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로라, 은하, 달, 태양…올해 최고의 천문사진은? 작성일 07-10 10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font color="#333333">곽노필의 미래창</font><br> 영국 그리니치천문대가 선정한 후보작들</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0SXE4qHEYw">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0650f7568f715e2023c732d1f670c9fa96ce87867ab07c37abb81c3964f6351" dmcf-pid="pvZD8BXDHD"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북극의 오로라. © Vincent Beudez"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0/hani/20250710093637917eesv.jpg" data-org-width="800" dmcf-mid="zW1e0Hmetk"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0/hani/20250710093637917eesv.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북극의 오로라. © Vincent Beudez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f6686e7be79a5d241fd493e3bdff99dc34afe6550878a1879f2bb0d628fbcb4a" dmcf-pid="UT5w6bZwZE" dmcf-ptype="general"> 지구가 은하수 중심을 향해 있는 여름은 밤하늘을 올려다보기에 가장 좋은 계절이다. 폭염에 지친 몸을 바닥에 뉘이고 드넓은 밤하늘에서 촘촘히 빛나는 별들을 보노라면 하루종일 쌓인 피로를 잠시 잊어버릴 수도 있을 법하다.<br><br> 영국 왕립그리니치 천문대(Royal Observatory Greenwich)가 주최하는 ‘2025년 천문사진작가’ 수상 최종 후보들이 공개됐다. 17회째를 맞은 올해의 공모전에는 전 세계에서 5880여점의 사진이 출품돼 역대 최다 기록을 세웠다.<br><br> 심사는 11개 부문에 걸쳐 진행됐다. 9월11일 수상작 발표에 앞서 최종 후보에 오른 작품 일부를 소개한다.<br><br> 첫째는 오로라를 담아낸 ‘북극의 꽃’이다.<br><br> 노르웨이 북부에서 4월에 촬영한 오로라다. 마치 머리 위로 푸른색 불꽃놀이 폭죽을 쏘아올린 듯하다. 북극권에 가까운 이곳의 4월엔 밤이 칠흑처럼 어둡지 않다. 5월 하순부터 시작되는 백야를 앞두고 밤이 짧아지고 어둠이 옅어지는 시기다. 이 시기의 오로나는 평소보다 훨씬 더 푸르게 보인다. <br><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7a11bedaf7c942ff3cea3ec7ce690111275667d74f2341dc739720e17b7cdbcb" dmcf-pid="uhnBSriBZk"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상하이의 붉은달. © Tianyao Yan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0/hani/20250710093639359glep.jpg" data-org-width="800" dmcf-mid="bD0n71CnGj"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0/hani/20250710093639359glep.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상하이의 붉은달. © Tianyao Yang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50f48983415120b1b5e3588050e4b0553725ad565720a6fbba8b86bd6507b89c" dmcf-pid="7lLbvmnbHc" dmcf-ptype="general"> 둘째는 상하이의 붉은 달이다.<br><br> 중국 경제의 중심지인 상하이의 마천루 밀집구역에서 26.5km 떨어진 곳에서 한 번의 노출로 촬영한 사진이다. 주최 쪽은 “5년을 기다려 촬영한 사진”이라며 “빛나는 스카이라인 옆에 보름달이 완벽하게 자리 잡아 강렬한 대비를 이룬다”고 평가했다. <br><br><strong>은하로 가는 관문</strong><br><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48062b1cf53a3e5fd1d46adba078148332e18f5f2fdc6f67185e2e585d5c349b" dmcf-pid="zSoKTsLKGA"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은하로 가는 관문. © Yujie Zhan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0/hani/20250710093640644uwqt.jpg" data-org-width="800" dmcf-mid="yf7JUZOJGM"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0/hani/20250710093640644uwqt.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은하로 가는 관문. © Yujie Zhang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1cfe35aa168ada7cfcb5e543bf49f137f2e2691d35e9d45b94af8a6b93821505" dmcf-pid="qvg9yOo9Hj" dmcf-ptype="general"> 셋째는 ‘은하로 가는 관문’이다.<br><br> 은하수가 밤하늘 한가운데를 가로지른 채 우뚝 서 있다. 그 앞엔 검은색의 기하학적 건물들이 마치 은하로 통하는 관문처럼 버티고 있다. 