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테크+] "2천400만년 된 동물 화석 이빨에서 단백질 복원 성공" 작성일 07-10 17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국제 연구팀 "고단백질 활용한 고생물학·진화 역사 연구 가능성 제시"</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zolpgZOJzz"> <p contents-hash="9622bd652610534c1da56149b0607b6883414d150fab7bbaa0a79f3d2e850e0c" dmcf-pid="qgSUa5Ii77" dmcf-ptype="general">(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국제 연구진이 최고 2천400만년 전에서 1천600만년 전 캐나다 북부와 아프리카 케냐에 살았던 코뿔소 근연종 동물 화석의 이빨 법랑질(enamel)에서 고단백질을 채취해 복원하는 데 성공했다.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63aa3f9ad69de66140c8188d49819060739060f6a36b581b4e084650bd244830" dmcf-pid="BavuN1Cnzu"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2천만년 이상된 단백질이 보존된 화석이 발견된 캐나다 북부 호튼 충돌구 주변 [Martin Lipman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0/yonhap/20250710000230029sppb.jpg" data-org-width="1200" dmcf-mid="uG9LXMqyFB"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0/yonhap/20250710000230029sppb.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2천만년 이상된 단백질이 보존된 화석이 발견된 캐나다 북부 호튼 충돌구 주변 [Martin Lipman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fd40e839697c2654f81de7837d87ad90485a8090ad5c00f9b8eecac74d15b760" dmcf-pid="bNT7jthLUU" dmcf-ptype="general">덴마크 코펜하겐대 라이언 패터슨 박사팀과 미국 하버드대 대니엘 그린 교수팀은 10일 과학 저널 네이처(Nature)에서 각각 캐나다 고북극(High Arctic) 지역과 아프리카 케냐에서 발견된 2천400만~1천600만년 전 코뿔소 근연종 화석에서 단백질을 추출해 복원했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b69220e060ea7d0cad0c4520934f00a797d81c680fe2bb59ba37c117c33e98ca" dmcf-pid="KjyzAFloFp" dmcf-ptype="general">네이처는 지금까지 복원된 가장 오래된 단백질은 플라이오세 때인 약 370만년 전의 것이었다며 두 연구는 단백질이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더 오래 보존될 수 있고, 단백질을 통해 많은 종의 진화 역사에 관한 정보를 밝혀내는 게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평가했다.</p> <p contents-hash="bd5ef361fa7550acc37298b4290237e8489a7fc77a03349cdd455758a0102d8b" dmcf-pid="9AWqc3Sg00" dmcf-ptype="general">DNA와 단백질 같은 생체문자는 쉽게 분해되며 특히 따뜻한 환경에서는 분해가 더욱 빨라 화석 등에서 이를 회수해 복원하기는 매우 어려웠다. 하지만 고대 생체분자를 화석에서 채취해 복원하는 기술이 발전하면서 이제는 진화 등 고생물학 연구에서 중요한 연구 방법으로 자리 잡고 있다.</p> <p contents-hash="d149fb8b8c68b7b867ecb07dd99eab413eacb2b3cb88f995942a27f983d88d2a" dmcf-pid="2cYBk0va73" dmcf-ptype="general">코펜하겐대 패터슨 박사팀은 캐나다 고북극 지역에서 발견된 2천400만~2천100만년 전 코뿔솟과 동물((Epiaceratherium sp.) 화석에서 이빨 에나멜 단백질을 회수해 분석했다. </p> <p contents-hash="2bd1a201ee14492c5aee11d71660c54e244b8a5d7e263a3de9a55a0d2ae0c289" dmcf-pid="V6cWPCaV0F" dmcf-ptype="general">7가지 에나멜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을 부분적으로 밝혀냈고, 질량 분석을 통해 1천개 이상의 단백질 조각이 어떤 펩티드인지 규명했으며, 여기에는 총 251개 이상의 아미노산이 포함돼 있음을 확인했다.