쥬라기 월드: 새로운 시작 - 새로움을 욕심낸 거대한 지리멸렬[시네프리뷰] 작성일 07-09 6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pn0xW2tstA"> <div contents-hash="85b8fb73fabd412a3cbe2e99cea32a92f1fd8c4361637ec0e2f08238c90558e8" dmcf-pid="ULpMYVFOYj" dmcf-ptype="general"> <span>관건은 이야기다. 그릇을 아무리 새롭게 갈아치워도 결국 그 안에 담기는 것이 ‘맛’과 ‘영양’의 중요한 정수이자 본질이니 말이다.</span> <br> <br> </div>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534fa4ef681950da4803be2d7232b5c8b8fdf611731c0d0fc6a2dc8579a80e1f" dmcf-pid="uoURGf3I5N"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유니버설 픽처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9/weeklykh/20250709060834236vnwh.jpg" data-org-width="1100" dmcf-mid="3xqi5PuSYk"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9/weeklykh/20250709060834236vnwh.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유니버설 픽처스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1590f447d41dffba2163e221acf304f58cf2df665fa1efb3e94d654267b53433" dmcf-pid="7KhUcZOJXa" dmcf-ptype="general"> <br> <br><span>제목: </span>쥬라기 월드: 새로운 시작(Jurassic World: Rebirth) <br> <br><span>제작연도:</span> 2025 <br> <br><span>제작국:</span> 미국 <br> <br><span>상영시간: </span>133분 <br> <br><span>장르:</span> 액션, 모험, SF <br> <br><span>감독: </span>가렛 에드워즈 <br> <br><span>출연: </span>스칼렛 요한슨, 조나단 베일리, 마허샬라 알리, 루퍼트 프렌드 <br> <br><span>개봉: </span>2025년 7월 2일 <br> <br><span>등급: </span>12세 이상 관람가 <br> <br>1993년 공개된 <쥬라기 공원>은 영화사에 획을 그은 중요한 영화 중 하나다. 마이클 크라이튼의 원작소설부터가 당대의 베스트셀러였고, 가족 모험 영화의 거장 스티븐 스필버그의 연출만으로도 화제를 모았다. <br> <br>아직 실험단계에 머물고 있던 영화 속 컴퓨터그래픽의 사실상 완성단계를 보여준 작품으로 높이 평가를 받고 있기도 하지만, 실상은 컴퓨터그래픽으로 인해 이후 급속하게 사라지게 되는 애니매트로닉스 같은 아날로그 수작업 특수효과가 비중 있게 쓰인 작품이라는 점은 더욱 중요하다. <br> <br>결과적으로 전 세계적에서 10억달러가 넘는 흥행 수익을 기록함은 물론이거니와 제66회 아카데미 시상식 음향 편집상, 음향상, 시각효과상을 수상하며 완성도 면에서도 인정을 받았다. <br> <br>당연히 4년 주기로 2개의 속편이 이어진 후 시리즈가 종결된 듯 보였지만, 12년이 지난 2015년 <쥬라기 월드>라는 개명 아래 새로운 이야기가 시작됐고, 이 역시 3편까지 이어졌다. <br> <br>회를 거듭할수록 작품에 대한 평가는 하향됐지만, 흥행에는 꾸준히 선전해 팬들에게는 애증과 기대를 함께 모으는 시리즈가 됐다. <br> <br>보통의 경우 시리즈가 길어지면 동반되는 장점보다 불거지는 단점이 많다. 일단 전편의 세계관과 인물들을 인지해야 온전히 영화를 즐길 수 있다는 한계는 새롭게 영화를 접하는 관객들에게는 높은 진입장벽이 될 수밖에 없다. 또 이야기를 이어가는 방식에 있어 어쩔 수 없는 복제와 반복이 동반할 수밖에 없고, 방향성에서도 관객들의 기대를 벗어날 확률이 높아진다. <br> <br><strong>새로운 시작을 위한 심기일전</strong> <br> <br>바로 앞에 나온 <쥬라기 월드: 도미니언>(2022)은 여전히 흥행에는 성공했음에도 시리즈를 통틀어 최악의 속편이라는 비난을 받을 만큼 평가가 좋지 않았다. 특히 시작인 <쥬라기 공원>에서부터 중요한 소재이긴 했지만, 함부로 건드릴 수 없었던 ‘생명 복제의 윤리’라는 엄중한 화두를 얄팍하고 오락적 사고의 장황설로 무책임하게 확장했다는 지점은 크게 손가락질받았다. <br> <br><쥬라기 공원> 시리즈 전체의 제작자로 사실상 아버지라 할 수 있는 스티븐 스필버그 역시 속편들에 대한 불만이 적잖았다고 전해지는데, 그래서인지 이번 <쥬라기 월드: 새로운 시작>은 부제에서 드러내는 것처럼 앞서 나온 6편의 전작과는 확실히 선을 긋는 새로운 기획으로 만들어지고 있다는 정보가 꾸준히 흘러나왔다. <br> <br>실제로 영화는 완전히 새로운 인물들이 등장하는 이야기로 전개된다. 또 첫 번째 작품 <쥬라기 공원>이 지향했던 ‘부담 없는 가족 모험 영화’로서의 본질에 회귀하려는 노력이 곳곳에 엿보인다. <br> <br>전직 특수부대 요원 출신인 작전 전문가 조라(스칼렛 요한슨 분)는 신약을 개발 중인 대형 제약회사의 제안을 받아 공룡의 피를 채취하기 위해 과거의 동료들을 모아 길을 나선다. 