휠체어·유모차 최적 길 안내…서울동행맵 활용법 작성일 07-10 25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uWQkxHmelH"> <p contents-hash="9442a03c83e57ea525945e228a6bf12ac61746fb35c842214044da1fbd9a5530" dmcf-pid="7YxEMXsdTG" dmcf-ptype="general">[IT동아 박귀임 기자] 노약자와 장애인, 그리고 임산부 등 교통약자는 대중교통 이용은 물론 단차가 있는 길을 걷는 것도 쉽지 않다. 이에 서울시가 운영하는 '서울동행맵'이 주목받는다. 교통약자의 상황을 고려한 최적의 길 안내부터 실시간 위치를 반영한 이동 정보까지 제공한다.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520ed9abbfa3cb5dde09f828fd69c475783663d2cd9bfa777e0020640a32430b" dmcf-pid="zGMDRZOJWY"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서울시가 운영하는 서울동행맵은 교통약자를 위해 개발한 맞춤형 통합 교통 서비스로 2024년 11월 정식 출시됐다 / 출처=서울시"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0/itdonga/20250710171508720hbjv.jpg" data-org-width="594" dmcf-mid="QiMCopTNWK"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0/itdonga/20250710171508720hbjv.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서울시가 운영하는 서울동행맵은 교통약자를 위해 개발한 맞춤형 통합 교통 서비스로 2024년 11월 정식 출시됐다 / 출처=서울시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475f0804b31904b8787e748152527b344d2f60469b449ad629b27f1941236b1a" dmcf-pid="qiHKXo41CW" dmcf-ptype="general">2024년 11월 정식 출시된 서울동행맵은 교통약자를 위해 개발한 맞춤형 통합 교통 서비스다. 실시간 대중교통 정보, 보행 불편 지점, 위치 기반 저상버스 예약, 장애인 편의시설 위치 등을 제공한다. </p> <p contents-hash="5c08ca117e700a6525346de4e9ef21161d0d347278255e28cac8f29e611d9104" dmcf-pid="BnX9Zg8tSy" dmcf-ptype="general">서울동행맵을 이용하려면 스마트폰으로 앱을 다운로드해야 한다. ▲애플 ▲구글 ▲카카오 ▲네이버 등의 회원이라면 해당 계정으로 간편 가입이 가능하다. 비회원으로도 이용할 수 있지만 저상버스 예약, 즐겨찾기, 커뮤니티 맵 신고 기능 등에 제약이 따른다. 또 서울동행맵이 이용자의 위치를 파악, 각종 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하도록 서비스 접근 권한도 허용해야 한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880f66fdf4b7ca811e6d4a05b7a6cf7d56ea6677e5d0504eb0bbbf929ba6c37" dmcf-pid="bLZ25a6FST"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서울동행맵은 엘리베이터부터 장애인 이용 가능 화장실은 물론 단차 높음이나 경사 등 보행 불편 위치까지 안내해준다 / 출처=IT동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0/itdonga/20250710171509936dlmb.jpg" data-org-width="744" dmcf-mid="xjtRzmnbTb"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0/itdonga/20250710171509936dlmb.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서울동행맵은 엘리베이터부터 장애인 이용 가능 화장실은 물론 단차 높음이나 경사 등 보행 불편 위치까지 안내해준다 / 출처=IT동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ef8fea4fe144bfa616b7f09311eb30a880d7d66e201ce15ea35c0cc2f47ce8b0" dmcf-pid="Ko5V1NP3Cv" dmcf-ptype="general">서울동행맵에 접속하면 지도에 이용자의 현재 위치가 뜬다. 화면 상단에는 주소를 입력할 수 있는 검색창이 있다. 그 아래 ▲보행 불편 ▲휠체어 충전소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역 내 수유실 ▲장애인 이용 가능 화장실 등의 메뉴가 나온다. 이를 누르면 해당 위치나 지도에 각각의 아이콘과 함께 표시된다. 아이콘을 클릭하면 사진도 제공한다. 