주최 쪽은 “마치 우주의 신비로 통하는 통로를 열어주는 듯, 끝없는 상상과 별이 빛나는 밤하늘을 탐험하고 싶은 갈망을 불러일으킨다”고 평가했다.<br><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71b67ab1f57935e6a29ebc3ecf3a7cd2b82a00bdeaef512573fddf8aabbcc22" dmcf-pid="BTa2WIg2HN"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분출하는 불기둥. © PengFei Chou"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0/hani/20250710093642008soyn.jpg" data-org-width="800" dmcf-mid="3iSzhDdz1K"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0/hani/20250710093642008soyn.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분출하는 불기둥. © PengFei Chou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c97c104f2e49fc2d6eec90eee38be98b9460d9a0ddd791e364db3a5fafc907b6" dmcf-pid="byNVYCaVta" dmcf-ptype="general"> 넷째는 태양에서 분출하는 홍염이다.<br><br> 2024년 11월7일 태양이 50만km가 넘는 길이의 거대한 태양 홍염을 분출했다. 분출이 시작될 때부터 끝날 때까지 약 1시간 동안 지속된 홍염을 지켜보면서 완성한 사진이다.<br><br> 홍염은 태양의 대기 중 맨아래층인 채층에서 맨꼭대기층인 코로나까지 자기장선을 따라 불기둥이 솟아오르는 현상을 가리킨다. 코로나보다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플라스마로 이뤄져 있어 붉은색을 띤다.<br><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9672ce2372f43d305ddf5e061299249553a7d541be11c1116b975a806c6bac5" dmcf-pid="KWjfGhNf5g"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과거로의 시간여행. © Jim Hildreth"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0/hani/20250710093643318nkol.jpg" data-org-width="800" dmcf-mid="pIXfGhNfHB"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0/hani/20250710093643318nkol.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과거로의 시간여행. © Jim Hildreth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42a547578d6b141462875a4350916291002ec99181bd40e05de37d13ae50535e" dmcf-pid="9YA4Hlj41o" dmcf-ptype="general"> 다섯째는 ‘과거 속으로’라는 제목이 달린 은하수다.<br><br> 미국 유타주 사막에서 바라본 밤하늘 파노라마 사진이다. 빛나는 은하수 아래의 황량한 사막이 마치 과거로 시간여행을 가는 듯한 풍경을 만들어냈다.<br><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661833de46cbdb25ddbd9665282189ef0520ae281bd9c7e74346fc11fe178ff6" dmcf-pid="2Gc8XSA81L"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노을빛 위의 달빛. © Fabian Dalpiaz"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0/hani/20250710093644628hkjg.jpg" data-org-width="800" dmcf-mid="uZyZcnVZGz"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0/hani/20250710093644628hkjg.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노을빛 위의 달빛. © Fabian Dalpiaz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1cb1e4a002f0301008854f789f71b842c129746a8d214d3dfa75967929a9dadc" dmcf-pid="VyNVYCaVZn" dmcf-ptype="general"> 여섯째는 노을빛 위의 달빛이다.<br><br> 웅장한 바위산으로 유명한 이탈리아 북동부 돌로미테의 험준한 산봉우리 위로 보름달이 구름 한 점 없는 저녁 하늘에 휘영청 떠올랐다. 하루의 일을 마치고 지평선 아래로 저물어가는 태양은 황금빛 노을로 산을 붉게 물들이며 달을 맞았다. 2009년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된 돌로미테는 알프스산맥의 일부로 독특하고 장엄한 산악 경관을 자랑한다.<br><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44e5a7fee907c5eb06e50420f45ec17198c6bfd6ea5c91f5608c5725acd7e60b" dmcf-pid="fWjfGhNfXi"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 Benjamin Barakat"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0/hani/20250710093645882wumq.jpg" data-org-width="800" dmcf-mid="HpdgB3Sg1l"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0/hani/20250710093645882wumq.