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머노이드, 피지컬AI 달고 훨훨 나는데…국내 인재·데이터 부족 작성일 07-10 10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NTF2025]정현준 KIRO 센터장 "로봇AI, 인지·감각·자율성 숙제"<br>"피지컬AI 코드·데이터 부족…고연봉 제시에 미국으로 인재유출"</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GKVzrbZwFI">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4edb427fcc168163ba25e5c53b910e540e20670b8c5facf98abe28b11af962e" dmcf-pid="HGZTRYwM3O"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정현준 한국로봇융합연구원 인공지능로봇연구본부 본부장이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 컨퍼런스홀에서 'AI 휴머노이드, 인간과 기계의 공존 시대'를 주제로 열린 2025 뉴스1 테크포럼(NTF)에서 'AI 휴머노이드 기술 – 인지, 감각, 자율성'에 대해 주제강연을 하고 있다. 2025.7.10/뉴스1 ⓒ News1 박정호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0/NEWS1/20250710135028924kitn.jpg" data-org-width="1400" dmcf-mid="YVnxGebY0C"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0/NEWS1/20250710135028924kitn.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정현준 한국로봇융합연구원 인공지능로봇연구본부 본부장이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 컨퍼런스홀에서 'AI 휴머노이드, 인간과 기계의 공존 시대'를 주제로 열린 2025 뉴스1 테크포럼(NTF)에서 'AI 휴머노이드 기술 – 인지, 감각, 자율성'에 대해 주제강연을 하고 있다. 2025.7.10/뉴스1 ⓒ News1 박정호 기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148637cdc793888190b53cd49803e5c29156eb98c3470d3d92db8a08e04d18ad" dmcf-pid="XH5yeGrRFs" dmcf-ptype="general">(서울=뉴스1) 윤주영 기자 = 휴머노이드 두뇌가 되는 '피지컬 인공지능(AI)'도 양질의 데이터와 인재가 받쳐줘야 한다는 지적이다. 하지만 인재 유출, 폐쇄적인 데이터·소스코드 공유 등으로 인해 국내 연구가 어려움을 겪고 있다.</p> <p contents-hash="eb55cf4a998abc31a97147a5f9b5401c8572cb11d65e7ce14b16c51fbec7e9b7" dmcf-pid="ZX1WdHmeFm" dmcf-ptype="general">10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2025 뉴스1 테크포럼(NTF)'에서 정현준 한국로봇융합연구원(KIRO) 인공지능로봇연구센터장은 이같은 문제를 지적했다.</p> <p contents-hash="bf3b57058b99a952c2fd4c30689b31a913d9918ecff259292a37fcbbd9a2b512" dmcf-pid="5ZtYJXsdpr" dmcf-ptype="general">정 센터장은 "과거 휴머노이드는 비싸고 운용의 효율성이 없는 기술로 여겨졌다. 하지만 최근 테슬라 등이 양산 가능성을 보여주면서 이야기가 달라졌다"고 덧붙였다.</p> <p contents-hash="49066350a509a58b742c239665f7dad1db2142c5a80529bbd613f5f337bc5a27" dmcf-pid="15FGiZOJzw" dmcf-ptype="general">이어 "골드만삭스에 따르면 휴머노이드 시장은 2035년 38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생성형 AI·피지컬AI가 휴머노이드와 결합하면서 많은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9ccb1e47fe758bff0f1a8fb8abcaa514b278f0587fdf485a78336af87b2b43b6" dmcf-pid="t13Hn5Ii3D" dmcf-ptype="general">실제로 최근 휴머노이드는 자연어 명령을 이해하고, 심지어 자율적으로 협업을 구현하는 수준에 이르렀다. 미국 스타트업 FIGURE사의 휴머노이드가 대표적 사례다.</p> <p contents-hash="b9e06ae21b344d27cfd0ed71b825cac1b291dc2e262f6ac5bb839f371171f97d" dmcf-pid="Ft0XL1Cn3E" dmcf-ptype="general">정 센터장은 "오픈AI 거대언어모델(LLM)을 탑재한 FIGURE 01 시연은 인간 개입 없이 스스로 지적 업무를 해내는 '범용 인공지능(AGI)'의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ff12d47d7267ff260fcf1b46a0bcfa45c4757739094cf2ed92407b58d73fd26b" dmcf-pid="3gjito417k" dmcf-ptype="general">피지컬AI 덕에 다양한 분야(도메인)서 로봇 대체 가능성도 시도되고 있다. 화장실 청소, 음식 조리, 자연환경 탐사, 수술 등 작업이 대표적이다.</p> <p contents-hash="394186fb9982e1c1a937ecc812ef57c7eb34098c1a7927574bcef88dd6aff8de" dmcf-pid="0aAnFg8tUc" dmcf-ptype="general">정 센터장은 향후 감각·인지·자율성 등 3대 관점에서 피지컬AI의 고도화를 추진해야 한다고 봤다. 구체적으로 △인간 감각에 해당하는 센서와 이를 처리하는 컴퓨터 비전·음성인식 기술 △머신러닝·딥러닝 기반 지식·추론·의사결정 수행 △동작 데이터 강화 학습을 통한 행동 결정 알고리즘 구축 및 자율 행동 등이 숙제다.</p> <p contents-hash="23fdeaf4d9826c951e07979a018ff53459b46306787479bf42ddb3e66004f0e5" dmcf-pid="pNcL3a6F0A" dmcf-ptype="general">하지만 국내 기술 생태계는 열악할 실정이다. 양질의 데이터와 인재 확보가 어렵다고 정 센터장은 호소했다.</p> <p contents-hash="b43b33ca7981cf75bee27977c07eee6fd770f206e347bea6beab243ca4a5a6cb" dmcf-pid="Ujko0NP37j" dmcf-ptype="general">그는 "깃허브에서 오픈소스로 올라와 있는 피지컬AI도 막상 핵심 데이터나 소스코드가 감춰져 있는 경우가 많다"며 "뛰어난 개발자 역시 미국이 50만 달러 수준 연봉을 제시하며 데려가고 있다"고 전했다.</p> <p contents-hash="89e3272d4c039c3929b644035812e5652bdc0bd60ee56cdc50dfb4f35d402862" dmcf-pid="uAEgpjQ0FN" dmcf-ptype="general">이외에도 정 센터장은 에너지·전력 등 기반 인프라, AI 연산에 필요한 그래픽처리장치(GPU), 로봇 제어권의 탈취를 막는 사이버보안 등 주변 기술이 받쳐줘야 한다고 조언했다.</p> <p contents-hash="222792f79759a93d90c07164f6cbef867987854e5512f054f212bf320fb6ee5b" dmcf-pid="7cDaUAxpza" dmcf-ptype="general">legomaster@news1.kr<br><br><strong><용어설명></strong><br><br>■ 피지컬AI<br>피지컬AI는 로봇, 자율주행차, 스마트 공간 등 자율 시스템이 실제 물리 세계에서 사물을 인지하고, 이해하며, 복잡한 행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이다.<br><br>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 “글로벌 시장 개척 본격화…AI·클라우드 사업 사활” 07-10 다음 태블릿급 화면에 과자봉지보다 가볍다…베일 벗은 갤럭시Z 폴드7 07-10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