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게 지금 한국이다” 역대급 홍수 온다더니 ‘반전’…더 끔찍한 재난 닥친다 [지구, 뭐래?] 작성일 07-08 19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V44j1uWA06">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c4612a338348d4df4e7ecac7b53fde335532952064e963c44ec76dd5f127fb5e" dmcf-pid="fqqJy5Ii08"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폭염으로 인한 가뭄이 이어진 8일 오후 제주 서귀포시 하논분화구 내 논바닥이 쩍쩍 갈라져 있다.[연합]"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8/ned/20250708184141249bqtx.png" data-org-width="1280" dmcf-mid="FmRTfMqyza"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8/ned/20250708184141249bqtx.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폭염으로 인한 가뭄이 이어진 8일 오후 제주 서귀포시 하논분화구 내 논바닥이 쩍쩍 갈라져 있다.[연합]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a8c90aefb1e7f7fde27616a132cfbf1f4391079bdd8063d38279c4d545eab859" dmcf-pid="4BBiW1Cnp4" dmcf-ptype="general">[헤럴드경제=김광우 기자] <strong>“우리나라 여름이 아닌 것 같다”</strong></p> <p contents-hash="ec9b784b5be5e644af2e1660ac3ed5384ac5464d4c81b64db817a0e35cd3a09c" dmcf-pid="8bbnYthLuf" dmcf-ptype="general">‘고온다습’의 대명사인 한국의 여름 날씨. 유독 비가 많이 내리는 탓에, 집 밖만 나서도 ‘습식 사우나’에 들어간 것 같은 기분이 든다.</p> <p contents-hash="889728cca0bf2128afb3a9de1f9c66e44fbe317db4a29333655e96a68bdcd90c" dmcf-pid="6KKLGFlo7V" dmcf-ptype="general">하지만 이번 여름은 다르다. 범인은 ‘마른 장마’. 전국적으로 별다른 비 소식 없이 장마가 끝나면서 되레 ‘가뭄’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p> <p contents-hash="59b46122fd873cc3fab76bcf1e973ce68d06ec013498438a01873f7a11ee7702" dmcf-pid="P99oH3Sg72" dmcf-ptype="general"><strong>가장 큰 문제는 ‘산불’에 취약해지고 있다는 것.</strong> 통상 여름은 강수량이 많아 산불이 잘 일어나지 않는 시기로 여겨진다.</p> <p contents-hash="8aecc7b0d26824b084c29c7891521d6d906e9268044631627efccfd5920fd844" dmcf-pid="Q22gX0vaz9" dmcf-ptype="general">하지만 <strong>올해는 비 영향도 적었던 데다 이른 폭염이 시작되며, 풀과 나무가 빠른 속도로 마르고 있다. </strong>기후변화가 가속화되며, 이같은 이상기후가 더 빈번해질 수 있다는 예측도 나온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2ed5b08d34d87b5cabb7ec5161b29a2a50492e7323947a35cec27ba951cb0f1" dmcf-pid="xVVaZpTNFK"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경상남도 산청군 시천면에서 시작된 산불이 하동군 옥종면 두양리 경계지점까지 번져 불타고 있다.[경남도민일보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8/ned/20250708184141648otfn.jpg" data-org-width="1280" dmcf-mid="3Xw7aDdzpg"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8/ned/20250708184141648otfn.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경상남도 산청군 시천면에서 시작된 산불이 하동군 옥종면 두양리 경계지점까지 번져 불타고 있다.[경남도민일보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498ec37302fcc242929cf1ac5bb45610003ec8937e0e4e6f1ff7a3adc2a38f58" dmcf-pid="yII3ijQ0pb" dmcf-ptype="general">산림청 산불통계에 따르면 집계가 시작된 지난 1997년부터 2024년까지 여름철(6~9월) 산불 발생 건수는 평균 787건으로 사계절 중 5.9% 비중에 불과했다. 이 외에는 봄 60%, 겨울 25.4%, 가을 8.6% 등으로 여름이 가장 적은 축에 속했다.</p> <p contents-hash="2de25c8367d0f17a812e160af5fd719c320e527fedaddc55703c97b3f804a88e" dmcf-pid="WFF6OTkPpB" dmcf-ptype="general">이는 우리나라의 여름이 ‘고온다습’한 기후적 특성을 가진 탓이다. 여름은 1년 중 가장 강수량이 많은 기간이다. 전국에 골고루, 비교적 오랜 기간 비가 내리는 장마를 겪는다. 이 과정에서 산림의 풀과 나무들은 물을 머금게 되고 산불에 강한 상태로 거듭난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c7840c6648831eae50c6eff9b76cf699ebc3925a1846ae1e23e9a051b43cce6e" dmcf-pid="Y33PIyEQ0q"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8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세종대로 사거리에서 한 시민이 양산으로 뜨거운 햇살을 가리며 출근길을 서두르고 있다. 