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사노동도 도울 휴머노이드…오작동 막을 '안전 AI' 숙제 작성일 07-10 9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NTF2025]신동평 KISTEP 센터장 "일상 같이할 사용자 우려 중요"<br>"휴머노이드 위협 차단 킬스위치·사생활 유출 예방책 필요"</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tWZ9pEe7US">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14a04b202648c63179cc504b0083c897cde2a0d68754bba392f384dffb95ca6" dmcf-pid="FY52UDdzUl"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신동평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기술예측센터 센터장이 10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 컨퍼런스홀에서 'AI 휴머노이드, 인간과 기계의 공존 시대'를 주제로 열린 2025 뉴스1 테크포럼(NTF)에서 'AI 윤리 - AI, A Perfect Stranger?'에 대해 주제강연을 하고 있다. 2025.7.10/뉴스1 ⓒ News1 박정호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0/NEWS1/20250710165526791gufr.jpg" data-org-width="1400" dmcf-mid="1OzRVSA87v"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0/NEWS1/20250710165526791gufr.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신동평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기술예측센터 센터장이 10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 컨퍼런스홀에서 'AI 휴머노이드, 인간과 기계의 공존 시대'를 주제로 열린 2025 뉴스1 테크포럼(NTF)에서 'AI 윤리 - AI, A Perfect Stranger?'에 대해 주제강연을 하고 있다. 2025.7.10/뉴스1 ⓒ News1 박정호 기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2da4c5a51aade0662cbec8d9a039c64548fef05df060a2dfbb0eead544609970" dmcf-pid="3G1VuwJq7h" dmcf-ptype="general">(서울=뉴스1) 윤주영 기자 = 휴머노이드가 인공지능(AI)과 결합하며 발전함에 따라 AI의 안전·신뢰성이 더욱 중요해질 거란 지적이다. 전문가뿐 아니라 말단 사용자인 시민의 논의를 수렴해 휴머노이드 활용 분야, AI 데이터 등 기준을 세워야 한다는 조언이 나온다.</p> <p contents-hash="58741b1e0b2cec054886ab3e61de9c98e93a2074572da62a9777c0fcdc03fe06" dmcf-pid="0NEYI6UlpC" dmcf-ptype="general">10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2025 뉴스1 테크포럼(NTF)'에서 신동평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기술예측센터장은 이같이 강조했다.</p> <p contents-hash="21f19458fa17ea0debfa9e90d9dae7b56e08375f77549a383b5ddd6937a2d4b7" dmcf-pid="pjDGCPuSuI" dmcf-ptype="general">신 센터장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3년 국가전략기술 AI 임무중심 전략로드맵을 통해 휴머노이드 등 분야에서의 안전·신뢰 AI를 다뤘다.</p> <p contents-hash="bc1071d6a8611e74f6f15bd7161c5af7904214518f2508761786ab6d6d5ec93f" dmcf-pid="UAwHhQ7vzO" dmcf-ptype="general">AI를 탑재한 휴머노이드는 자율적인 업무 수행으로 인간 노동을 도울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동시에 범죄 악용,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오작동으로 인한 피해 등도 우려되는 상황이다.</p> <p contents-hash="6611d9ab0c22e49adfb96bcad53517f063f0bddb05650d6c1b3a8bff72d15682" dmcf-pid="ucrXlxzT7s" dmcf-ptype="general">KISTEP은 향후 휴머노이드와 일상을 고융할 일반 사용자, 즉 시민의 생각이 중요하다고 봤다. 이에 2024년 기술영향평가에서 시민 포럼을 열고 기술을 향한 기대와 우려를 종합했다.</p> <p contents-hash="aae1db930f55d60a49c8e9d968a35d849883e997668a3fb1a0d09dff7293935d" dmcf-pid="7kmZSMqyzm" dmcf-ptype="general">우선 시민들은 휴머노이드에 탑재된 AI에는 더 높은 완성도를 요구했다. 휴머노이드가 육아 등 가사 노동에 쓰일 만큼 오작동은 용납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사용자의 신체적 안전을 보장하는 규제·제어 시스템이 숙제로 제시됐다.</p> <p contents-hash="d5c31280e4ea691b75c408ddd9dd5ca5f9db7dd9849bb4b7aea40e96fb68b4e8" dmcf-pid="zEs5vRBWpr" dmcf-ptype="general">신 센터장은 "긴급 중단 시스템(킬스위치)을 장착해 휴머노이드의 오작동, 위협 행위를 즉각 차단하는 것도 방법으로 제시됐다"고 공유했다.</p> <p contents-hash="5196e7f21fcb186185e247972b45cef8e2c2863acb7fa735f11f4fada0ec89e6" dmcf-pid="qDO1TebY0w" dmcf-ptype="general">KISTPE과의 논의 과정에서 시민들은 휴머노이드가 대량의 개인 데이터를 수집·유출할 수 있다는 점도 우려했다. 휴머노이드 AI가 사용자 일상을 관리하는 과정에서, 필요 이상의 개인정보 수집이 이뤄질 거란 의미다. 개인정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안전장치가 필요하다고 제시됐다.</p> <p contents-hash="d298a877c8c5ef44fad5a6f0502e2534a414b71ade2dee0f51cf64a5c1e9149d" dmcf-pid="BwItydKGFD" dmcf-ptype="general">이 밖에도 휴머노이드가 자신의 오류를 인식·개선할 수 있어야 더욱 신뢰할 수 있다고 사용자들은 입을 모았다.</p> <p contents-hash="3aca1b00dcd784bce8740bd8930633d6260481448fc3bbeeff81f21c81dfd86c" dmcf-pid="bIvUXo417E" dmcf-ptype="general">신 센터장은 이런 우려를 막기 위해서라도 양질의 학습 데이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정부 차원에서 설정한 AI 윤리 3대 원칙 등을 활용해 기술 활용의 기준을 세우는 것도 필요하다.</p> <p contents-hash="f9eab8d2bcfc62ccdbb0231775d6439422782ddd4c6e12d28fa16c1481888482" dmcf-pid="KCTuZg8tuk" dmcf-ptype="general">이에 따르면 AI 윤리기준은 인간의 존엄성, 사회의 공공선, 기술의 합목적성을 골자로 한다. 세부적인 요건으로는 AI의 설명 가능성(투명성), 책임성, 데이터 관리, 다양성 존중 등이 있다.</p> <p contents-hash="40ad1db2db5aec11cf437f9e86e2099846a48419d9542c8e0aefabc005bb1479" dmcf-pid="9hy75a6F0c" dmcf-ptype="general">신 센터장은 "트롤리 딜레마나 대리인의 문제 등 AI 윤리 관련해서도 사용자에게 논의를 개방해야 한다"며 "한 달 뒤 시민들과의 논의의 장을 준비하고 있으니 많은 관심을 바란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a069368858e6bbcca4eaec924e02ebfb779e08772a236f356da79bc5de215f7e" dmcf-pid="2lWz1NP37A" dmcf-ptype="general">legomaster@news1.kr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게임이용자협회, ‘게임중독’ 논란 보건복지부에 소극행정 신고 접수 07-10 다음 [김종석의 그라운드] 안세영 사태 풀며 한국 배드민턴 정상화 이끄는 동분서주 김동문 회장 07-10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