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 "초고령·인력난, AI로 풀겠다" 작성일 07-10 5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日 오사카서 협업 툴 '라인웍스 10주년 기념 간담회' 개최<br>음성 기록·이미지 인식 등 활용도 높은 기능 제공…AI 업무 플랫폼으로 진화<br>초고령 도시 이즈모시에 도입된 '케어콜'…'AI 복지' 최초 사례로 주목</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We149UyjWm">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afb25db683efeeb2c4519aeccd6b7aeef5154e5b8313f0919b330366f7a5762" dmcf-pid="Ydt82uWAlr"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가 9일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협업 툴 '라인웍스' 출시 10주년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현지 사업전략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사진=송혜리 기자) *재판매 및 DB 금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0/newsis/20250710090136094vobj.jpg" data-org-width="720" dmcf-mid="yI6caebYys"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0/newsis/20250710090136094vobj.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가 9일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협업 툴 '라인웍스' 출시 10주년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현지 사업전략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사진=송혜리 기자) *재판매 및 DB 금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bd6b62db00fd971d4d6a8654c0cf99b84990d1f982426f4f607417ab3462b1d4" dmcf-pid="GJF6V7YcCw" dmcf-ptype="general"><br> [일본 오사카=뉴시스]송혜리 기자 = <strong>"인공지능(AI)은 이제 기술을 넘어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도구로 발전해야 합니다."</strong></p> <p contents-hash="b655e379ad2e8f1d3b4fefb754c25a961d8d5e30c0a73b96c5ca6221f80a0078" dmcf-pid="Hi3PfzGklD" dmcf-ptype="general">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9일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협업 툴 '라인웍스' 출시 10주년 기념 기자간담회를 통해 지난 10년간의 주요 성과와 향후 현지 기업간거래(B2B) 시장 대응 전략을 공유했다.</p> <p contents-hash="5ce13a5bb03923108b9ea84a7cad780062fef94b47f5d174737e9ce8881a5b7d" dmcf-pid="Xn0Q4qHEyE" dmcf-ptype="general">이날 김 대표는 글로벌 사회가 직면한 고령화와 인력 부족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현장형 AI 전략'을 강조했다. 그는 협업 프로그램에서 인공지능(AI) 기반 업무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는 '라인웍스'와 복지 서비스에 AI 기능을 접목한 '네이버 케어콜(韓 브랜드명 클로바 케어콜, 이하 케어콜)'을 대표 사례로 꼽았다. </p> <h3 contents-hash="853751ce80b56aee8aa6e754dda2b111c4b9fa885ac1d58c71369cbe201af672" dmcf-pid="ZLpx8BXDhk" dmcf-ptype="h3">라인웍스, 현장 친화적 기능과 사용성으로 일본 협업툴 시장 독보적 1위</h3> <div contents-hash="d3bed79914ba8fba4340db47fcfca0ca05a39700f9dd16ca56138c03e2709810" dmcf-pid="5oUM6bZwlc" dmcf-ptype="general"> 라인웍스는 네이버클라우드가 서비스하는 업무용 메신저(협업 툴)이다. 