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작년 19조1000억원 생산유발효과 창출" 작성일 07-09 6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카카오 그룹 2024년도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결과 발표<br>부가가치유발 9조1000억원, 고용유발 5만4000명 기여<br>올해 그룹 사회경제적 가치, 11개사 122개 지표로 제시</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8Lvz9BXDlF">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4c706438074fa8a0a2e3c39666221a9fa169a6b7dbe72901b340a9871a0a11e8" dmcf-pid="6oTq2bZwCt"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서울=뉴시스] 카카오는 2024년도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결과를 9일 발표했다. 지난해 19조1000억원 규모의 생산유발효과, 9조1000억원의 부가가치유발효과, 5만4000명의 고용유발효과를 창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카카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9/newsis/20250709105436318swxp.jpg" data-org-width="720" dmcf-mid="KY18MPuSl7"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9/newsis/20250709105436318swxp.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서울=뉴시스] 카카오는 2024년도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결과를 9일 발표했다. 지난해 19조1000억원 규모의 생산유발효과, 9조1000억원의 부가가치유발효과, 5만4000명의 고용유발효과를 창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카카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b7f81a96c2d759cf9075a268e6871477f0bfd367ff29654386eca940e6887bcb" dmcf-pid="PjG98VFOT1" dmcf-ptype="general"><br> [서울=뉴시스]윤정민 기자 = 카카오가 지난해 19조1000억원 규모의 생산유발효과, 9조1000억원의 부가가치유발효과, 5만4000명의 고용유발효과를 창출한 것으로 나타났다.</p> <p contents-hash="5d53fb1f9861b4dd4d10564904315290e1129f0f1493ac445893e5e4c3794f38" dmcf-pid="QAH26f3Iv5" dmcf-ptype="general">카카오는 이러한 내용의 2024년도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결과를 9일 발표했다.</p> <p contents-hash="6bc5ec2a84cb3d4d33f14bd1cb0d3fc22b512d1008e42f2418a6ada53c68e09c" dmcf-pid="xcXVP40ClZ" dmcf-ptype="general">카카오는 최근 3년간 누적 경제적 파급효과로 생산유발효과 51조4000억원, 부가가치유발효과 24조5000억원, 고용유발효과 약 14만5000명에 달했다고 밝혔다. 카카오는 모바일 메신저를 시작으로 문화 콘텐츠, 금융, 모빌리티 등 다양한 분야에서 디지털 생태계를 구축해 온 결과라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31b7faf73473d50c4cfde47443d42b1b55e7755f1b9f0131b7ded7164ffe665c" dmcf-pid="yuJIvhNfhX" dmcf-ptype="general">김용규 한양대 경제학부 명예교수, 전현배 서강대 경제학과 교수, 한종희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가 카카오 그룹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자문·감수했다. </p> <p contents-hash="8b10910e12eb9d42beb56c4b597fba1b9b3404a11876e04f55d69ee91282dfe6" dmcf-pid="W7iCTlj4yH" dmcf-ptype="general">또 카카오는 올해 사회경제적 가치를 설명한 122개의 지표도 발표했다. 지난해 10개사의 60개 지표에서 올해 11개사의 122개 지표로 분석 범위를 한층 넓힌 것이 특징이다.</p> <p contents-hash="1f91eb63db5bff17751f0d3a5c1c0fec067904e67a43dfb36850c583a07450bb" dmcf-pid="YznhySA8lG" dmcf-ptype="general">카카오 기부 플랫폼 '카카오같이가치'를 통해 조성된 누적 기부금은 지난 4월 기준 936억원에 달했으며 모금 프로젝트 수는 1만9000개로 나타났다. 임팩트 커머스 '카카오메이커스'를 통한 판로 지원으로 제값을 다한 농축수산물은 6859톤에 달했다. '새가버치 프로젝트'를 통해 새활용된 물건은 912만개를 기록했다.</p> <p contents-hash="cc8b8f14c73a1d57ba4aeb98f8bf85b09d85831320047f0bca9b14cc9e4c4cdb" dmcf-pid="GqLlWvc6TY" dmcf-ptype="general">이모티콘 누적 발신 건수는 2800억건, 출시된 이모티콘 수는 70만개로 나타났다.<br>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7731ff8d2ccabe2ccc1cffe2e890d95a45cbc613159171716c1affadda3e84a" dmcf-pid="HBoSYTkPvW"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서울=뉴시스] 카카오는 자사 서비스가 창출한 사회경제적 가치를 이용자·파트너·사회 등 이해관계자별 기여 가치 기준으로 10가지 분야로 구분해 제시했다. (사진=카카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9/newsis/20250709105436537quox.jpg" data-org-width="720" dmcf-mid="9S7doi2XSu"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9/newsis/20250709105436537quox.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서울=뉴시스] 카카오는 자사 서비스가 창출한 사회경제적 가치를 이용자·파트너·사회 등 이해관계자별 기여 가치 기준으로 10가지 분야로 구분해 제시했다. (사진=카카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e442c740a0170e682eef88a130aabc8f12193ef278bd6c578044eb3d5fa3b3a2" dmcf-pid="XbgvGyEQCy" dmcf-ptype="general"><br> 카카오는 각 사 성과를 나열하던 방식에서 나아가 카카오 서비스가 창출한 사회경제적 가치를 이용자·파트너·사회 등 이해관계자별 기여 가치 기준으로 10가지 분야로 구분해 제시했다.</p> <p contents-hash="5ded17c2464676f660ab8cb05451b1594585bcbd74f088bcb56090112addc93e" dmcf-pid="ZKaTHWDxvT" dmcf-ptype="general">구체적으로 ▲일상의 편의 제고 ▲사회 안전망 강화 ▲사회·환경문제 대응 ▲국민 건강 관리 ▲소상공인 성장 ▲디지털 전환 ▲소프트파워 생태계 강화 ▲스타트업 육성 ▲이용자 경제 부담 완화 ▲경제 격차 해소 등 10개 분야로 구성했다. </p> <p contents-hash="e4921b2e284c30d60633d1b346eedaa05de001473a76a04857354b38290a5fa9" dmcf-pid="5RO37pTNyv" dmcf-ptype="general">권대열 카카오 CA협의체 ESG위원회 위원장은 "카카오 그룹은 이번에 확인된 10가지 핵심 분야를 중심으로 사회경제적 가치를 더욱 확대해 나가기 위해 노력할 계획"이라며 "특히 카카오만의 유익한 소셜 임팩트를 보다 폭넓게 실현할 수 있도록 사회 및 파트너들과 더 소통하고 협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ce41148bb273e4e71317d6d291ab0b593c9f7819e8b6e75d64fba7c68a612dbb" dmcf-pid="1eI0zUyjlS" dmcf-ptype="general"><span>☞공감언론 뉴시스</span> alpaca@newsis.com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비비지, 신곡 '라 라 러브 미' MV로 몽환 비주얼+성장 서사 07-09 다음 한초임, 영하 10도에 '수영복 드레스' 깜짝…"실검 위한 몸부림" 07-09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