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보호 수도권 편중 해소” 정부, 초광역권에 침해대응상황실 만든다 작성일 07-09 12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과기정통부, 지역 정보보호 생태계 역량 강화 정책 개선<br>정보보호 기업 수도권에 80% 집중…지역은 신고도 미흡<br>초광역권별 침해사고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전략사업 집중 보호</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6oyeedKGWi">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cb3ccd507edfc343a294ef57b18616fa17ceab99e5cf1b15d7161558c678de61" dmcf-pid="PjHnnLf5SJ"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서울=뉴시스] 과기정통부가 올 하반기 지역 중소기업 침해사고 긴급 대응조치를 지원하기 위해 초광역권 5곳에 상황실을 구축할 계획이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9/newsis/20250709173725707asvs.jpg" data-org-width="720" dmcf-mid="8mmVVf3Iyn"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9/newsis/20250709173725707asvs.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서울=뉴시스] 과기정통부가 올 하반기 지역 중소기업 침해사고 긴급 대응조치를 지원하기 위해 초광역권 5곳에 상황실을 구축할 계획이다.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662b12937a4bb3a17ad00590b574d2c2b0d70f7f4056e52a629ae53798603df2" dmcf-pid="QAXLLo41hd" dmcf-ptype="general"><br> [서울=뉴시스] 심지혜 기자 = 정부가 정보보호 산업의 수도권 쏠림을 해소하고, 지역 내 중소기업·산업단지의 보안 취약성 개선을 위해 ‘지역 정보보호 생태계’ 조성에 본격 나선다. 당장 올 하반기 지역 중소기업이 침해사고에 긴급 대응할 수 있도록 체계를 마련한다. </p> <p contents-hash="e89c9341694c90ca9103c45c7e6756cd6f85f1dc030c13ecd6468e373b130ad3" dmcf-pid="xcZoog8tTe" dmcf-ptype="general">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9일 제14회 정보보호의 날 행사에서 이같은 내용의 '지역 정보보호 생태계 조성 정책방향'을 발표했다. </p> <p contents-hash="9d3140a283024b3c05f041216f4f07c5dcec883eb2e7451cc6d592f80c3a9680" dmcf-pid="yuittFlovR" dmcf-ptype="general">최영선 과기정통부 과장은 “수도권과 지방, 지역간 보안 역량 격차가 계속되고 있다. 지역의 열악한 여건으로 인해 사이버 위협 대비가 부족하다는 우려가 나온다”며 “새정부에선 사이버 위협으로부터 안전한 나라를 만들겠다는 정책 비전을 제시한 만큼 과기정통부가 총괄기관으로서 뒷받침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p> <p contents-hash="9be13864b949964f8a8f0257ea8f5b7d202a25376bc2d3a76333743ddb16b7bb" dmcf-pid="W7nFF3SgTM" dmcf-ptype="general">이에 “최근 통과된 2차 추가경정예산 중 일부가 지역 정보보호 생태계 강화에 책정됐다”며 “지역 정보보호 지원센터 기능을 강화하고, 침해사고 발생시 긴급하고 신속하게 초동조치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p> <h3 contents-hash="7b373e9997fbb1a9c17a42d42c786024c8b51acbf85b153f07693447fc23d75b" dmcf-pid="YzL330vaWx" dmcf-ptype="h3"><strong> 수도권에 쏠린 보안 인프라…지역은 신고조차 어려운 현실</strong></h3> <div contents-hash="acd2702ae9ac3c7967b9bf573a7332ca0ea9c27823bcc7fafaf8f2107315e517" dmcf-pid="Gqo00pTNhQ" dmcf-ptype="general"> <strong> 정보보호 산업은 수도권 집중 현상이 상당하다. 전체 정보보호 기업 약 1700여 개 중 1400개가 서울·경기·인천에 몰려 있는 반면 대경권, 호남권은 수십개로 격차가 크다. 지방 중소기업은 전담 인력은 물론 보안 사고 발생 시 대응 인프라가 턱없이 부족하다. <br><br> 사이버 침해 사고는 점점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인공지능(AI) 기술을 악용해 공격 수법이 더욱 고도화되는 실정이다.<br><br> 이 가운데 지역에서는 피해 사실조차 드러나지 않는 경우가 많다. <br><br>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1887건의 침해사고 신고 중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에서의 신고건수는 1464건으로 77.6%에 이른다. 