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화재의 주범은 '에어컨' ··· 화재없이 안전하게 쓰려면? 작성일 07-10 10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thJSYRBWlY"> <p contents-hash="993148662f71b8db1f6d5511305995d6e67f2a9f167d6a5d4235a9173278c6c1" dmcf-pid="FlivGebYWW" dmcf-ptype="general">[IT동아 남시현 기자] 2024년도 소방청 통계연보에 따르면 2020년에서 2024년 사이에 에어컨으로 인한 전기 화재는 약 1.8배, 선풍기로 인한 화재도 1.4배 늘었다. 화재 원인은 전기접촉 불량이 가장 많았으며 모터 과열, 설치 부주의 등 기계적 요인이 그 뒤를 이었다. 지난달 24일 부산진구 개금동의 한 아파트에서 난 불로 자매 2명이 목숨을 잃은 사건, 이어서 기장군 기장읍의 아파트에서도 불이 나 자매 2명이 숨진 사건의 화재 원인이 멀티탭으로 지목되며 전기 안전에 대한 경각심도 고조되고 있다. 여름철 냉방기기 및 겨울철 난방기기에 맞는 적절한 전기 사용법을 짚어본다.</p> <h3 contents-hash="1ed75b790b2721cb67862c50abc4f7b95519050dd87f37751723ce0ebaeedfbd" dmcf-pid="3SnTHdKGSy" dmcf-ptype="h3">소비전력 높은 냉난방기기, 상황에 맞는 플러그 꽂아야</h3> <p contents-hash="b80760a872d72b59f4b1a64ceb6e4ed225cac5c5047bbe0d7619872890417a81" dmcf-pid="0vLyXJ9HlT" dmcf-ptype="general">220V가 대중화된 이래 멀티탭에 소비전력이 높은 기기를 꽂으면 안 된다는 것은 상식으로 자리 잡았다. 하지만 멀티탭의 소비전력이나 수명, 벽 플러그의 소비전력 대응 등등을 정확히 판단하며 사용하는 경우는 드물다. 가장 흔한 10A 220V 1구~5구 멀티탭은 1800W 수준에 불과하며, 개별 전력차단 기능이 있는 고급 멀티탭도 16A 250V에 2800W 수준이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1abce210a1476382dcd621031a019b1a444bf678f58f5913adc4483ad2ca1f39" dmcf-pid="pToWZi2Xvv"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전기온수기, 에어컨, 온풍기 등 과부하 위험이 있는 제품은 사용하지 마십시오. 전체 사용용량은 16A(2800와트 이하), 전열 기구는 한 개만 사용하십시오’라고 적혀있다 / 출처=IT동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0/itdonga/20250710153610649tuxc.jpg" data-org-width="1000" dmcf-mid="2sYJgFloSb"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0/itdonga/20250710153610649tuxc.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전기온수기, 에어컨, 온풍기 등 과부하 위험이 있는 제품은 사용하지 마십시오. 전체 사용용량은 16A(2800와트 이하), 전열 기구는 한 개만 사용하십시오’라고 적혀있다 / 출처=IT동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31b620f978a28c5df102b6610adcfdca9b221a6c1a3ecd1b21d75ae33608a080" dmcf-pid="UR0dothLSS" dmcf-ptype="general">보통 10A급 멀티탭은 저렴한 제품이어서 전선 굵기가 얇고 개별 전력 차단 등 고급 기능도 없다. 시중에서 5000원~1만 원대 제품이 이 정도다. 고급 멀티탭은 조금 더 전선 굵기가 굵고 개별 전원을 켜고 끌 수 있다. 다만 전력 과부하 시에도 전기가 차단되진 않는다. 이 두 규격 모두 에어컨과 난방기기의 허용 용량에 못 미치거나 겨우 맞는 수준이다.</p> <p contents-hash="e343f727e33f205ecc528ee488804bbfb906adbac20bc48db67fa6d5a11cd10a" dmcf-pid="uepJgFlovl" dmcf-ptype="general">10A급 멀티탭에 에어컨을 꽂으면 곧바로 누전차단기가 내려갈 수 있고, 16A급 제품도 안전한 수준은 아니다. 2800W는 작동에 문제는 없지만 소비전력을 최고 수준으로 갑자기 올리면 감당이 안된다. 또한 소비전력은 각 플러그의 전체 합계로 계산하므로 에어컨 이외에 냉장고나 드라이어 등 다른 장치를 꽂아도 소비전력을 넘는다.</p> <p contents-hash="e2004ff0e2ab4931b92444036f702847053898d98a004ab955e67436e1d42b53" dmcf-pid="7dUia3SgTh" dmcf-ptype="general">동작 속도가 유지되는 구식 정속형 에어컨은 작동과 동시에 소비전력이 급격히 오른다. 일반적인 인식과 다르게 전력 소모량이 적은 인버터 에어컨도 초반에는 매우 높은 소비전력을 필요로 한다. 인버터 에어컨은 설정 온도에 도달했을 때 꺼지고 켜지는 식으로 모터를 조절하는 기능이고 최대 전력 소모량이 낮은 게 아니다. 소비전력이 매우 높은 인덕션, 전기난로, 라디에이터, 헤어드라이어 등도 마찬가지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e0adfbc25315bf20c23f5d701c330ecd2409472a0787985a863e40e04942c29" dmcf-pid="zJunN0vavC"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벽 콘센트는 최대 3520W까지 지원하며, 2800W까지는 안정적이다 / 출처=IT동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0/itdonga/20250710153611936silq.jpg" data-org-width="1000" dmcf-mid="5CTRn5IilH"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0/itdonga/20250710153611936silq.