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럭시Z폴드7, '트럼프 관세'로 美서 400만원 웃돌까 작성일 07-11 4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갤럭시 언팩 2025] 향후 미국서 신제품 판매 가격 오를 가능성 생겨<br>트럼프 대통령, 스마트폰 관세 25% 언급해 불확실성 고조<br>삼성 "각국 관세 따라 글로벌 생산 거점 활용해 민첩 대응"</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7ia52RBWC8">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17bffef810f5c59fab9d1b90f05c93d0825f1730630b06a55f6a02b74c649e4d" dmcf-pid="zCT4amnbW4"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서울=뉴시스] 김근수 기자 = 삼성전자 신형 폴더블 스마트폰 갤럭시 Z 폴드7 및 플립7 공개 첫 날인 10일 서울 서초구 삼성 강남점에서 소비자들이 스마트폰 제품을 살펴보고 있다. 2025.07.10. ks@newsis.com"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1/newsis/20250711060249358bplw.jpg" data-org-width="720" dmcf-mid="pOZRDSA8WQ"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1/newsis/20250711060249358bplw.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서울=뉴시스] 김근수 기자 = 삼성전자 신형 폴더블 스마트폰 갤럭시 Z 폴드7 및 플립7 공개 첫 날인 10일 서울 서초구 삼성 강남점에서 소비자들이 스마트폰 제품을 살펴보고 있다. 2025.07.10. ks@newsis.com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3180c6f755aca56f62e487e99413ff009a9ba3e778d6a923ac03234d09b888f5" dmcf-pid="qhy8NsLKWf" dmcf-ptype="general"><br> [서울·뉴욕=뉴시스]윤정민 박은비 기자 = 9일(현지시간) 공개된 삼성 최신 폴더블폰 갤럭시 Z플립7·폴드7 초기 반응이 뜨겁다. 역대급 초슬림 디자인에 울트라급 기능, 비교적 착한 가격 정책까지 벌써부터 '흥행 대박'을 점치는 이들도 있다. </p> <p contents-hash="d6e6e8dacec939d46093997ea1bac7ebfbd47980d8689ef6cfd35b70eae9c368" dmcf-pid="BlW6jOo9lV" dmcf-ptype="general">미국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이 글로벌 흥행의 핵심 변수로 꼽힌다. 삼성전자의 최대 전략시장인 미국 판매 성과를 좌우할 수 있기 때문이다.</p> <p contents-hash="e7dfe23adde431f13c36614074973075ff30b8729cd0e9ea6ce78c6d3b65ccb3" dmcf-pid="bSYPAIg2l2" dmcf-ptype="general">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수입산 반도체, 스마트폰 등 품목별 관세 부과를 예고했다. <strong>관세를 반영할 경우 자칫 미국에서의 갤럭시Z 폴드7 판매 가격이 최대 400만원 이상이 될 수 있다는 우려다.</strong> 삼성전자는 관세 환경에 맞춰 공급망을 탄력적으로 조정할 가능성을 시사했다.</p> <h3 contents-hash="5f5c874567073074d244e77c795f9c77e8b8e7b6132376d2e0a284f786bc3153" dmcf-pid="KvGQcCaVy9" dmcf-ptype="h3"><strong>트럼프 "수입산 스마트폰 25% 관세 부과" 예고…발효 가능성은 오리무중</strong></h3> <h3 contents-hash="51ecba99038a72e2d5985315d3555cc0bbf038ce81eebce05dabae92a7ef37fc" dmcf-pid="9THxkhNfyK" dmcf-ptype="h3"><strong><strong>2분기 '어닝 쇼크', 분위기 반전 필요한 삼성…노태문 "안정적인 공급망 유지할 것"</strong></strong></h3>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b6d9ac6cd2721d219c0ed3fd55b81a66e29ae281b60edf63bd9d0f1a82392d3" dmcf-pid="2yXMElj4yb"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워싱턴=AP/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9일(현지 시간)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아프리카 정상들과 오찬 회동하고 있다. 2025.07.10."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1/newsis/20250711060249517mwxt.jpg" data-org-width="720" dmcf-mid="UDr7Ma6FCP"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1/newsis/20250711060249517mwxt.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워싱턴=AP/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9일(현지 시간)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아프리카 정상들과 오찬 회동하고 있다. 2025.07.10.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eccd2b2887e5eae5bd334a613af7b4daf2d252c9933b5ef962b7ff561ff95970" dmcf-pid="VWZRDSA8vB" dmcf-ptype="general"> <strong><br>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8일 백악관 내각회의에서 반도체에 대한 관세를 조만간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 정부가 향후 발표할 품목별 관세가 스마트폰 제품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다. <br><br> 삼성전자가 책정한 미국 기준 갤럭시 Z폴드7 출고가는 1999.99(256GB, 약 275만원)~2419.99달러(1TB, 332만원)다. 