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 Benjamin Barakat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50598ec379816d691fc43b9a5d32ce75c5733faf5c4ed5dbf2f5b92c7ab8ad25" dmcf-pid="4YA4Hlj4GJ" dmcf-ptype="general"> 일곱째는 고독한 용혈수의 우주다.<br><br> 중동 예멘의 소코트라섬 용혈수(드래곤 트리) 숲 한가운데 홀로 서 있는 용혈수 한 그루가 별들을 배경으로 신비로운 장면을 만들어냈다. 용혈수는 붉은색 수액이 나오는 독특한 외형의 나무다. 300번의 노출로 완성된 사진이다. 소코트라섬은 아프리카의 뿔(소말리아)에서 동쪽으로 240km, 아라비아 반도(예멘 본토)에서 남쪽으로 380km 떨어져 있다.<br><br><strong>추락하는 혜성, 승천하는 혜성</strong><br><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3f544977a11ef05542c7ff00a5e7f2fbbfe95488425aaa57ddd6406f748cbd4" dmcf-pid="8Gc8XSA8Zd"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와이키키 하늘의 혜성. © Ran Shen"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0/hani/20250710093647279wszl.jpg" data-org-width="800" dmcf-mid="XCb4Hlj4th"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0/hani/20250710093647279wszl.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와이키키 하늘의 혜성. © Ran Shen </figcaption> </figure>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19dbd9e8fb1d35d940749ee70c8351fe8e55c50c95f3f5d2d9c1e6cc98c4baa" dmcf-pid="6Hk6Zvc6te"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나미비아 하늘의 혜성. © Gerald Rhemann and Michael Jäger"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0/hani/20250710093648616nsbk.jpg" data-org-width="807" dmcf-mid="ZAgD8BXDtC"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0/hani/20250710093648616nsbk.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나미비아 하늘의 혜성. © Gerald Rhemann and Michael Jäger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a860260c4031d85917f4dab5284c82776949cdbd3781d6c1c5ed3217659d0efd" dmcf-pid="PXEP5TkPYR" dmcf-ptype="general"> 여덟째는 혜성이다. 지난해 나타난 혜성 중 가장 밝은 쯔진산-아틀라스 혜성(C/2023 A3)을 각각 북반구와 남반구에서 촬영한 사진이다.<br><br> 위의 것은 와이키키 하늘에 나타난 혜성이다. 2024년 10월12일 저녁 하와이 호놀룰루 와이키키해변 인근 푸우오카이무키공원에서 찍었다. 이날은 이 혜성이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지점(근지점)을 통과한 날이었다. 근지점 통과시 지구와의 거리는 약 7000만km. 공전궤도 주기가 8만년인 이 혜성은 태양계 너머 얼음천체들이 밀집돼 있는 오르트구름에서 발원한 것으로 추정된다.<br><br> 아래는 적도 남쪽 아프리카 남서부의 나미비아에서 촬영한 쯔진산-아틀라스다. 하늘 높이 솟구쳐 오르는 로켓이 엄청난 가스를 배출하는 장면을 연상시킨다. 혜성의 먼지꼬리(황백색)와 이온꼬리(푸른색)가 선명히 드러나 있다. 태양풍의 영향으로 이온꼬리가 매끄럽지 못한 것이 눈에 띈다.<br><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9e50cbb210b2b1783d6b49240490ace3c84018d4337b28bc43c8d38e7602da12" dmcf-pid="QZDQ1yEQHM"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은하의 불꽃놀이. © Bence Tóth, Péter Feltóti, Bertalan Kecskés"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0/hani/20250710093649945alvl.jpg" data-org-width="800" dmcf-mid="5bkIRf3IZI"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0/hani/20250710093649945alvl.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은하의 불꽃놀이. © Bence Tóth, Péter Feltóti, Bertalan Kecskés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867961af85efe8baf2806207135cdf8bd6057b423541cb5db35e3f4682f135c1" dmcf-pid="x5wxtWDxGx" dmcf-ptype="general"> 아홉째는 은하의 불꽃놀이다.<br><br> 270만광년 떨어져 있는 삼각형자리은하(M33)의 모습이다. 우리 은하를 포함하는 국부은하군에서 안드로메다은하(M31), 우리 은하 다음으로 큰 나선 은하다.<br><br> 이 은하엔 나선팔을 따라 푸른색의 어린별들과 붉은색의 별 형성 지역이 분포해 있다. 