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 ‘유럽의 자존심’ 아리안 6호…비용 절감, 효율화에 사활 작성일 07-10 9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유럽 우주항공 수도, 프랑스]① 아리안스페이스 종합조립시설<br>유럽 차세대 로켓 아리안 6호, 생산 효율화로 발사 속도<br>600개 기업이 부품 제작, 프랑스·독일 등에서 나눠 조립<br>반도체 조립 공정처럼 쾌적…사람은 보조 역할에 그쳐</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2C951mnbMQ">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7cbca1c0991f034327a7f50380f814e013e857409cb2c109b2d594d61c83742" dmcf-pid="Vh21tsLKRP"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프랑스 레 뮤로(Les Mureaux)의 아리안스페이스 종합조립시설에서 아리안 6호 1단 로켓이 조립되고 있다./ArianeGroup-PepperBox-Julien Hazemann"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0/chosunbiz/20250710061845281keka.jpg" data-org-width="5000" dmcf-mid="Bom1tsLKRe"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0/chosunbiz/20250710061845281keka.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프랑스 레 뮤로(Les Mureaux)의 아리안스페이스 종합조립시설에서 아리안 6호 1단 로켓이 조립되고 있다./ArianeGroup-PepperBox-Julien Hazemann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5aa63685dce2116db4f2df10ad8c43d13dfa96a9fb3dc22ef770ccd418dff45b" dmcf-pid="flVtFOo9J6" dmcf-ptype="general">지난 7일(현지 시각) 프랑스 파리에서 차를 타고 서쪽으로 1시간 정도 이동하자 레 뮤로(Les Mureaux)라는 작은 도시가 나타났다. 겉보기에 특별하지 않은 작은 도시지만, 유럽 우주산업의 중심지로 불리는 첨단산업 현장이다. ‘유럽의 자존심’이라는 별명이 붙은 차세대 우주발사체(로켓) 아리안 6호를 조립하는 공장이 이곳에 있다.</p> <p contents-hash="cb05dc22aee9b0fb6c9562795c5fccf4bff52e7b7a80bb394d6761ada5b6de1b" dmcf-pid="4v430CaVe8" dmcf-ptype="general">레 뮤로의 우주발사체 종합조립시설은 유럽의 민간 우주기업 아리안스페이스가 운영한다. 이 회사가 아리안 6호 종합조립시설을 한국 언론에 공개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삼엄한 보안 절차를 거쳐 정문을 지나자 넓은 들판이 가장 먼저 보였다. 아리안 6호 종합조립시설은 정문에서 차로 5분을 더 들어간 뒤에야 나타났다. 멀지 않은 곳에 센강이 보였다.</p> <p contents-hash="705cf1e793d50d6fe44461849caf5b06667d1feb7cb8b2817c223a0a8b4a2db7" dmcf-pid="8T80phNfM4" dmcf-ptype="general">우주발사체 공장이 목가적인 풍경을 가진 것은 다 이유가 있다. 이곳에서 조립한 아리안 발사체는 배편으로 센강을 통해 노르망디의 항구 도시인 르아브르로 이동한다. 거기서 아리안 6호 전용 화물선 ‘카누페(Canopee)’로 옮겨져 발사장이 있는 남미 프랑스령 기아나 우주센터까지 간다.</p> <p contents-hash="500e0c4c63331e07ec556b9cf570bb25b8785c44243675355d001591042e7670" dmcf-pid="6y6pUlj4df" dmcf-ptype="general">아리안 6호 종합조립시설의 맞은 편에는 아리안 5호를 조립하던 시설이 마주 보고 있었다. 두 시설은 건물 형태부터 달랐다. 아리안 5호를 조립하던 시설은 세로로 길쭉했다. 길이가 55m에 이르는 아리안 5호 로켓 본체를 세워서 조립했기 때문이다. 반면 새로 지은 아리안 6호 조립동은 가로로 길었다. 5호와 달리 6호는 옆으로 누인 상태로 조립을 진행하기 때문이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c1bac4f3dd13fda9a9123bd799a9336fa667888cab26f1bc2cc714ae50425625" dmcf-pid="PWPUuSA8RV"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유럽우주국(ESA)이 개발한 아리안 6호가 남아메리카 프랑스령 기아나 우주센터에 기립해 있다./ESA"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0/chosunbiz/20250710061846814uixa.jpg" data-org-width="1248" dmcf-mid="bbHGHEe7LR"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0/chosunbiz/20250710061846814uixa.