이외 도시는 연간 신고 건수가 상대적으로 크게 적다. <br><br> 이는 지역이 안전해서가 아니라 신고 자체가 이뤄지지 않는 구조이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익명으로 진행한 설문 조사 결과 수도권에서는 신고율이 44.8% 수준이라면 지역은 1.4%에 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br><br> 지역의 정보보호 담당 인력 또한 1명이 채 안 됐다. 기업의 정보보호 중요성은 인식하지만 인력이나 예산 등이 부족해 현실적으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br><br> 박세진 과기정통부 사무관은 “실제 지역 현장에선 랜섬웨어나 서버 침해가 발생하면 대부분 일단 포맷하고 끝낸다”며 “누구에게 물어봐야 할지도 모르고, 어디에 신고해야 할지도 모르는 구조적 공백이 크다”고 진단했다.<br><br> </strong> </div> <h3 contents-hash="704a6e8fceac7bf064c4f44bac0cf45960645b905cad6b3fb6a57429c16b61b2" dmcf-pid="HBgppUyjlP" dmcf-ptype="h3"><strong><strong>초광역권 5곳에 침해대응 상황실… 추경으로 예산 확보</strong></strong></h3> <div contents-hash="0b1b222d3ee9588caf12960f76bf84bd11303277113e5fbb1d85061717cec39c" dmcf-pid="Xxsff40Cl6" dmcf-ptype="general"> <strong> 과기정통부는 당장 지역 정보보호 생태계 강화를 위해 2차 추가경정예산 32억4000억원을 할당 받아 지역 중소기업 침해사고 긴급 대응조치 체계를 구축한다. <br><br> 초광역권 5곳에 상황실을 운영하고 지역별 정보보호지원센터에 침해사고 조치 인력을 상주시킬 방침이다. <br><br> 인터넷침해대응센터(KISC)가 대응을 총괄하고, 상황실은 KISC의 지원을 받아 권역별 상황에 맞도록 특화된 대응책을 제공한다. 이를 기반으로 각 지역에 위치한 지역 정보보호지원센터가 피해신고 기업의 현장 조치를 지원하고, 보안 설정 강화 및 서비스 안내 등으로 대응하는 구조다. <br><br> 또한 전국의 정보보호최고책임자(CISO)를 대상으로 침해사고 재발방지를 위한 사고사례를 전파하고 보안 요구사항 등 조치 관련 긴급교육을 진행할 방침이다. <br><br> </strong> </div> <h3 contents-hash="0aa5b5f1d59866adbc4bcea7e16ed1d5bc825680e9edd8905ce4e851f205f286" dmcf-pid="ZMO448phv8" dmcf-ptype="h3"><strong><strong> 정책 거버넌스도 개편…지역 전략산업 정보보호 대응 역량 강화</strong></strong></h3> <div contents-hash="dd6ada784a41394542558b6de1e0702be38319ee076ac1f3a807822188d7d3bb" dmcf-pid="5RI886UlS4" dmcf-ptype="general"> <strong> 과기정통부는 지역 정보보호 생태계 강화를 위해 관련 정책 거버넌스도 개선한다. <br><br> 생애주기별 정보보호 맞춤 교육을 실시하고 전문인력 양성을 추진한다. 지역에 보안 관련 대학과 학과가 운영되고 있는 만큼 지자체와 산업계와의 협력함으로써 인재양성과 창업이라는 선순환 구조를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br><br> 각 지역 전략산업에 대한 보안 역량도 키운다. 지역 전략산업은 침해사고가 발생할 경우 지역 경제가 흔들릴 정도로 파급력이 커 보안 대책이 시급하다는 판단이다. <br><br> 이에 지역별 정보보호 지수와 조사 체계를 구축해 지역의 명확한 정보보호 현황을 조사하고 이를 근거로 과학적, 체계적 정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br><br> 또 해킹이나 랜섬웨어 등 침해사고 발생시 문의 절차를 몰라 대응하지 못하는 사례를 방지하기 위해 지역 정보보호지원센터를 확대하고 재발방지를 위한 보안컨설팅을 제공한다. <br><br> 지역의 보안 생태계중심지를 초광역권별로 확충, 지역의 주요산단이나 중소기업이 국제 보안규제에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br><br> 아울러 지자체 홀로 지역 정보보호 담당에 한계가 있는 만큼 혁신 추진체계를 마련, 중앙정부는 물론 민간 분야까지 포괄하는 협력체계를 구축할 방침이다. <br><br> 박 사무관은 “지역 정보보호 정책은 단순한 기술 문제가 아니라 생태계 조성의 문제”라며 “공급자와 수요자, 지자체, 교육기관, 민간 보안 기업이 함께 순환하는 구조가 만들어져야 한다”고 말했다.<br><br> 이어 “정부가 직접 모든 걸 해줄 수는 없지만, 초기 기반을 구축하고 마중물 역할을 해주는 것이 정부의 책임”이라며 “지역 현장 중심의 대응체계를 지속적으로 만들어가겠다”고 덧붙였다.<br><br><br><span>☞공감언론 뉴시스</span> siming@newsis.com </strong> </div>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리브랜딩 나우즈, 음악·퍼포먼스도 대변신‥아이들 우기 지원사격 속 컴백[종합] 07-09 다음 숨어서 플레이하던 아이들···13억명 즐긴 게임 개발자로 '레벨업' 07-09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