현재 스마트폰 관세율은 0%다. 미국 정부가 발효할 예정인 상호관세에는 반도체, 스마트폰 등이 예외 항목으로 두고 있어 다음 달 1일 관세가 발효되더라도 스마트폰 품목 관세에는 변화가 없다.<br><br><strong>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5월 말 "6월 말부터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스마트폰에 대해 최소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strong><strong>이대로 향후 관세 부과가 이뤄지면 갤럭시 Z폴드7 출고가는 최대 415만원까지 치솟는다.</strong><br><br> 미국 스마트폰 시장은 출하량 비중뿐 아니라 플래그십 모델 판매가 집중되는 곳이다. 이에 수익성과 브랜드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시장이다. 이 시장에서 스마트폰 가격 인상으로 소비자들의 최신 스마트폰 구매가 줄어들면 기업 매출에도 타격을 입는다.<br><br> 이러한 영향에 애플 주가도 지난 4월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 후 한때 급락하는 일이 있었다. 미국 내 아이폰 가격이 30~40% 올라 최신 모델 출고가가 300만원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기 때문이다. 4월2일(한국 시간 기준) 상호관세 발표 후 사흘간 애플 시가총액은 6380억 달러(약 876조원)가 증발했다.<br><br> </strong> </div>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793d41b46ba1492227abbeb1cb0aabbce103478d65d578b5db6ca160f63c439c" dmcf-pid="f1poCHmehq"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뉴욕=뉴시스] 삼성전자 DX부문장 직무대행 노태문 사장이 9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삼성 갤럭시 언팩 2025' 행사 직후 국내 기자간담회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1/newsis/20250711060249685kjqr.jpg" data-org-width="720" dmcf-mid="unW6jOo9S6"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1/newsis/20250711060249685kjqr.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뉴욕=뉴시스] 삼성전자 DX부문장 직무대행 노태문 사장이 9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삼성 갤럭시 언팩 2025' 행사 직후 국내 기자간담회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제공)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dbc33f6b3b678c592287061fc4263c20141e0503812f8da670a5111a2c9cccbb" dmcf-pid="4tUghXsdlz" dmcf-ptype="general"> <br> 삼성전자는 플래그십 스마트폰을 한국, 베트남, 인도 등 여러 거점에서 생산하고 있다. 베트남의 경우 삼성 스마트폰 전체 생산량의 50~60%를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div> <p contents-hash="4d48e5aeb999317a4709658618d04b40ad49bf74fca28d0426a1ce6e4b3ea68b" dmcf-pid="8FualZOJW7" dmcf-ptype="general">삼성전자는 생산 거점인 베트남, 인도, 인도네시아, 브라질 등 국가별 관세 정책 등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하겠다는 입장이다.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시장을 점검하겠다는 뜻이다.</p> <p contents-hash="750660b916087f1a3f4ea1ff22f64dcc6dd8f2106ee79736600ba10e388df2b0" dmcf-pid="637NS5IiSu" dmcf-ptype="general">이번 기자 간담회에서도 향후 관세 영향에 대한 질문에 노 사장은 "(삼성전자의) 글로벌 오퍼레이션 역량은 어떤 기업보다 강하다. 생산과 공급 측면에서 안정적인 공급망을 유지할 것"이라 밝혔다.</p> <p contents-hash="c5e5a4d4f4511e505bc5d394021e1fca4d45597d1c998cf8c9ee5dccb39fc33f" dmcf-pid="P0zjv1CnWU" dmcf-ptype="general">한편 삼성전자는 지난 8일 잠정 실적 발표를 통해 2분기 영업익이 전년 동기 대비 55.94% 감소한 4조6000억원을 거뒀다고 공시했다. 시장 예상치에 1조원 이상 못 미치는 수준이다.</p> <p contents-hash="3e5e5fd6a31af55d8173068f6deb0c6918e1f519bfc4f0070bdd4f7e41b63ea7" dmcf-pid="QpqATthLWp" dmcf-ptype="general">업계 한 관계자는 "'어닝 쇼크'를 겪은 삼성전자가 3분기에 반등하려면 미국에서의 갤럭시 Z7 시리즈 성과가 중요하다"며 "트럼프 대통령의 품목별 관세 부과 방침이 현실화되면 가격 전략 등을 다시 짜야 할 수도 있다. 내부에서도 관세 변화에 촉각을 기울이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p> <p contents-hash="5ce35e5620ca4ab79cd3685cf286aeb72c8e42a42f3259330bbbc0c3d05d044b" dmcf-pid="xUBcyFloT0" dmcf-ptype="general"><span>☞공감언론 뉴시스</span> alpaca@newsis.com, silverline@newsis.com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진짜 다 벗었다" 이준, '1박2일'에서 실제 바지 노출..모자이크 처리까지? ('옥탑방2') 07-11 다음 기세로 만든 노재원 세상, ‘오징어 게임3’ [쿠키인터뷰] 07-11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