메신저 '라인'과 유사한 사용자경험(UX)에 다양한 업무 협업 기능을 담았다. 2016년 일본 현지에 출시된 이후 현지 시장에서 독보적인 입지를 다지고 있다. </div> <p contents-hash="82cb6ac12fac73d60ae82ff464abbe18d7c3298133102e062326ac298606aba0" dmcf-pid="1a7eQ91myA" dmcf-ptype="general">시장조사기관 후지키메라에 따르면 라인웍스는 2017년 이후 7년 연속 유료 업무용 메신저 시장 점유율 1위를 유지하고 있다. 2023년에는 점유율 41%를 기록했다. 연 매출 또한 매년 약 40% 성장했다. 이달 기준 연간 반복 매출(ARR) 160억엔(약 1500억원)을 돌파하기도 했다.</p> <p contents-hash="d2149a7a5b944a3d299924f6038b7f1dd8c04492aafae9b3bfc3a28b86192f15" dmcf-pid="tNzdx2tsyj" dmcf-ptype="general">라인웍스는 단순한 업무용 메신저를 넘어 AI 기반의 업무 플랫폼으로 변신하고 있다. AI 음성 기록 서비스 '에이아이노트(AiNote)', 음성을 텍스트로 바꿔주는 '로저(Roger)', AI 콜 응답 서비스 '에이아이콜(AiCall)', AI 분석 클라우드 카메라 '비전(Vision)', 이미지 인식 기반 문서처리 기능 '오씨알(OCR)' 등이 탑재하면서다.</p> <p contents-hash="639abf8edab35ed6b849d595074a3cf50d624a1a6ff6535fd5dfec8d58cb04ed" dmcf-pid="FjqJMVFOWN" dmcf-ptype="general">추후 라인웍스에는 일간보고 등 반복적이고 패턴화된 업무를 AI가 자동 분석·처리하는 'AI 에이전트' 기능도 추가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일하는 사람을 위한 AI 툴'로 확고히 자리매김하겠다는 목표다.</p> <h3 contents-hash="df68326b7dcec585e77bd5e78325e073fea165904a08ef561dcb42631bf18728" dmcf-pid="3ABiRf3Iha" dmcf-ptype="h3"><strong>케어콜, 日 초고령 도시 이즈모시 도입…AI로 일본 고령화 문제 해결</strong></h3> <div contents-hash="5ed2ab8aee9b0423e7c2ca47b2f41a7e1ab7b8f852a5d72168cc7635d09c1c29" dmcf-pid="0cbne40Cyg" dmcf-ptype="general"> <strong> 라인웍스가 사무 환경 중심의 AI 활용 사례라면 '케어콜'은 인력 의존도가 높은 복지 현장에 AI를 적용한 사례다. <br><br> '케어콜'은 돌봄이 필요한 독거 노인과 중장년 1인 가구를 대상으로 AI가 전화를 걸어 안부를 확인하는 서비스다. 특히 대화형 AI가 자연스러운 소통을 통해 정서적 교감을 지원하며, 통화 중 이상 징후가 감지되면 즉시 복지사나 병원 등 지역 관계 기관에 연계해 위기 상황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 특징이다. <br><br> 현재 우리나라 절반 이상의 지자체에서 도입해 높은 응답률과 만족도를 기록하고 있다. 아울러 최근 일본 시마네현 이즈모시도 네이버클라우드와 협약을 체결하고 AI 안부 전화 서비스 '케어콜'을 도입하기로 했다. 이는 복지사가 직접 수행하던 전화 확인 업무에 AI를 적용한 일본 최초 사례로 지자체 복지 행정의 효율성과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br><br> 네이버클라우드는 '라인웍스'와 '케어콜' 외에도 일본 기업(B2B) 시장에서 다양한 기술 기반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br><br> 일본 리전을 기반으로 클라우드 서비스를 확장 중이며, 특히 게임 산업 진출을 위해 지오피, 클루커스 등 현지 파트너와의 협업을 강화하고 있다. 아울러 네이버랩스와의 협업을 통해 디지털트윈, 로봇, 클라우드 기술을 결합한 스마트빌딩 솔루션을 선보인 바 있다. 이 기술은 일본 내 대형 기업들의 높은 관심을 받고 있으며, 현재 유수 기업들과의 전략적 협업이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br><br> 김유원 대표는 "각 나라가 안고 있는 사회적 과제를 기술로 풀어가는 것, 그것이 네이버클라우드가 B2B를 통해 지향하는 궁극적인 방향이자, 우리가 말하는 '소버린 AI'의 철학"이라며 "앞으로도 클라우드와 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현장 중심의 B2B 서비스를 구체화해, 일본 사회에 실질적인 가치를 제공하고, 글로벌 시장에서도 인정받는 기술 파트너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밝혔다.<br><br><br><span>☞공감언론 뉴시스</span> chewoo@newsis.com </strong> </div>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각 나라에 닥친 문제 AI로 풀어야… 그게 우리가 말하는 ‘소버린AI’ 철학” 07-10 다음 네이버클라우드 '소버린AI' 日에서 통했다…라인웍스, 6만5000배 급성장 07-10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