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 지상·위성 6G 통신 시연 최초 성공 작성일 07-09 24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UAM 비행서 끊김 없는 연결 구현<br> 6G 국제표준화 주도권 확보 발판<br>“민·군·산·학·연 긴밀한 협업 중요”</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yBbjf91mp4">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6fafbb50e5ee504919fdb458e23a7184f0cf41b9a94cb6fabf547144f5affd44" dmcf-pid="WbKA42tszf"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이문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통신연구본부장이 ‘ETRI 콘퍼런스 2025’에서 6G 초공간 통신을 위한 위성통신 핵심기술에 관해 발표하고 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9/ned/20250709111945540znqi.jpg" data-org-width="1280" dmcf-mid="xP8rMPuS78"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9/ned/20250709111945540znqi.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이문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통신연구본부장이 ‘ETRI 콘퍼런스 2025’에서 6G 초공간 통신을 위한 위성통신 핵심기술에 관해 발표하고 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7cd5586025b47e921093664665c85b6f7687c9e664f04dd193e2f8cb5fcdd967" dmcf-pid="YK9c8VFO0V" dmcf-ptype="general">국내 연구진이 지상망과 위성망을 통합하는 6세대(6G) 초공간 통신 기술 실시간 시연에 처음으로 성공했다. 6G 국제표준화의 주도권을 확보하는 발판을 마련했다는 평가다.</p> <p contents-hash="1c6e4d97f7fa01d2b9a06bdbe007b4ecfaf4a27f8609a1b7755b2d500fa101a9" dmcf-pid="G92k6f3Iu2" dmcf-ptype="general">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도심교통항공(UAM)이 실제로 도시 사이를 비행하면서 끊김없이 지상망과 위성망에 연결되는 모습을 실시간으로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고 9일 밝혔다. 지상 기지국과 위성 기지국, 통합 단말, 6G 코어로 구성된 테스트베드를 통해 구현했다.</p> <p contents-hash="cb0f287fc8e4a0101fd4e94f1462aeada5b991d7d5773c5f1b9b7dd28b713435" dmcf-pid="H2VEP40C39" dmcf-ptype="general">통합 단말과 6G 코어에는 ‘듀얼 스티어링 기술’이 적용됐다. 상황에 따라 지상 또는 위성 신호를 자동으로 선택해 안정적인 통신을 제공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p> <p contents-hash="bed56be791a23f9332577db9c730e996675829a448b25124969df4e40aaf8983" dmcf-pid="XVfDQ8phuK" dmcf-ptype="general">연구진은 시연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컴퓨터그래픽(CG) 기반 애니메이션과 실제 테스트베드 장비를 연동해 지상-UAM과 위성-UAM 간 무선 링크 변화가 시각적으로 표현했다. 키사이트 채널 에뮬레이터를 통해 실제와 유사한 무선 환경도 정밀하게 구현했다.</p> <p contents-hash="9bb8123673fe6b08a52e566ce0669911298876aefea48ba6f0f65d75d0a20f47" dmcf-pid="Zf4wx6Ul3b" dmcf-ptype="general">또 헤드마운트디스플레이(HMD)를 통해 마치 UAM에 탑승한 듯한 시점에서 초공간 6G 서비스의 체험도 가능하다고 ETRI는 설명했다.</p> <p contents-hash="dc4ca861237866217a71ad4063586824d547b976400589c0b0973c109e7d355a" dmcf-pid="548rMPuSUB" dmcf-ptype="general">ETRI는 이번 기술 시연에 적용된 6G 초공간 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3GPP 국제표준화 활동 주도, 개방형 무선 접속망(Open RAN) 연합 참여 등 국제표준 선도를 위한 연구 활동을 활발히 진행해 왔다.</p> <p contents-hash="21f38ab1f82f5b16a6c19f70f6c68e906133e3e6fe54d6f881fb754f3c073aa8" dmcf-pid="1PQOdMqyuq" dmcf-ptype="general">현재까지 이 기술과 관련해 ETRI는 ▷SCI 논문 14편 발표 ▷국내외 특허 48건 출원 ▷3GPP 국제표준 채택 43건 등의 성과도 달성했다.</p> <p contents-hash="e740f240c46d155433a94d349bb57edaf7683ca814405c21a4a6d8c492d40622" dmcf-pid="tQxIJRBWzz" dmcf-ptype="general">향후 이 기술은 UAM 같은 차세대 모빌리티 서비스에 우선 적용, 지상과 위성을 끊김없이 연결하는 핵심 인프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p> <p contents-hash="1c3737dc9003b011ecab62789c93b3e77389d5285740fe85c92fc073473aeaa3" dmcf-pid="FxMCiebYp7" dmcf-ptype="general">백용순 ETRI 입체통신연구소장은 “6G 시대에는 지상과 하늘의 경계를 허물고, 언제 어디서나 연결되는 진정한 ‘초공간 통신’이 실현될 것”이라며 “이번 시연을 통해 우리나라가 기술 리더십을 확고히 입증했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91e5bdfd15760efc026a28913feabc602f354bf714fcb6bfe8350e01c3d12a9c" dmcf-pid="3MRhndKG3u" dmcf-ptype="general">이문식 ETRI 위성통신연구본부장도 “5G까지는 지상과 위성망이 분리돼 있었지만, 6G는 양자를 완전히 통합하는 것이 목표”라며 “이를 위해 민·군·산·학·연의 긴밀한 협업과 국제 경쟁력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f9dd46f23dec99243f0e49f0f4b70a53b093c36c2d4cd3813c5ead0ab1437e0f" dmcf-pid="0RelLJ9HzU" dmcf-ptype="general">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이 지원하는 ‘6G 핵심원천 기술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됐다.</p> <p contents-hash="c6273139af62c4dbb3fbbc5960fb9fc0853ccab690a9470f571471f9e4cdce08" dmcf-pid="pedSoi2Xzp" dmcf-ptype="general">ETRI가 주관기관으로,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KT SAT, SK텔링크, AP위성, 클레버로직, 에프알텍, RFHIC, 엠티지, 아주대, 인하대, KAIST 등 국내 최고 수준의 기관이 참여하고 있다. 해당 기술은 지난달 초 개최된 ‘ETRI 컨퍼런스 2025’에서 일반에게 공개됐다. 박세정 기자</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TV조선, ‘미스터트롯3’ 문자 투표 수익금 8842만원 전액 기부 07-09 다음 [기획//클린 온라인, 기업을 지키자!] (5)영수증 리뷰 테러, AI로 더 교묘해진다? 사례와 해결법은 07-09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