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세계 기업 중 최초로 시총 첫 4조달러 '터치' 작성일 07-10 10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PkO08thL5I">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590e68956961268c0dd39ca0ecf03c09b586baaae66f72126098da7d27009b6d" dmcf-pid="QEIp6Flo5O"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사진=EPA 연합뉴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0/etimesi/20250710073333563lwkb.jpg" data-org-width="700" dmcf-mid="6axrHEe7XC"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0/etimesi/20250710073333563lwkb.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사진=EPA 연합뉴스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f58c5f0121cc61f1a5c7e61f1b1180fa73a52fbb190e6aeed6b246f06ee9c2e5" dmcf-pid="xDCUP3SgZs" dmcf-ptype="general">인공지능(AI) 반도체 선두주자인 미국 엔비디아가 세계 기업 중 최초로 장중 시가총액 4조달러(약 5500조원)를 넘어섰다.</p> <p contents-hash="a245de448caf64756fcde40f248d97b0e69ada15ed7e76290b332cc4bcbfa594" dmcf-pid="yqfAva6FZm" dmcf-ptype="general">엔비디아는 9일(미국 현지시간) 나스닥에서 장중 한때 주가가 전날보다 약 2.5% 오른 164.42달러까지 상승하면서 시총이 4조 달러를 돌파했다.</p> <p contents-hash="7a8eb4bd3301ae7bae514365055449a49e27c21cc3847480ebe186c505afd9fa" dmcf-pid="WB4cTNP3Hr" dmcf-ptype="general">종가는 다소 줄어 1.8% 오른 162.88달러로 최종 마감했다. 시총도 3조9720억달러를 기록하며 4조 달러 아래로 내려왔다.</p> <p contents-hash="89b328965b34407caf6df247c31257bfecfba4d86c144f8283bdbb4c69b806d0" dmcf-pid="Yb8kyjQ0Yw" dmcf-ptype="general">엔비디아는 시총 4조 달러선에 처음 오른 기업으로 기록됐다. 전 세계 기업 가운데 시총 4조달러를 넘어선 것은 최초다. 애플이 2022년 1월 장중 시총 3조 달러를 넘어선 이후 3년 6개월 만이다.</p> <p contents-hash="1c74e23cae07ac530e4c760fabc755725f75d4ac880e6278ccfb91f07909a756" dmcf-pid="GK6EWAxpYD" dmcf-ptype="general">엔비디아는 지난해 2월 시총 2조 달러에 올랐다. 이어 지난해 6월 시총 3조달러에 진입했다. 약 1년여만에 다시 4조달러 시대를 열었다. 올해 들어 엔비디아 주가는 20% 이상 상승했고, 2023년 초 이후로는 10배 이상 급증했다.</p> <p contents-hash="ce6b36a3b68ddb7eeeadf5932ae9096cc97ea88d1921ade45e8b3f5ba662429e" dmcf-pid="H9PDYcMUtE" dmcf-ptype="general">주가 급등은 주요 고객사의 AI 투자 확대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마이크로소프트(MS)·메타·아마존·구글 등의 주요 빅테크는 차기 회계연도에서 총 3500억달러를 자본 지출을 단행할 예정이다. 올해(3100억달러)보다 늘어난 수치로, 엔비디아 매출의 40% 이상을 차지하는 기업들이다.</p> <p contents-hash="7863eca2bcf6c2a04f7be6662c9bdeb848cd775e393effe39236ca49f81e1c64" dmcf-pid="XH3xc6UlZk" dmcf-ptype="general">엔비디아는 1~4월까지 중국 딥시크 등장으로 AI 지출이 줄어들 것이란 우려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따른 불확실성으로 주가가 떨어지기도 했다.</p> <p contents-hash="36886d4faf7c56b78f17171b7377e7e11b62d8c57333630b12239f6ef0776f4f" dmcf-pid="ZX0MkPuSHc" dmcf-ptype="general">그러나 미중 무역협상 진전 소식과 주요 고객사 AI 지출이 확대되면서 5월부터 주가가 상승세로 돌아섰다.</p> <p contents-hash="16cadc6f4a2c1074b07b952d3ee2d4076c0f8b15574b013b38242843e78b6f65" dmcf-pid="5ZpREQ7v5A" dmcf-ptype="general">월스트리트에서는 엔비디아 주가가 더 상승할 여력이 있다고 보고 있다. 다음달 예정된 분기 실적 발표가 관건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p> <p contents-hash="277041bd63bc8c25dd1351516b17f08f385c155e89b38e596aa34ee1057334fc" dmcf-pid="15UeDxzTXj" dmcf-ptype="general">권동준 기자 djkwon@etnews.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감다살 0티어’ 이수지 “체력 관리” 들어간 사연[인터뷰] 07-10 다음 김은지 9단 맹활약...한국 여자바둑, 한일 올스타전 역전 우승 07-10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