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스피싱 의심번호 DB 구축돼 피해 예방한다 작성일 07-10 24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개인정보위, 보이스피싱 탐지 서비스 사전적정성 검토 결과 의결<br>이통 3사-금융권 적용, 보이스피싱 예방 효과 확산 기대</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y0ua6bZwSp"> <p contents-hash="76f4a524741b96dbd3134bc25d6ff0b2639688b7d7531b922717a68ffbd0da53" dmcf-pid="Wp7NPK5rS0" dmcf-ptype="general"> [이데일리 김아름 기자] 보이스피싱 의심번호 데이터베이스(DB)가 구축돼 이용자들이 금융사기 피해 예방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된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0f7f4546f543ff90c3a1c54907767ae54a5a70fcaeb6dbe721ae71dfd7001e6" dmcf-pid="YUzjQ91my3"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0/Edaily/20250710120224084pnay.jpg" data-org-width="670" dmcf-mid="x8gZOcMUTU"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0/Edaily/20250710120224084pnay.jpg" width="658"></p> </figure> <div contents-hash="6929d86cb4911d7004d14fc5966772af889b59251f1677172288bdeea097717a" dmcf-pid="GuqAx2tsSF" dmcf-ptype="general">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LG유플러스와 KT의 ‘금융사 연계 보이스피싱 탐지 서비스’에 대한 사전적정성 검토 결과를 심의·의결했다고 10일 밝혔다. </div> <p contents-hash="b9f076731d726680d64ac4231c7b085c87285bac0784167330f6f0c8ac093fef" dmcf-pid="H7BcMVFOTt" dmcf-ptype="general">두 통신사는 자사 가입자의 전화 수발신 내역 데이터를 활용하여 보이스피싱 의심번호를 예측하고 이를 금융사의 이상거래 탐지·차단에 이용하는 서비스를 출시하기에 앞서 개보위에 사전적정성 검토를 신청했다. 신청내용을 살펴보면, 먼저 각 통신사는 수사기관 등으로부터 공유받은 보이스피싱 전화번호의 통화·문자 수발신 패턴(통화패턴)을 학습한 인공지능(AI) 모형을 개발하고, 보이스피싱 전화번호와 통화패턴이 극히 유사한 다른 전화번호들을 분류해 ‘보이스피싱 의심번호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하게 된다.</p> <p contents-hash="0356b923002947d1a6ceb9ac1eb061d962e2672440da0ea321ad2a40ae262634" dmcf-pid="Xb2wJ6UlW1" dmcf-ptype="general">금융사는 보이스피싱 피해 의심 상황발생 시 해당 고객이 최근 보이스피싱 의심번호와 통화한 적이 있는지 여부를 통신사에 조회하며, 이를 참고하여 실제 보이스피싱으로 판단되는 경우(정탐지) 거래 차단 등의 조치를 취한다. </p> <p contents-hash="f672d5be963b129f0fd951e5440f002ffcccd3d4e7489283c5b347a51cb22614" dmcf-pid="ZKVriPuST5" dmcf-ptype="general">더불어 통신사가 보이스피싱 의심번호를 잘못 탐지(오탐지)하여 금융사가 정상 거래로 처리한 경우, 정·오탐지 결과를 통신사에 회신해 추후 인공지능 모델 개선 등에 활용하게 된다. 참고로 통신사·금융사 간 조회·회신은 기존에 금융사와 시스템을 연계해 둔 중계사 코리아크레딧뷰로를 경유해 이루어진다.</p> <p contents-hash="de3201328f6675759b01e453321e4b9e74d6cf47c2f27411915ff2af62c00375" dmcf-pid="59fmnQ7vlZ" dmcf-ptype="general">개인정보위는 이용자 보호 강화와 개인정보 오남용 방지를 위한 방안을 사업자 측에 제시·협의하였으며, 서비스 개시 후 실제 이행여부를 점검할 예정이다. 우선 이번 서비스를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 목적으로만 운영하고, 이와 관련된 개인정보 처리 개요를 이용자가 명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통신사와 금융사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고지하도록 했다. 통신사는 중계사와 개인정보 처리위탁 계약을 체결하고, 보이스피싱 의심번호 DB가 해당 업무를 위해서만 안전하게 처리되는지 여부를 관리·감독하도록 했다. 금융사는 고객의 금융사기 노출위험 판단이 필요한 상황에서만 보이스피싱 의심번호 데이터베이스(DB)를 조회하고, 이 정보를 다른 목적으로 활용하지 않도록 했다. 또 당해 금융거래를 차단 또는 허용할지 판단하여 통신사에게 정·오탐지 결과를 회신할 의무가 있다는 내용의 계약을 통신사(또는 중계사)와 체결하도록 했다.</p> <p contents-hash="befd9ef4fe050bda18986ec186f8e4a40f011020a997a9a3a660695497ae18ed" dmcf-pid="124sLxzTvX" dmcf-ptype="general">개보위 관계자는 “다수 금융기관이 국내 이동통신 3사를 대상으로 보이스피싱 의심번호 조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어 대다수 국민이 보다 고도화된 금융사기 피해 예방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라며 “앞으로도 사전적정성 검토제를 통해 개인정보 처리 환경에 적합한 법 적용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개인정보 침해 요소를 선제적으로 예방하는 한편, 인공지능(AI) 등 신서비스·신기술 기획 과정에서 현장의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개인정보의 안전한 활용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p> <p contents-hash="c5a8c632304761bc0eff9cf07ea97f844dca3be05c9cb3a5e17220739ab163b7" dmcf-pid="tV8OoMqyTH" dmcf-ptype="general">김아름 (autumn@edaily.co.kr)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삼쩜삼 이용할 때 주민번호 입력 안해도 된다 07-10 다음 광명시, '글로벌 문화 수도' 선언…미래 100년 드림 프로젝트 시동 07-10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