임세준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8/ned/20250708184141947eevm.jpg" data-org-width="1280" dmcf-mid="0wqcFzGkuo"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8/ned/20250708184141947eevm.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8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세종대로 사거리에서 한 시민이 양산으로 뜨거운 햇살을 가리며 출근길을 서두르고 있다. 임세준 기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81aff371737ce7144804d4de9ab29065216ad86777859788c96d42fb476a216a" dmcf-pid="G00QCWDx7z" dmcf-ptype="general">하지만 이같은 추세는 뒤바뀌고 있다. 장마가 빨리 끝나고, 비가 적게 내리는 ‘마른 장마’ 현상이 나타나고 있기 때문. 올해 또한 역대 두 번째로 짧은 장마 기간이 종료되며, ‘마른 장마’가 왔다 간 대표적인 해로 기록됐다.</p> <p contents-hash="9bc432a68b563bb02baece0deadc7a8c2094212bff87175c39fca60548341947" dmcf-pid="HppxhYwMu7" dmcf-ptype="general">기상청은 지난 3일 남부 지방과 제주도에서 장마가 끝났다고 공식 발표했다. 제주에서는 장마가 시작된 지 보름, 남부지방에서는 열흘 정도 만에 장마가 종료됐다. 이는 1973년 이후로 가장 짧은 수준이다. 평년(1991~2020년) 장마 지속일은 30일 내외였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ca2e4bd5a4425dcd55fbc3cd5b205ee88b0e3744bf84c6fcaad1478d9b41eb5" dmcf-pid="XUUMlGrR7u"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서울 종로구 세종대로 사거리에서 우산을 쓴 시민들이 출근길을 재촉하고 있다. 임세준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8/ned/20250708184142190jcqh.jpg" data-org-width="1280" dmcf-mid="pf7evXsd0L"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8/ned/20250708184142190jcqh.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서울 종로구 세종대로 사거리에서 우산을 쓴 시민들이 출근길을 재촉하고 있다. 임세준 기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e096bc0b31540f3007ff98726ad3ab09a2f2fed824218930060c0cce1a313092" dmcf-pid="ZuuRSHmepU" dmcf-ptype="general">비의 영향이 큰 것도 아니었다. 6월 전국 평균 강수량은 187.4㎜로 평년(148.2㎜)와 비교해 높은 수준을 보였다. 하지만 이는 일부 지역에 국지성 집중호우가 나타난 영향으로, 전반적으로 비 소식이 적었다. 강원 영동 등 일부 지역에서는 강수량이 적어 가뭄 현상이 지속됐다.</p> <p contents-hash="9f959f7c7040f60686d842e93d0e3da042d7e734d5cd9090bb9d683b184da22a" dmcf-pid="577evXsdup" dmcf-ptype="general">이른 폭염 또한 가뭄을 부추기고 있다. 기상청에 따르면 남부지방과 수도권 일부는 6월 중순부터 폭염특보가 발효되는 등 이례적으로 빠르게 더워졌다. 현재도 전국 대부분 지역에 폭염특보가 유지되고 있다. 물기가 마르며 산불에 취약한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는 것.</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4a4c472925940c03a3109fa2eebcd0b2c5ea3e8d156e2b18d3ab17cfb0735552" dmcf-pid="1zzdTZOJ00"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지난 5일 충북 영동 야산에서 발생한 산불을 진화하는 모습.[산림청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8/ned/20250708184142496bvau.png" data-org-width="875" dmcf-mid="uL2gX0vaUi"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8/ned/20250708184142496bvau.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지난 5일 충북 영동 야산에서 발생한 산불을 진화하는 모습.[산림청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8aa1d2611cda38918742f2bb3ff2068f1cb1236bc6318a4c5045eed75bde9897" dmcf-pid="tqqJy5Iip3" dmcf-ptype="general">실제 산불 사례도 발생하고 있다. 지난 5일 폭염주의보가 발효됐던 충북 영동 야산에서 산불이 발생했다. 산림청은 진화인력 117명을 투입해 발생 5시간 20분 만에 진화에 성공했다. 피해 면적은 3㏊(헥타르)에 달해, 통상 여름 산불에 비해 큰 규모였다.