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만호 100대 사건]〈26〉정보화촉진기본법 제정 작성일 07-10 5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uJBul8phXh">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6469b25fbdcf2472b7b5b061371da0360e1513a0d40ac2af7af9b4696e3a9239" dmcf-pid="7ib7S6Ul5C"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이석채 정통부장관이 제안한 정보화촉진기본계획안과 추진과제별 담당부처와 협조기관 내용. 전자신문 DB"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0/etimesi/20250710160318554wwem.jpg" data-org-width="600" dmcf-mid="U3wc8lj4Xl"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0/etimesi/20250710160318554wwem.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이석채 정통부장관이 제안한 정보화촉진기본계획안과 추진과제별 담당부처와 협조기관 내용. 전자신문 DB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5c0ca6fa7f46b68d9e19656b9ab68937fc3bff49edb4c1496d932004b6f852d0" dmcf-pid="znKzvPuSYI" dmcf-ptype="general">정보통신부가 한국을 정보기술(IT) 강국으로 이끈 컨트롤타워 역할을 한 주요 동력 중 하나는 1996년 1월 1일 발효된 '정보화촉진기본법(이하 정촉법)'이다. 세계 최초의 IT산업 전반을 관장하는 근거법이다.</p> <p contents-hash="02e683a19a746efac374110834a12d663e956d395b1f29fab940268944ed400c" dmcf-pid="qL9qTQ7vHO" dmcf-ptype="general">정촉법엔 △5년 단위로 정보화촉진 기본계획 수립 △국무총리 소속 하에 정보화추진위원회 신설 △정통부 장관이 관계중앙행정기관별 부문 계획 종합 수립 △정보통신기술 표준화 △정보통신 기반 고도화 △정보통신산업단지 구축 △정보화촉진기금 조성 △개인정보 및 지식소유권 보호 등을 담았다.</p> <p contents-hash="a4919472f587a18f43edbd978cb3fa9b8c224ea683c10541faa5ca20682acec4" dmcf-pid="Bo2ByxzTYs" dmcf-ptype="general">정촉법을 계기로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정보화추진위원회를 구성하고 위원에 관련 부처 장관, 국회 사무총장, 법원행정 처장 등 입법·사법·행정 3부를 망라하는 범국가적 추진체를 구축했다. 청와대(국무총리실)가 곳곳에 분산돼 있던 IT정책을 조율하는 한편 정통부에 키를 맡겼다. 이를 통해 당시 문제가 됐던 부처 간 중복 투자를 일소에 해결했다. 민간 초고속망사업자 규제 완화도 눈에 띈다. 이는 초고속통신망 보급률 1위 국가로 빠르게 성장하는 밑거름이 됐다.</p> <p contents-hash="c2103765dfe38aaf1dd563f0b0041eff052dcd3fe931792c9f67835d5040ac79" dmcf-pid="bgVbWMqyHm" dmcf-ptype="general">특히 정보통신산업단지와 정보화촉진기금을 조성해 IT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투자재원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법 제정 의미가 남다르다. 국가 기반시설인 통신망을 기반으로 2000년대 이후 인터넷 닷컴 붐이 일고, 2010년대 이후 모바일 콘텐츠 시장이 활성화될 수 있었다. SK텔레콤·KT·LG유플러스 등 통신 대기업이 등장하고, 종합유선방송사업자가 초고속인터넷망을 제공해 성장할 수 있었던 배경에도 정보화촉진기본법이 있다.</p> <p contents-hash="5df26f11caec1d5929182a4e60495a2ce06b24eb74fde24506d2398a3debb097" dmcf-pid="KafKYRBW1r" dmcf-ptype="general">이 법엔 최근 들어 중요성이 커진 '개인정보보호' 관련 규정도 포함됐다. 정촉법 입안자들의 미래를 내다보는 혜안이 놀라울 따름이다.</p> <p contents-hash="8732fd4764ac085a37c86260ebb161acd9bb0b27829804d667e9b143b63fafea" dmcf-pid="9TjoKmnbXw" dmcf-ptype="general">조재학 기자 2jh@etnews.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서울대 출신' 옥자연, 수배 직접 나섰다…"도망간 사람 누구냐" 07-10 다음 [1만호 100대 사건]〈24〉정보통신부 출범 07-10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