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60% ‘향후 5년 한국경제 둔화’…해법은 첨단 산업 육성 작성일 07-10 26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Xc31pXsdDf"> <div contents-hash="901dbbb5f3276052b9f4730176941f5be116b97189bef3db622df4c325297b94" dmcf-pid="Zk0tUZOJEV" dmcf-ptype="general"> <br> </div>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64a9c37201801c51fd63d306b988fd17c9bfdb06a7848722759aba584658461a" dmcf-pid="5EpFu5IiE2"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수원=뉴시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0/donga/20250710113025046xdso.jpg" data-org-width="1200" dmcf-mid="HupFu5Iir4"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0/donga/20250710113025046xdso.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수원=뉴시스]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73828dbb0a8bf1e378a05d2372be3b4866258b6d04e9631c00f3d8d673eb1d87" dmcf-pid="1DU371CnD9" dmcf-ptype="general"> 경제 전반에 활력을 불어넣을 ‘리딩 섹터(선도 부문)’가 없는 상황에서 한국 경제가 대내외 복합 위기에 처했다는 지적이 국내 경제·경영 전문가들 사이에서 나왔다. 1970~80년대 중화학 공업, 2000년대 이후 정보기술(IT) 이후 부재하고 있는 한국 경제의 성장 엔진을 되살리기 위해 정부가 미래 첨단 산업을 육성하고 기업 투자를 활성화 해야 한다고 했다. </div> <p contents-hash="003c2c024ee8b43b00f2c2f22d02851154448bc582174dee2f60fde925f44b67" dmcf-pid="twu0zthLOK" dmcf-ptype="general">대한상공회의소가 국내 경제·경영 전문가 10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새 정부 경제정책방향’에 따르면, 10명 중 6명(61.8%)는 향후 5년(2026~2030년) 간 한국 경제의 성장 동력이 약해질 것으로 내다봤다. 전문가들의 40.2%는 우리 경제의 성장률이 ‘낮은 수준에서 정체되는 엘(L)자형’을 보일 것으로 우려했고, 21.6%는 ‘점진적 우하향 추세’를 나타낼 것이라고 내다봤다. </p> <p contents-hash="d6ed3a7a49be9bc7d27e638d623a4f4dfafc1220f8f2c7c0e347b29808264994" dmcf-pid="FHx6Rf3IIb" dmcf-ptype="general">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현재 한국 경제에는 1970~80년대의 중화학공업, 2000년대 이후의 IT처럼 경제 전반에 활력을 불어넣을 리딩 섹터가 없는 상황” 이라며 “미래 먹거리 산업 육성을 위해 인공지능(AI) 산업의 핵심 분야에 투자가 집중될 수 있도록 하고, 국가 차원에서 디지털 사회에 맞게 교육 체계를 개편하고 AI 고급 인재를 체계적으로 육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p> <p contents-hash="1f55ce2b50aa443a36a22ee4d2055abc1572f50ef4b7c7dde19c3fbc062def22" dmcf-pid="3XMPe40CIB" dmcf-ptype="general">새 정부가 한국 경제의 성장동력을 되살리기 위해 출범 후 1년 이내에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경제정책이 무엇인지를 3순위까지 꼽아달라는 질문에는 ‘기업투자 활성화’(69.6%)와 ‘대외통상 전략 수립’(68.6%)이 가장 많이 꼽혔다. 그 밖에 ‘부동산 안정·가계부채 관리’(44.1%), ‘소비 진작’(35.3%), ‘환율·금융 안정화’(32.4%) 등이 뒤를 이었다. </p> <p contents-hash="c41cd6fac4519d73ec00371be139cfd20924be9768949cd1aba86182e731b495" dmcf-pid="0ZRQd8phOq" dmcf-ptype="general">향후 5년간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3가지 정책을 꼽아달라는 질문에는 ‘미래 첨단산업 육성’이란 응답이 75.5%로 가장 많았다. 이어 △‘저출생·고령화 대응’(58.7%) △‘규제 개선’(32.3%) △‘인재양성’(31.4%) △‘재정·사회보험 지속가능성 확보’(26.5%) △‘지역경제 활성화’(26.5%) 등의 응답이 뒤를 이었다. </p> <p contents-hash="ea6b63f089f221c54a58df400c01f70d12b50ff528a36d273d0d50c97644ff7d" dmcf-pid="p5exJ6Ulwz" dmcf-ptype="general">미래 첨단산업 육성을 위해 필요한 정책으로는 ‘전략산업 집중적 투자지원’을 꼽는 답변이 59.8%로 가장 많았다. 송의영 서강대 경제학과 교수는 “각 미래산업 분야에 대한 지원정책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정책 간 충돌을 조율하기 위한 산업정책 청사진도 함께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49a7c2cda8fd3a89fa92c6ade4b2c46a9d254bb51864f62fd19732a19a2a8bef" dmcf-pid="U1dMiPuSD7" dmcf-ptype="general">이민아 기자 omg@donga.com<br>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동아일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강유찬, 오늘(10일) 솔로 데뷔… ‘스맨파’ 우태 지원사격 07-10 다음 두껍다·무겁다, 편견깼다…“갤럭시Z 폴드7, 혁신의 정점” [갤럭시 언팩 2025] 07-10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