보행 불편을 선택하면 ▲단차 높음 ▲보도 폭 좁음 ▲경사 등의 안내까지 해준다. 이에 원하는 것을 골라 적용하면 지도에 표시된다. 여러 개 적용 시 중복되기 때문에 지도가 복잡해 보인다. 이때 지도를 확대하면 해당 위치를 더욱 정확하게 알 수 있다. </p> <p contents-hash="8742753b1ff75dd14a328e449aed7a678627c6d0fe4aafb2887242f557dbc6ed" dmcf-pid="9g1ftjQ0CS" dmcf-ptype="general">서울동행맵의 ‘홈’ 화면에는 ▲길 안내 ▲버스정류장 정보 ▲지하철역 정보 ▲장애인 콜택시 ▲커뮤니티 맵 ▲서울엄마아빠택시 ▲장애인 복지콜 ▲공지사항 등의 메뉴가 나온다. 우선 길 안내 메뉴를 선택하면 상단에 ▲노약자·임산부 ▲휠체어·유모차 ▲비장애인 등의 버튼이 뜬다. 이용자가 해당하는 버튼을 누르면 된다. 노약자·임산부는 에스컬레이터를, 휠체어·유모차는 엘리베이터를 우선으로 각각 길 안내를 해준다. 비장애인의 경우 가장 빠른 길을 안내한다.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5f8d16551a2c6f829e43a91523fa6e3ad46edbd16ba8b00ad3c398dac4386d0f" dmcf-pid="2at4FAxpWl"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서울특별시청에서 서울역까지 길 안내를 검색하면 이용자의 상황에 따라 최적의 경로를 알려준다 / 출처=IT동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0/itdonga/20250710171511201xovf.jpg" data-org-width="744" dmcf-mid="yNWftjQ0yB"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0/itdonga/20250710171511201xovf.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서울특별시청에서 서울역까지 길 안내를 검색하면 이용자의 상황에 따라 최적의 경로를 알려준다 / 출처=IT동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c2bd1dcda8954c54b01ad11afcd3622d9d7f3d8ed8bd542c11dbb4ad6397e695" dmcf-pid="VNF83cMUyh" dmcf-ptype="general">예를 들어 서울특별시청에서 서울역까지 길 안내를 검색하면 이용자의 상황에 따라 최적의 경로를 알려준다. 노약자·임산부는 도보 4분을 걸어 9분간 버스 탑승 후 도보로 8분 걸으면 된다. 총 27분 걸린다. 휠체어·유모차의 경우 총 28분이 소요되는데, 도보 9분으로 버스에 탑승해 6분간 이동하고 도보 8분이면 도착한다. 비장애인은 지하철 1호선 시청역에서 승차해 서울역에서 하차하도록 안내해주는데 총 21분 소요된다. 이외에 다른 경로와 소요 시간도 알려주기 때문에 이용자가 원하는 것을 선택할 수도 있다. </p> <p contents-hash="ccfe9af7bfe349e86cebd6649ea244735fec4cf0a39dfebf444fd1dc055d97dd" dmcf-pid="fj360kRuyC" dmcf-ptype="general">교통약자서비스 메뉴에서 장애인 콜택시나 장애인 복지콜을 클릭하면 대표번호로 각각 연결할 수 있도록 해준다. 관련 앱과 연결할 수도 있고, 해당 홈페이지를 보는 것도 가능하다. 화면 하단 왼쪽에는 ‘지하철역’ 아이콘이 있는데 이를 누르면 가장 가까운 지하철역 전화로 연결된다. 리프트, 화장실 등 지하철 이용 시 긴급할 때 도움받을 수 있다.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115784dd01bab8c3d64cb42dfd1f9a33ac5d0ea828a8111abcab2c2e7495269e" dmcf-pid="4A0PpEe7WI"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서울동행맵 앱 설명은 설정 내 ‘튜토리얼 다시 보기’로도 안내한다 / 출처=IT동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0/itdonga/20250710171512532aehm.jpg" data-org-width="744" dmcf-mid="WKX9Zg8tSq"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0/itdonga/20250710171512532aehm.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서울동행맵 앱 설명은 설정 내 ‘튜토리얼 다시 보기’로도 안내한다 / 출처=IT동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625e5acbae7dfb3aa61625c99c588e1af1dc5462cbb91f2d0bee86e65c4bc274" dmcf-pid="8EuM7riBlO" dmcf-ptype="general">서울엄마아빠서비스 메뉴의 경우 실시간 버스 정보나 택시 예약부터 유모차 길 안내까지 자녀를 둔 부모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수유실을 운영하는 지하철역 정보도 알려준다. 