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벽 콘센트는 최대 3520W까지 지원하며, 2800W까지는 안정적이다 / 출처=IT동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fa62c183f93413391d144312754ea7d7e713ce9b44ef3c137563964c0ede551a" dmcf-pid="qi7LjpTNWI" dmcf-ptype="general">집안에서 가장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은 벽 콘센트에 직결하는 방법이다. 벽 플러그는 16A 250V가 기본 규격이며 콘센트 한 개당 최대 3520W까지 지원한다. 안전을 위해 허용 전력의 80%를 사용해도 2800W까지 지원한다. 보통 에어컨용은 다른 멀티탭 등을 꽂을 수 없도록 1구로 돼있고, 2구 스위치도 소비전력이 낮은 다른 장치를 같이 쓰는 건 무방하다.</p> <p contents-hash="1beed5f56121aaf7f53d9d6f19b6833adcc44f115702596a20e8a7aad7e68bd2" dmcf-pid="BnzoAUyjyO" dmcf-ptype="general">벽 콘센트도 무조건 괜찮은 건 아니다. 벽 콘센트와 멀티탭은 보통 18개월에서 24개월 정도가 수명이고, 서비스 수명은 10년 정도다. 굳이 깨지거나 헐거워지지 않는다면 쭉 사용하는 편이다. 다만 콘센트는 드물게 내부에 먼지가 쌓여서 누전으로 인한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플라스틱 색이 변할만큼 오래 썼다면 전문가를 통해 전부 교체하는 게 안전하다.</p> <p contents-hash="dc95677d45c7e1b4b25c738d2054a94db9c9ea4245691aa8d7f53d250cd92cb2" dmcf-pid="bLqgcuWAhs" dmcf-ptype="general">아울러 누전차단기는 과전류나 누전으로 인한 문제에 대응하는 장치고, 전기불꽃 방전에 따른 화재는 별개의 영역이다. 누전 차단기가 잘 작동하고 있더라도 콘센트 불량 등으로 불이 나는 것까지 막을 순 없다.</p> <h3 contents-hash="1ee8beaa60cbe41f967dd95142df1fe415acfd194560f397f9b5ae9a86886857" dmcf-pid="KoBak7YcTm" dmcf-ptype="h3">꼭 에어컨 멀티탭 필요하다면 4000W급 구매해야</h3>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132464a3ee9e11816f093ecea7b610846f89ebfccccabe91505d441109710ccf" dmcf-pid="9gbNEzGkWr"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멀티탭의 최대 소비전력은 2800W 수준이다. 헤어드라이어나 전자레인지까지는 괜찮으나 에어컨, 전기난로, 인덕션 용도로는 부적합하다 / 출처=IT동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0/itdonga/20250710153613182omed.jpg" data-org-width="1000" dmcf-mid="1M2crbZwvG"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0/itdonga/20250710153613182omed.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멀티탭의 최대 소비전력은 2800W 수준이다. 헤어드라이어나 전자레인지까지는 괜찮으나 에어컨, 전기난로, 인덕션 용도로는 부적합하다 / 출처=IT동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77ccbf372d79eae8dc559a989cd7b1811605aa2be72508ddac78d12ab89f1ac3" dmcf-pid="2j2crbZwTw" dmcf-ptype="general">결론적으로 에어컨은 벽 콘센트에 꽂고 쓰는 게 가장 안전하다. 콘센트가 너무 오래됐다면 교체가 필요하며, 아파트에 거주한다면 관리사무소를 통해 교체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2구 콘센트에 꽂는다면 에어컨을 꽂고 남은 다른 곳에는 출력이 높은 다른 기기를 꽂지 않는 게 좋다.</p> <p contents-hash="730bf3759fbc7ca70e129705926ef063b5695808cbfc51bee2f710bfb018d2e9" dmcf-pid="VAVkmK5rhD" dmcf-ptype="general">부득이하게 에어컨 위치 등으로 인해 멀티탭을 활용해야 한다면 일반 멀티탭이 아닌 고용량 멀티탭이라고 표기된 제품을 구매해야 한다. 고용량 멀티탭은 굵은 전선을 사용해 벽 콘센트와 비슷하거나 더 높은 전력 공급을 지원한다. 보통 3800W가 넘는 멀티탭을 고용량 멀티탭으로 보며, 최근에는 누전차단기가 달렸거나 난연 소재를 사용해 전기 화재를 예방하는 제품도 있다.</p> <p contents-hash="3040ec5e067310c5ca434276d65ee96254e1e0a88130b5dc582846aafa65710e" dmcf-pid="fcfEs91mvE" dmcf-ptype="general">체감온도가 35도를 넘는 더위가 이어지며 전기 안전에 각별히 신경을 써야 하는 상황이다. 전기 화재는 제품이 오래됐거나 낡아서 발생할 수도 있지만 정격용량에 맞지 않게 연결하는 경우가 더 위험하다. 새 에어컨과 새 멀티탭을 사용해도 화재가 날 수 있다. 가능한 벽 콘센트에 직결하고, 콘센트는 고용량 제품을 사용하자.</p> <p contents-hash="c79735c724519d4e339b84ac83cf8f8b9fcc386a84477ca987fe139147ae0628" dmcf-pid="4k4DO2tsCk" dmcf-ptype="general">IT동아 남시현 기자 (sh@itdonga.com)</p> <p contents-hash="dab7723c3f25f37f741f5ba2f92d8952f46dd95bddb8ac41e28e83bcf669fbae" dmcf-pid="8E8wIVFOSc" dmcf-ptype="general">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span>it.donga.com</span>)</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IT동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김독자 복각! 넷마블 ‘세나 키우기’X‘전독시’ 시즌 2 컬래버 업데이트 07-10 다음 크래프톤, 배틀그라운드 팬 위한 문화공간 'PUBG 성수' 오픈 07-10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