한다. 미국에서 모듈은 자체 생산하지만, 셀의 경우 수입 의존도가 높다. 지난해 1~10월에만 수입한 셀은 누적 10.86GW로 전년 동기 대비 281% 증가했다. 상당수가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출발한 물량이었는데 이번 관세 서한을 통해 라오스 40%, 캄보디아 36% 등의 상호관세가 예고됐다. 태양광 업계 관계자는 "트럼프 정부의 관세 부과 조치에 따라 주요 기업들은 미국을 중심으로 공급망을 재편할 수밖에 없게 됐다"며 "AI(인공지능) 데이터센터 등으로 미국 내 에너지 수요가 늘고 있는 상황에서 현지 판매가격이 상승한다면, 중장기적으로 국내 에너지 업체들의 수익성이 개선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p> <p contents-hash="6eeae1258ea18e7d4d0932e76789e93f2e0af83caf0aefa2b7a4980ed8256bde" dmcf-pid="XIFb0BXDTO" dmcf-ptype="general">김남이 기자 kimnami@mt.co.kr 김도균 기자 dkkim@m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걷거나 퀴즈 풀면 6만 원 준다…기후행동 기회소득 앱 활용법 07-08 다음 "키스로 금지약물 오염"…프랑스 펜싱선수, 도핑 혐의 벗어 07-08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