안드로메다은하와의 중력 상호작용 영향으로 별 형성 활동이 활발한 모습이 마치 우주에서 불꽃놀이를 연출하는 듯하다. 크기는 5만~6만광년으로 추정된다. 70만광년 떨어져 있는 안드로메다은하의 위성은하다.<br><br><strong>동굴 안으로 들어온 은하수</strong><br><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15f017e4d9b333570670ec732db66e975946ddf747708c76d6d5e14ff40c8100" dmcf-pid="ynByoMqytQ"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동굴 안의 은하수. © Yoshiki Abe"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0/hani/20250710093651233ncne.jpg" data-org-width="800" dmcf-mid="1eOyoMqy5O"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0/hani/20250710093651233ncne.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동굴 안의 은하수. © Yoshiki Abe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c1e83b9b661cc68e5bb0bcb9bbe88a382b81fd0f2c0b2492da2c240542f8b608" dmcf-pid="WLbWgRBW5P" dmcf-ptype="general"> 열째는 동굴 안의 은하수다.<br><br> 일본 야마구치현 나가토시의 한 동굴에서 촬영했다. 동굴 시야 안쪽으로 은하수가 완벽히 들어올 때를 기다려 촬영했다. 같은날 밤에 찍은 은하수와 동굴 전경 두 사진을 합쳐 완성했다. 먼저 블루 아워(Blue Hour)에 동굴 전경을 촬영한 뒤 삼각대를 옮겨 은하수를 담았다. 블루 아워는 태양이 수평선 아래로 일정 각도 이상 잠겨 있는 일출 직전이나 일몰 직후의 짧은 시간대를 가리킨다. 이 시간에 하늘은 깊고 채도 높은 푸른색을 띠게 된다.<br><br> 이밖에 개기일식의 전 과정과 절정의 순간을 담은 연속 사진, 지구를 제외한 태양계 일곱 행성을 한 자리에 모아놓은 사진도 최종 후보에 올랐다.<br><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667185c749efaeae68b71fa2c23067e8f0e389582df0224ac7fa57d5110cdd8" dmcf-pid="YIJzhDdzH6"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개기일식의 처음에서 끝까지. © Louis Egan"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0/hani/20250710093652498vfwz.jpg" data-org-width="800" dmcf-mid="tHwxtWDx5s"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0/hani/20250710093652498vfwz.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개기일식의 처음에서 끝까지. © Louis Egan </figcaption> </figure>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0ae606b4c814894f7dce3d616f622c3e31cd34a31a95d2b22d2e244dcec934d" dmcf-pid="GCiqlwJq18"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개기일식 절정의 순간. © Damien Cannane"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0/hani/20250710093653789pcij.jpg" data-org-width="800" dmcf-mid="FXMpsAxpHm"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0/hani/20250710093653789pcij.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개기일식 절정의 순간. © Damien Cannane </figcaption> </figure>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c55f3f7ed2a0739df5b69724621dc7ebe1b5ef93a91376eede076e6b5fcb1893" dmcf-pid="HhnBSriBG4"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태양계를 구성하는 지구 행성의 일곱 형제들. © Sophie Paulin"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0/hani/20250710093655067imjf.jpg" data-org-width="800" dmcf-mid="37JzhDdz5r"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0/hani/20250710093655067imjf.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태양계를 구성하는 지구 행성의 일곱 형제들. © Sophie Paulin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1e22b88ca9c3342200ab90c07b27a0a154fc08ffa013581e8c5c1618488db486" dmcf-pid="XlLbvmnbHf" dmcf-ptype="general"> 곽노필 선임기자 nopil@hani.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글로벌로 가라"…이해진의 결단, 日 1위 '라인웍스' 만들다 07-10 다음 테니스 꿈나무의 안타까운 희생에 테니스계 애도 07-10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