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편결제의 복잡한 삼각관계…카카오페이·개인정보위 법정공방 작성일 07-10 38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애플·알리페이 사건 제재 불복소송 본궤도 <br>개인정보 제3자제공·처리위탁 판단 '관심'</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PGOGd1CnhY"> <figure class="s_img 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3a610481779b142dd3e9a046025a2e8530fcf9188fd4d1df2f3dbfcb8b880c1" dmcf-pid="QHIHJthLhW"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카카오페이 로고"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0/moneytoday/20250710190305007tbuu.jpg" data-org-width="200" dmcf-mid="f5ddXo41vZ"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0/moneytoday/20250710190305007tbuu.jpg" width="200"></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카카오페이 로고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0a847e7346e2604fd344f9675ba7394680f735b6ff72c401ef6e337ae2fc39e6" dmcf-pid="xXCXiFlovy" dmcf-ptype="general">카카오페이가 '애플·알리페이 사건'으로 개인정보보호위원회에 제기한 제재처분 불복소송이 본궤도에 오르면서 양측의 공방이 점화했다. 실무에서 흔한 개인정보 '제3자 제공'과 '처리위탁'의 기준이 핵심 쟁점으로 떠오르면서 판결의 향방에 관심이 쏠린다.</p> <p contents-hash="b522b6c8573bf7f6ec4d7e59b512fc608f83fd91967662435fb6ae8a14455d4e" dmcf-pid="yJfJZg8tyT" dmcf-ptype="general">서울행정법원 행정12부(부장판사 강재원)는 10일 카카오페이가 개인정보위를 상대로 낸 시정명령·과징금·공표명령 처분 취소소송의 1차 변론을 주재했다. 재판부는 이날 양측의 기본입장을 확인하고 올 9월 2차 변론을 거쳐 이르면 11월 중순쯤 변론을 종결하겠다고 예고했다.</p> <p contents-hash="b22e34c576251ad62edd33c8b2c0d5cbd7c09c96c7d7a5d1cd013629ef0d7ddc" dmcf-pid="W3y3N7Ychv" dmcf-ptype="general">사건은 카카오페이가 애플의 결제수단으로 입점한 2019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애플은 한 사용자의 여러 구매내역을 묶어 대금을 청구하는 방식으로 결제 수수료를 절감했는데, 잔고가 부족한 결제수단을 등록한 뒤 구매대금을 부도내는 사용자를 가려내기 위해 개인별로 부도 확률을 예측하는 'NSF(Non-sufficient Fund·잔고부족) 점수'를 고안했다. NSF 점수가 낮은 사용자에게는 청구 주기를 좁히는 식이다.</p> <p contents-hash="aadb4ee39acf11b17764ae62f228ad46a6b695c5fb392e4cc19d029be4aeb713" dmcf-pid="Y0W0jzGklS" dmcf-ptype="general">한편 애플은 국가마다 결제수단을 제각각 연동하는 수고를 덜기 위해 알리페이를 일종의 중간업체로 세웠다. 결제수단을 카카오페이로 등록한 애플 사용자는 앱·음원 등을 구입하면 결제정보가 카카오페이에서 알리페이를 거쳐 애플로 전달되는 구조다.</p> <p contents-hash="4aedd406783a5d38d966b4e716315e90ab1849a5cb9bdde3881fbb184bfc8db2" dmcf-pid="GpYpAqHECl" dmcf-ptype="general">알리페이는 일정한 예측모델에 따라 사용자별 NSF 점수를 산출해 애플로 넘기는 업무도 담당했는데, 카카오페이는 점수 산출에 필요한 이용자의 연락처와 충전잔고·결제횟수 등을 알리페이에 넘긴 것으로 드러났다.</p> <p contents-hash="3227611702bab29148553e355aeaf85fdb172cc1296b44b24ba7263024acc750" dmcf-pid="HUGUcBXDSh" dmcf-ptype="general">국내 개인정보보호법을 보면 정보주체로부터 개인정보를 수집한 기업·기관 등 개인정보처리자는 다른 처리자에게 개인정보를 넘길 때 '제3자제공'이나 '처리위탁' 규정을 따라야 한다. 제3자제공은 정보주체의 별도 동의가 필요하지만 관리·감독 책임이 개인정보를 넘겨받는 쪽에 발생하고, 처리위탁은 별도의 동의절차가 필요 없지만 개인정보를 넘겨주는 쪽이 관리·감독 책임을 져야 한다. 이 밖에 개인정보보호법에는 개인정보를 외국으로 넘길 경우 정보주체의 별도 동의를 받으라는 '국외이전' 제한규정도 있다.