관련 앱 설명은 ‘튜토리얼 다시 보기’로도 안내한다. </p> <p contents-hash="c9a693b4375543a1cd0fae01f1a1ef53160b1d6a0afdf3714443d19a3317cd9f" dmcf-pid="6D7Rzmnbys" dmcf-ptype="general">이외에 커뮤니티 맵을 통해 이용 불편 사항을 신고할 수 있고, 보행 불편 요소를 건의할 수도 있다. 즐겨찾기에 집 주소를 등록하면 화면 하단 오른쪽의 ‘집으로’ 아이콘을 눌러 간편하게 최적의 경로를 찾는 것 역시 가능하다.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85259c238711dbb287d87b71e2e4eb3b2eab14cbcc13574a6a80b2842227270" dmcf-pid="PwzeqsLKhm"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서울동행맵은 교통약자의 이동 편의를 실질적으로 향상시킨 노력을 인정받아 ‘2025 세계대중교통협회(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Public Transport, UITP) 어워즈’에서 다양성·포용성 부문을 수상했다 / 출처=서울시"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0/itdonga/20250710171513747xwmr.jpg" data-org-width="860" dmcf-mid="UXMDRZOJyX"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0/itdonga/20250710171513747xwmr.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서울동행맵은 교통약자의 이동 편의를 실질적으로 향상시킨 노력을 인정받아 ‘2025 세계대중교통협회(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Public Transport, UITP) 어워즈’에서 다양성·포용성 부문을 수상했다 / 출처=서울시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49c1bd8118bb19f711cfebba5277f14b233061781891bb4372e71e1e8c6daba3" dmcf-pid="QrqdBOo9Tr" dmcf-ptype="general">특히 서울동행맵은 독일 함부르크에서 열린 ‘2025 세계대중교통협회(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Public Transport, UITP) 어워즈’에서 다양성·포용성 부문을 수상했다. UITP 어워즈는 2년마다 전 세계 가장 혁신적인 대중교통 정책 및 사업을 선정하는 시상식으로, 서울동행맵은 교통약자의 이동 편의를 실질적으로 향상시킨 노력을 인정받았다.</p> <p contents-hash="98ad4f7d220c2ae02b8b6305395bc9c41e5facb4f2ad9762c9af708245a467de" dmcf-pid="xmBJbIg2vw" dmcf-ptype="general">이처럼 서울동행맵은 교통약자의 대중교통 이용을 돕는 데 최적화돼 있다. 노약자와 임산부는 에스컬레이터를, 휠체어와 유모차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길 안내해주기 때문에 더 유용하다. 이용 가능 시설이나 보행 불편 위치를 각각 다른 아이콘으로 표시해주는 것도 효과적이다. 다만 일부 지역이나 공원 진입로 등에는 보행 불편 요소가 표시돼 있지 않아 지속적인 개선 및 최신 정보로 바꾸는 작업이 필요해 보인다. </p> <p contents-hash="cf0f3023674b9f1360dce57afe66ab0014f824e711f8223b040c859aa521c297" dmcf-pid="yKwXrVFOSD" dmcf-ptype="general">IT동아 박귀임 기자(luckyim@itdonga.com)</p> <p contents-hash="dab7723c3f25f37f741f5ba2f92d8952f46dd95bddb8ac41e28e83bcf669fbae" dmcf-pid="W9rZmf3IWE" dmcf-ptype="general">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span>it.donga.com</span>)</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IT동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AI, 일자리·일하는 방식까지 대변화…“AI와 협력하고, 공존하는 법 키워야” 07-10 다음 ‘3주 연속 우승 도전’ 임종훈-신유빈, WTT 미국 스매시 4강 진출 07-10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