</p> <p contents-hash="77292c6e3d9a8b7b74d4092c640917a9676bac32b06a33fb1ac9dbcde686f7a9" dmcf-pid="FddszVFOFF" dmcf-ptype="general">전국적으로 40일 이상 폭염이 지속되면서도, 장기간 비가 내리지 않았던 지난 2018년에도 유독 산불 피해가 컸다. 2018년 7~8월 발생한 산불은 총 57건으로 전년도 같은 기간(3건) 대비 20배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2018년과 올해 기후가 유사한 것을 고려하면, 안심할 수가 없다는 얘기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4a5796d2cc01aca926435bd66f20b9e9c0533350bbeaf8680241cc59e934509" dmcf-pid="3JJOqf3Izt"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7일 강릉시민 식수원인 오봉저수지 상류가 바닥을 드러내고 있다.[연합]"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8/ned/20250708184142784vsls.jpg" data-org-width="1280" dmcf-mid="KfDXxnVZUx"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8/ned/20250708184142784vsls.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7일 강릉시민 식수원인 오봉저수지 상류가 바닥을 드러내고 있다.[연합]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8a6ff49cfc2b9b1bd8c998beaa8682a2169aa2b8883421bccf65b3a3a7081a1b" dmcf-pid="0iiIB40C71" dmcf-ptype="general">일각에서는 기후변화로 ‘마른 장마’ 현상이 빈번해지며, 연중 산불 발생 가능성이 커질 수 있다고 경고한다. 실제 2011년부터 2024년까지 총 14년간 여름철 산불 비중은 8.7%로 직전 14년인 1997~2010년(3%)과 비교해 3배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p> <p contents-hash="56acf2d7f1a7a81604ada0d3c10f9c86299a4eceb096e1ed20377673942f330a" dmcf-pid="pnnCb8ph75" dmcf-ptype="general">1990년대만 한정해서 보면, 여름철 산불 비중은 사계절 중 평균 1.2% 수준에 그쳤다. 불과 20~30년 전까지만 해도 거의 발생하지 않던 여름 산불이 최근 들어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다는 것.</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9575395edbc2eb3ae1192e2c9f3a8cb898227bbc94d35749635185e45d886d5a" dmcf-pid="ULLhK6UlUZ"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26일 경북 의성군 단촌면 고운사 가운루를 비롯한 건물들이 전날 번진 산불에 모두 불에타 흔적만 남아 있는 가운데 스님이 현장을 지나가고 있다. [의성=이상섭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8/ned/20250708184143131ickk.jpg" data-org-width="1280" dmcf-mid="9fSugEe7uQ"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8/ned/20250708184143131ickk.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26일 경북 의성군 단촌면 고운사 가운루를 비롯한 건물들이 전날 번진 산불에 모두 불에타 흔적만 남아 있는 가운데 스님이 현장을 지나가고 있다. [의성=이상섭 기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cba9ff7e0aa1486d6e91cfea0b2f12c06ba51a9e426eced9f38f7ab26e0b90e6" dmcf-pid="uool9PuSzX" dmcf-ptype="general">강수량 감소는 물론, 높아지는 기온 또한 산불 발생 가능성을 높일 것으로 보인다. 국립산림과학원 연구에 따르면 기온이 1.5도 상승할 때마다 산불기상지수(FWI)는 8.6% 올라가는 것으로 분석됐다. 심지어 비교적 건조한 가을까지 폭염이 이어지면서, 산불 발생 가능성을 키우고 있다.</p> <p contents-hash="7b4b35850f25c3b1f5d667546046be7bfd3888f207827d911f53132be9f84b60" dmcf-pid="7ggS2Q7vFH" dmcf-ptype="general">산림청 관계자는 “기후변화로 인해 1년 내내 산불이 발생하고 있다”며 “작은 불씨가 대형산불로 확산할 위험이 있으니 여름이라고 안심하지 말고 철저히 불씨를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52bc9e14af8735f9402c730e5a3a0dc321251f8f0679af7f8ad98bb62598400" dmcf-pid="zaavVxzTFG"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8/ned/20250708184143389avgl.jpg" data-org-width="1280" dmcf-mid="2ZhpLcMUFP"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8/ned/20250708184143389avgl.jpg" width="658"></p> </figure>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정부 만난 AI 기업 대표들…“소버린 AI가 ‘쇄국’? 새로운 정의 내려야” 07-08 다음 블루 아카이브 스팀 해보니 "실행부터 종료까지 완벽" 07-08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