</p> <p contents-hash="b5e34476072d2ab2312c65e7cd8600deef8fe558780c3903e7aacb00b2b47999" dmcf-pid="fPkYQhNfpt"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복원된 단백질은 동물 화석에서 회수된 것 중 가장 오래된 DNA보다 10배는 더 오래됐다며 이는 더 오래된 화석 표본에서 진화에 관한 계통발생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고단백질체학(palaeoproteomics)의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말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27d8e7f34aaf6376c80b62d8307789ba1f0770750416737219d859d26511f653" dmcf-pid="4QEGxlj4p1"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1천600만년 전 코뿔소 근연종 화석이 발견된 케냐 투르카나 분지 불룩(Buluk) 지역 약 1천600만년 전 형성된 케냐 투르카나 분지 내 불룩(Buluk) 지역은 다양한 동물군 화석이 발견된 곳으로 이곳에서 발견된 코뿔소 근연종 화석의 이빨 에나멜에서 다수의 단백질이 검출, 복원됐다. [Ellen Miller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0/yonhap/20250710000230248feif.jpg" data-org-width="500" dmcf-mid="7ExEUg8tuq"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0/yonhap/20250710000230248feif.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1천600만년 전 코뿔소 근연종 화석이 발견된 케냐 투르카나 분지 불룩(Buluk) 지역 약 1천600만년 전 형성된 케냐 투르카나 분지 내 불룩(Buluk) 지역은 다양한 동물군 화석이 발견된 곳으로 이곳에서 발견된 코뿔소 근연종 화석의 이빨 에나멜에서 다수의 단백질이 검출, 복원됐다. [Ellen Miller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c77a232bd8b0f60752a4aa93baec6b7808f8ceee1545d31fd8b50941c2aecf02" dmcf-pid="8xDHMSA8U5" dmcf-ptype="general">하버드대 대니얼 그린 교수팀은 호미닌(hominins), 코뿔소, 하마 등 다양한 화석이 발견돼 진화론적으로 중요한 곳인 케냐 투르카나 분지에서 발견된 1천800만~1천600만년 전 코뿔소 근연종(rhinocerotids) 화석 이빨에서 단백질을 복원했다.</p> <p contents-hash="4c9fd185db5f2578ee614d50312a2bc6e05f47e00d8ce60fdfd74d84d9e9cd40" dmcf-pid="6MwXRvc67Z" dmcf-ptype="general">이빨에서는 에나멜 형성에 중요한 에나멜린(enamelin)과 아멜로블라스틴(ameloblastin) 같은 단백질과 단백질 분해·치아 구조에 관여하는 기질 금속단백분해효소-20(matrix metalloprotease-20), 치아 내부 상아질 형성에 중요한 덴틴 기질 산성 인단백질 1(dentin matrix acidic phosphoprotein 1) 등이 확인됐다.</p> <p contents-hash="e7c2259892c9991980659c8049a233e7fb8f9ecb3bff13a74c8f80c48dacfd30" dmcf-pid="PRrZeTkPuX" dmcf-ptype="general">그린 교수는 "이빨은 동물이 만들 수 있는 가장 단단한 구조물로 수백 년 또는 1억년 된 것도 찾아낼 수 있다"며 "그 속에는 그 동물이 무엇을 먹었는지, 어떤 환경에 있었는지 등 삶에 대한 지구화학적 기록이 들어 있다"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78dbf3899b24f129346a5a4467bc1191d138b27e8a1541aa594a534ceb9f22a5" dmcf-pid="Qem5dyEQzH"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특히 지구에서 가장 더운 지역 중 하나에서, 그리고 조밀한 에나멜 조직에서 고단백질 서열이 확인된 것은 멸종 생물군의 고생물학 및 진화적 관계 연구에 기여할 수 있는 더 오래된 단백질체 발견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be93c3db88477d34d91f5a8f0d3d3f6d134ea885fb98510ae372970030a9f926" dmcf-pid="xds1JWDx7G" dmcf-ptype="general">◆ 출처 : Nature, Daniel Green et al., 'Eighteen million years of diverse enamel proteomes from the East African Rift',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86-025-09040-9</p> <p contents-hash="be4268e04e8ee79989d928d63737a048960266836ca72bb88f5c6343284a99f8" dmcf-pid="yr5VmzGkFY" dmcf-ptype="general">Nature, Ryan Paterson et al., 'Phylogenetically informative proteins from an Early Miocene rhinocerotid',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86-025-09231-4</p> <p contents-hash="2373bb847f3c65714188e8723b723c002762e0bf8102a5d4bc401efd72f658c1" dmcf-pid="Wm1fsqHE0W" dmcf-ptype="general">scitech@yna.co.kr</p> <p contents-hash="74d20b6ef364bfa3c0d8537d95e5cf2dc7bc0ae924ac8d96541841605afba691" dmcf-pid="GOF8IbZw0T" dmcf-ptype="general">▶제보는 카톡 okjebo</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SKT 1조 투입에도 여론은 싸늘…CEO 거취도 '안갯속' 07-10 다음 수면·러닝·혈관 관리까지…손목 위 건강 코치 '갤럭시 워치8' 07-10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