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AI처럼 새 AI 연구 나오려면 국가 중심 장기 펀딩 있어야" 작성일 07-08 22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이수인 워싱턴대 교수</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4enngEe7T0">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4b1aefe51b1948c156b4683f513afafd19022cb7491e7682e89ff9f59f1f1d9a" dmcf-pid="8dLLaDdzl3"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이수인 워싱턴대 컴퓨터과학·공학과 교수. 이채린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8/dongascience/20250708180738173mbij.jpg" data-org-width="680" dmcf-mid="fgYYX0vavp"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8/dongascience/20250708180738173mbij.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이수인 워싱턴대 컴퓨터과학·공학과 교수. 이채린 기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46ada06712f9c22205e7de01d70a29e5b599016bb1c8b447630a3ec42a3199b0" dmcf-pid="6JooNwJqlF" dmcf-ptype="general">"인공지능(AI) 기술이 발달하면서 ‘설명 가능한 AI(XAI)’처럼 새로운 AI 연구 분야가 계속 생겨나고 있습니다. AI 분야에서도 장기적인 연구에 투자해야 이런 경쟁력 있는 분야가 나오고 선도할 수 있습니다. 국가가 주도하는 AI 펀딩이 중요한 이유입니다."</p> <p contents-hash="23500d916fd55e830ca93a06630ecf2adc22386de79ccde4a48458512b1a2a64" dmcf-pid="PiggjriByt" dmcf-ptype="general">'2025 세계 한인 과학기술인대회' 참석 차 한국을 찾은 이수인 워싱턴대 컴퓨터과학·공학과 교수가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과총) 사무실에서 8일 기자들과 만나 AI 분야 투자의 중요성을 언급하며 이렇게 말했다. 세계적으로 XAI 분야를 이끌고 있는 이 교수는 9일 세계 한인 과학기술인대회 기조강연자로 선다. 이 교수는 지난해 ‘2024 삼성호암상’ 공학상을 여성 최초로 수상했다. </p> <p contents-hash="5ec7ecb2a58b3b89943446d1c90cd13df4ae19f12feaaf472956af8b56e96d3c" dmcf-pid="QnaaAmnbC1" dmcf-ptype="general">XAI는 일종의 AI '블랙박스'다. AI의 판단 과정을 사람이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해주는 기술이다. AI가 전 분야에 적용되며 떠오르고 있는 분야 중 하나다. 특히 의료, 금융, 법률 등 설명 책임이 중요한 분야에서 중요하게 사용된다. </p> <p contents-hash="e1f7200179d646c3990c1eb476a7400924a70e2a24a4b15bfbc9bb3ca39c2c85" dmcf-pid="xLNNcsLKv5" dmcf-ptype="general">이 교수는 2017년 스콧 M. 룬드버그 워싱턴대 교수와 함께 XAI 기술 중 하나인 ΄샤플리 가산 설명법(SHAP, SHapley Additive exPlanations)΄ 방법론을 개발해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SHAP은 AI 판단에 영향을 준 각 변수를 플레이어로 보고 변수가 예측값에 얼마나 기여했는지를 공정하게 나누어 평가하는 기술이다. </p> <p contents-hash="e2cd58cab9f4cec476f626d4d48d4501081a13596858e6338e1bfea53cb580ad" dmcf-pid="y100u91myZ" dmcf-ptype="general">이 교수는 "AI는 실수를 아직 많이 한다"며 "XAI는 AI 실수에 주목하는 연구"라고 말했다. 예를 들면 피부를 촬영해 피부암인지 아닌지를 진단하는 어플에 XAI를 적용하면 왜 AI가 피부암이라고 진단했는지 설명할 수 있다. 이 교수는 "AI가 어떤 실수를 했는지, AI 실수를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지 힌트를 주는 데 XAI가 사용된다"고 설명했다. </p> <p contents-hash="bdf20286f81c7e3160af736370b816701e8a5ed3419c963d29f03a1a4150967d" dmcf-pid="Wtpp72tslX" dmcf-ptype="general">특히 이 교수는 XAI를 바이오, 의학에 접목한 연구를 하고 있다. 이 교수는 서울과학고를 2년 만에 수료하고 입학한 KAIST 3학년 때부터 AI를 연구했다. 이후 미국 스탠퍼드대 박사 과정 시절 ‘유전자 시퀀싱 데이터’ 같은 생물학적 빅데이터가 속속 나오면서 바이오에 AI를 적용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p> <p contents-hash="a592d67a8b6bc3cff615c82f7cd39602ab8c13ef0f5961b2a73df01c85d41d60" dmcf-pid="YFUUzVFOlH" dmcf-ptype="general">이 교수는 "노화와 알츠하이머 문제에 관심이 많다"며 "알츠하이머는 환자뿐 아니라 주변 가족에게도 큰 영향을 주는 질병이기 때문에 AI로 알츠하이머를 치료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하는 파급력이 큰 연구를 하고 싶다"고 말했다. </p> <p contents-hash="27cc5ac725673cd675a1a622661e4226ba31d7f670d3d8b0390b906ea470ab5b" dmcf-pid="Gcwwsvc6WG" dmcf-ptype="general">이 교수는 XAI가 발전 가능성이 큰 분야라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미국에서 생물학적 나이를 판단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타트업이 XAI 기술을 활용하고 있는 등 여러 사업에서 XAI를 적용하는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며 "한국에서도 반도체 연구 과정에서도 SHAP을 이미 활발히 쓰고 있다"고 말했다. </p> <p contents-hash="9f285124f10ceb15c10e961ab4858471ffc2608b2ca911ce0f710e88b0bfa5dc" dmcf-pid="HkrrOTkPTY" dmcf-ptype="general">이 교수는 이런 새로운 AI 분야가 계속해서 나오기 위해서는 국가 중심의 장기적인 펀딩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는 "AI는 1년 후가 예측이 안 될 정도로 기술이 계속 발전하고 있기 때문에 단기적인 투자보다는 장기적인 결과를 얻기 위한 투자가 중요한 분야다"며 "국가 펀딩이 탄탄히 뒷받침 해줘야 연구자들이 새로운 연구를 계속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p> <p contents-hash="d0997e651114abda56f861edb121cb487f39ff2b9840c179c81c443e3ec638be" dmcf-pid="XEmmIyEQyW" dmcf-ptype="general">[이채린 기자 rini113@donga.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동아사이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나나 "좋아하는 사람에 완전 적극적, 플러팅 안 먹히면 굳이?"[살롱드립] 07-08 다음 AI 실수 잡는 과학자 이수인 교수 “韓 소버린 모델, 설명 가능해야 성공” 07-08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