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유럽우주국(ESA)이 개발한 아리안 6호가 남아메리카 프랑스령 기아나 우주센터에 기립해 있다./ESA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d83b71659ba7c721b8987d2d51bdd70071b9deca7f29ad9b2ce5b367d549adf3" dmcf-pid="QYQu7vc6J2" dmcf-ptype="general">캐롤린 아르노(Caroline ARNOUX) 아리안스페이스 비즈니스 디렉터는 “아리안 5호 때는 조립 과정에서 발사체를 수직으로 세웠다가 수평으로 누이는 작업을 반복해 시간이 더 걸리고 불필요한 비용도 생겼다”며 “아리안 6호는 수평 상태로 모든 조립을 진행하기 때문에 이런 비용을 아낄 수 있고, 작업자의 눈높이에서 조립이 진행돼 훨씬 효율적”이라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b34d69a94a74c53bb816f2dd76b8b8bfe501fbe85e61ca269958a71fd7b2f0a4" dmcf-pid="xGx7zTkPL9" dmcf-ptype="general">아리안 6호는 유럽이 10년에 걸쳐 개발한 차세대 우주발사체이다. 유럽우주국(ESA)은 지난 30년간 117회 비행을 마치고 2023년 퇴역한 아리안 5호를 대체할 우주 발사체로 아리안 6호를 택했다. 2014년부터 개발에 착수했다.</p> <p contents-hash="27030bac1f47db2f635b4ad60e2908823649073c2a62737a9bb305cfc2a269a6" dmcf-pid="yeykEQ7veK" dmcf-ptype="general">당초 첫 발사는 2020년으로 잡았다. 하지만 기술적 문제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까지 겹치면서 개발이 지연돼 작년 7월에야 비로소 시험 발사에 나설 수 있었다. 아리안 6호는 올해 3월 첫 상업 발사에 성공하면서 아리안 5호를 대체했다.</p> <p contents-hash="4f0499c97439ea0680705ed5849a02fd577aac676dd8300a85836b93829f0b18" dmcf-pid="WdWEDxzTRb" dmcf-ptype="general">아리안 6호는 미국 스페이스X의 주력 발사체인 팰컨9과 경쟁하기 위해 만든 로켓이다. 스페이스X가 주도하는 우주 발사 시장에서 유럽의 입지를 지키기 위한 중요한 임무를 가지고 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46161b4680a302b43c34871ea4da1aa9049f9bbe4a5bc3574683a46fe0396a3b" dmcf-pid="YJYDwMqyMB"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아리안 6호에 사용되는 빈치 엔진에 대한 테스트가 진행 중이다./ESA"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0/chosunbiz/20250710061848331nicu.jpg" data-org-width="3798" dmcf-mid="K3cAc6UlnM"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0/chosunbiz/20250710061848331nicu.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아리안 6호에 사용되는 빈치 엔진에 대한 테스트가 진행 중이다./ESA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00727412326532d547f20ab1cf6c8c5ebb1c82c15e508b7ee3145b9b71d1c614" dmcf-pid="GiGwrRBWLq" dmcf-ptype="general">조립동에서는 아리안 6호의 1단 조립이 진행 중이었다. 올해 말 기아나에서 발사할 예정인 로켓이었다. 1단 조립 현장에는 불카인(Vulcain) 2.1 엔진과 2단 로켓에 쓰이는 빈치(Vinci) 엔진이 대기하고 있었다. 맞은 편에서는 대형 연료 탱크 조립도 함께 진행되고 있었다.</p> <p contents-hash="295879abf48cbc47c55638d4be22b7e5e9b9c132a581747142772900e5de35ab" dmcf-pid="HEUTyjQ0Lz" dmcf-ptype="general">1단 로켓과 엔진, 연료 탱크 조립이 한꺼번에 진행 중이었지만, 로봇을 이용해 공정을 자동화한 덕분에 번잡하거나 무질서한 느낌은 전혀 없었다. 마치 반도체 공정을 보는 것처럼 조립시설 내부가 쾌적한 분위기였다.</p> <p contents-hash="10bdf9c26d1acb83115bbcd7ebb218439827bd163be211b970c9104cb7eee1fb" dmcf-pid="XDuyWAxpn7" dmcf-ptype="general">아리안스페이스는 공정 효율화와 자동화를 통해 제작 비용을 낮춘 것이 아리안 6호의 비결이라고 밝혔다. 로봇을 이용한 공정 자동화 외에도 엔진의 핵심 구성품 중 일부를 3D(입체) 프린팅 기술로 만들고 있었다. 플라스틱이 금속 분말을 층층이 뿌리며 쌓아 입체 부품을 만드는 방식이다.