이 과정에 요트 여행 중 사고로 표류하던 델가도 가족이 합류하게 되면서 이들의 여정은 더욱더 위태로운 상황에 놓인다. <br> <br><strong>기시감 가득하고 익숙한 모험의 한계</strong> <br> <br>포스터에서 엿볼 수 있는 것처럼 이번 이야기는 여전사의 이미지가 강한 배우 스칼렛 요한슨이 분한 조라라는 인물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표면적으로 과거 비중 있는 배우들을 골고루 포진시켰던 앙상블 캐스팅을 접은, 외양부터 이전과는 다른 분위기를 풍긴다. <br> <br>하지만 과연 ‘새로운가’에 대한 의문에는 많은 아쉬움을 남긴다. <br> <br>돌이켜보면 보안과 청결이 최우선일 최첨단 연구실 안에 아무렇지도 않게 초콜릿 봉지를 버리는 연구원이 등장하는 첫 장면부터가 영화의 불안하고 방만한 본질을 암시한 것이었는지도 모르겠다. <br> <br>연출을 맡은 가렛 에드워즈는 장편 데뷔작 <몬스터즈>(2010)부터 거대 괴수물을 만들었다는 독특한 과거를 지닌 인물이다. 바로 할리우드의 러브콜을 받아 <고질라>(2014)를 연출하며 대형 감독으로 급성장했고, <로그 원: 스타워즈 스토리>(2016), <크리에이터>(2023) 등 대작들을 내놓고 있다. 전력만 보면 이번 <쥬라기 월드: 새로운 시작>의 감독으로 가렛 에드워즈만큼 적임자는 없어 보인다. 실제로 시사회 이후 감독의 장점이 극대화됐고, 공룡들 액션의 쾌감이 남다르다는 평가도 있다. 그러나 이 또한 관객 개개인의 취향과 안목에 따라 각자에게 다르게 받아들여질 부분이다. <br> <br>관건은 이야기다. 그릇을 아무리 새롭게 갈아치워도 결국 그 안에 담기는 것이 ‘맛’과 ‘영양’의 정수이자 본질이니 말이다. <br> <br> </div> <blockquote class="talkquote_frm" contents-hash="f858a0f65a5a2505899e1351c0bec785f59568ea7e1ffad7b2cea4e649fcf35b" dmcf-pid="z9luk5IiZg" dmcf-ptype="blockquote2"> <strong>2025년 하반기 할리우드 기대작</strong> </blockquote> <div contents-hash="85dee1cc8f2f72ee66420aa4661770e5b91901f9281b6e1b25b769c412ba6618" dmcf-pid="q2S7E1Cn5o" dmcf-ptype="general"> <br> <br> </div>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f9c0af79c150b60df515a6ee03aeff6c9ac70ce4a3d764157222b6f2eb5436da" dmcf-pid="BVvzDthL5L"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 imdb.com"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9/weeklykh/20250709060835663jfcn.jpg" data-org-width="1100" dmcf-mid="0mfjUJ9HHc"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9/weeklykh/20250709060835663jfcn.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 imdb.com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ceda2db73485b97f148609af1f663a7ec99308dcef531445923c8fd436dc153b" dmcf-pid="bfTqwFloZn" dmcf-ptype="general"> <br> <br><쥬라기 월드: 새로운 시작>을 기점으로 본격적인 여름 시즌 영화들의 각축이 시작됐다. 하반기도 변함없이 소위 블록버스터라 불리는 대작들의 특색은 이미 흥행한 작품들의 속편이나 리부트(Reboot·시리즈의 연속성을 버리고 새롭게 만드는 것)하는 작품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는 점이다. <br> <br>7월 9일 개봉하는 <슈퍼맨>은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시리즈를 통해 마블 코믹스 영화의 절정기를 만든 주역 중 하나였던 제임스 건 감독이 소속을 옮겨 라이벌인 DC 코믹스의 대표적 영웅을 부활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이에 대항해 마블은 <판타스틱 4: 새로운 출발>(7월 24일 개봉 예정)로 맞불을 놓는다. <br> <br>현대 액션 영화의 아이콘이 된 <존 윅>(2014)의 외전인 <발레리나>(8월), 2000년대 가장 흥행한 공포 프랜차이즈의 대명사가 된 <컨저링>(2013) 시리즈의 네 번째 작품이자 최종 장을 선언한 <컨저링: 마지막 의식>(9월), 컴퓨터그래픽이 본격적으로 사용된 첫 영화로 대접받고 있는 <트론>(1982)의 세 번째 작품 <트론: 아레스>(10월)도 주목할 만한 작품이다. <br> <br>12월에는 제임스 캐머런 감독의 <아바타: 불과 재>가 공개될 예정이다. 총 5부작으로 기획했다고 밝힌 시리즈 중 세 번째 작품으로 이번에는 불과 화산의 부족이 등장한다고 한다. <br> <br>리부트되는 작품의 면모도 흥미롭다. 황당 허무 개그의 대명사 <총알 탄 사나이>(1988), 극악 살벌한 부부싸움을 그린 <장미의 전쟁>(1989) 같은 1980년대 대표 코미디 영화들의 귀환은 당시를 기억하는 중년들에게는 반갑지 않을 수 없다. <br> <br><스크림> 열풍과 함께 1990년대 청춘 공포 영화의 대표작으로 언급되는 <나는 네가 지난여름에 한 일을 알고 있다>는 1997년 원작의 배우들이 다시 출연하는 속편의 성격도 겸하고 있다. <br> <br>최원균 무비가이더 </div>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주간경향.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범접, 출산 74일 모니카도 복귀했는데…"저게 춤이냐" 에이지스쿼드에 패배[SC리뷰] 07-09 다음 '46세 출산' 최지우 "딸에 유튜브 안 보여줘…딸 친구 엄마와 20살 차" 07-09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