</p> <p contents-hash="48425e44b8b94cc86054146489a0412582f60a868a757b9b4e90339a02a3fd9b" dmcf-pid="XuHukbZwCC" dmcf-ptype="general">개인정보위 조사결과에 따르면 카카오페이는 NSF 점수를 산출하기 위해 알리페이가 개인정보를 넘겨받는다고 명시한 제3자제공 동의서를 받지 않았다. 오히려 애플 서비스에서 카카오페이 이외 결제수단을 택한 사용자나 안드로이드폰을 가진 사용자까지 합쳐 약 4000만명의 개인정보를 알리페이에 제공했다. 이에 개인정보위는 카카오페이가 제3자제공·국외이전 규정을 위반했다며 지난 1월 과징금 59억6800만원과 시정명령·공표명령을 부과하기로 의결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7044c2d1b50b5d61a3b8efbb32a159c1f885484b6de4bdc022cf3e8ac7af6056" dmcf-pid="Z7X7EK5rWI"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고학수 개인정보보호위원장이 지난달 25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개인정보보호위원회 2025년 제14회 전체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사진=뉴시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0/moneytoday/20250710190306460mwlv.jpg" data-org-width="1200" dmcf-mid="6RCXiFloyG"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0/moneytoday/20250710190306460mwlv.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고학수 개인정보보호위원장이 지난달 25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개인정보보호위원회 2025년 제14회 전체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사진=뉴시스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3f2fa04cac21973de68a5aa95134106434b2a7a170b81da4f513498b25263284" dmcf-pid="5zZzD91mSO" dmcf-ptype="general">카카오페이는 알리페이에 개인정보를 넘긴 행위가 제3자제공이 아닌 처리위탁에 해당하고, 그 과정도 적법했다며 지난 4월 소송을 냈다. 이날 법정에서 카카오페이의 대리인은 "개인정보 수집·이용 동의서를 보면 개인정보를 부정결제 방지목적으로 이용한다는 내용이 들어 있다"며 "동의받은 수집·이용 범위 안에서 개인정보를 위탁한 것"이라고 변론했다.</p> <p contents-hash="47cc39485d84997eb9200513c9d10c70999c9e8dd3d7a06ca375444e4ed9d2d4" dmcf-pid="1q5qw2tsys" dmcf-ptype="general">개인정보위는 처리위탁이 자신의 책임 아래 타인에게 일을 맡기는 법률관계라는 특성에 비춰보면 카카오페이가 한 행위를 처리위탁으로 볼 수 없다는 입장이다. 이날 개인정보위의 대리인은 "재판부 명령에 따라 제출할 계약서에 카카오페이와 알리페이의 관계가 명확히 나와있다"고 진술했다.</p> <p contents-hash="36462cc6911fabd346e904538821ba9e119b10bb32d64ef467b04b8ed7854205" dmcf-pid="tB1BrVFOhm" dmcf-ptype="general">카카오페이가 낸 집행정지 신청이 지난 5월 법원에서 받아들여진 데 따라 개인정보위가 부과한 시정명령·공표명령의 효력은 1심 판결 전까지 정지된 상태다. 다만 개인정보위의 본안소송 승소율이 90%를 상회하는 탓에 카카오페이가 최종적으로 처분을 면할 수 있을지는 불투명한 실정이다.</p> <p contents-hash="b5a67e6decfccc67e5673183b3132b9879f5ea167dac5f4b745b618e8a7c99ca" dmcf-pid="Fbtbmf3IWr" dmcf-ptype="general">정보기술(IT) 업계에선 소송 여파를 주시한다. 기업·기관 실무에서 제3자제공·처리위탁은 모두 흔한 개인정보 취급방법인데다 약관 작성 실수가 곧바로 각종 제재까지 이어질 수 있어서다. 한 법조계 관계자는 "개인정보보호법이 2023년 큰 폭으로 개정돼 참고할 만한 선례가 많지 않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7efcbce42d14ba5025c6ada3d6ab5993efd2c51b35459cdd8d388ec4d7bdcc18" dmcf-pid="3TwTxHmeCw" dmcf-ptype="general">성시호 기자 shsung@m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13만 선택한 여름 여행지, 성수에서 픽사로”···‘문도 픽사: 픽사, 상상의 세계로’展 7월 10일, 8~9월 관람 회차 티켓 오픈 07-10 다음 CTV 광고, 한국보다 미국에서 왜 유독 잘 통할까 07-10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