</p> <p contents-hash="e81bf0d0c0f6f0c84df39b423d861165ca141c7961d1dec1862b48ed5e66040a" dmcf-pid="Zw7WYcMUiu" dmcf-ptype="general">조립 작업이 진행되는 곳곳에는 모니터 스크린이 띄워져 있고, 진행 중인 작업 공정과 필요한 부품의 재고량 등이 표시돼 있었다. 조립시설 관계자는 “이곳에서 사람은 어시스턴트(보조)의 역할을 한다고 보면 된다”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3660e62c77c412a38debf14c6684b18700e1d1fac75fbc19a007a4a96e489635" dmcf-pid="5rzYGkRunU" dmcf-ptype="general">보조 추력 발생 장치인 부스터와 위성 덮개인 페어링을 교체할 수 있는 것도 아리안 6호의 중요한 특징이다. 아리안 6호는 부스터를 2개 장착하는 A62 모델과 부스터를 4개 장착하는 A64 모델 두 가지가 있다. 페어링의 길이도 탑재하는 위성에 맞춰서 바꿀 수 있다. 2단에 들어가는 빈치 엔진은 재점화도 가능하다. 캐롤린 아르노 디렉터는 “유연함은 아리안 6호의 가장 큰 특징”이라며 “시장의 다양한 요구를 모두 만족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4ce81a12483f1b4c8bc8596852a18c411e6b2b4c49978876fcfaf79086e72f2a" dmcf-pid="1mqGHEe7ip" dmcf-ptype="general">아리안 6호 부스터는 유럽우주국의 또 다른 발사체인 베가C와도 호환이 가능하다. 같은 부스터를 아리안 6호와 베가C 모두 사용할 수 있어 제작 비용을 아끼고, 성능 개량을 위한 발사 신뢰도 확보가 가능하다.</p> <p contents-hash="6d9beeb82d5e2d185f1c8a626f597b90504a73b1dfc079f717447ad4933e1e06" dmcf-pid="tsBHXDdzn0" dmcf-ptype="general">아리안 6호는 유럽 전역이 참여하는 프로젝트다. 아리안 6호 1단 조립은 프랑스에서 진행되지만, 부품을 제작하는 기업은 유럽 전역에 600여 곳이 있다. 아리안 6호의 2단 로켓 조립은 독일 브레멘에서 진행하고 있고, 페어링은 네덜란드 로테르담, 부스터는 프랑스 보르도, 엔진은 프랑스 베르농에서 각각 생산하고 있다. 아리안 6호를 유럽의 자존심이라고 부르는 이유다.</p> <div class="video_frm" dmcf-pid="FObXZwJqJ3" dmcf-ptype="kakaotv"> <div class="layer_vod"> <div class="vod_player"> <iframe allowfullscreen class="player_iframe" dmcf-mid="94dbKGrRLx" dmcf-mtype="video/kakaotv/owner" frameborder="0" height="370" id="video@94dbKGrRLx" poster="https://img1.daumcdn.net/kakaotv/dn/static/default/thumbnail.png" scrolling="no" src="//kakaotv.daum.net/embed/player/cliplink/456447870?service=daum_news&m_use_inline=true&ios_allow_inline=true&m_prevent_sdk_use=true&wmode=opaque" width="100%"></iframe> </div> </div> </div> <p contents-hash="82fd9f83250258badac1610b11bccfd6da51297cc469644a6bf4f990fa201f63" dmcf-pid="3IKZ5riBJF" dmcf-ptype="general">캐롤린 아르노 디렉터는 “유럽 13국이 아리안 6호 개발에 참여했다”며 “올해 5회 정도 추가 발사할 예정이고, 앞으로는 매년 8~10회 정도 발사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그는 “아리안스페이스는 1992년 이후 한국의 인공위성 8기를 우주로 보냈고, 지금도 아리랑 6호와 7호 발사를 준비하고 있다”며 “한국은 아리안스페이스의 오랜 협력 파트너”라고 덧붙였다.</p> <p contents-hash="b7e61fb0dc479d760e83ec5de7acb945e6d62be8cf10e267a580cf5f230e96b3" dmcf-pid="0C951mnbLt" dmcf-ptype="general">(이 기사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2025년 KPF 디플로마 우주항공 프로그램 지원을 받아 작성됐습니다.)</p> <p contents-hash="3ac059c4cbad6192c01c9433b9c18a1cbe0b5a7ccbfcd9402bcc6bf1b307c37b" dmcf-pid="ph21tsLKJ1" dmcf-ptype="general">-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인기 아이돌 A씨, 父 2900억 사기혐의 출국금지 해제 요청에 이용당해 07-10 다음 "개발자 먼저 잡자"…빅테크 'AI 비서 개발도구' 경쟁 격화 07-10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