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 미래와 전통이 연결되는 곳…2025 오사카 엑스포 한국관 가보니 작성일 07-11 12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AI·전통소재·K-컬처로 구성된 미래형 전시관…관람객 참여형 몰입으로 시선 집중</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xz4eRNP3Mo"> <p contents-hash="197f19afcfff6c71c8bc3b2fce7cc8f4c5a8edbfb18e0afdae78d704dbc13ff1" dmcf-pid="yEhGY0vaiL" dmcf-ptype="general">(지디넷코리아=한정호 기자)<span>[오사카(일본)=한정호 기자] '2025 오사카·간사이 엑스포'가 한창인 10일, 일본 오사카 유메시마 엑스포 행사장. 이곳에서 단연 눈길을 끄는 공간이 있다. '생명을 연결하다'라는 주제로 마련된 대한민국 국가관, 한국관이다.</span></p> <p contents-hash="da9a4ef97011cbdf91208ce95f22a1eb6d381f9f5d66ffa37be51f0c63b62044" dmcf-pid="WDlHGpTNMn" dmcf-ptype="general">한국관은 전통과 기술, 과거와 미래, 사람과 자연을 하나로 엮는 이곳은 단순한 전시장을 넘어 한국의 미래 비전과 철학을 고스란히 담아낸 공간으로 꾸며졌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241564c775dc8f8dfa59e6cbc7ceb619055ad063c7c33a3592fec49f89c6620" dmcf-pid="YwSXHUyjei"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한국관 대형 미디어파사드 (사진=한정호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1/ZDNetKorea/20250711090252327tbix.jpg" data-org-width="640" dmcf-mid="5eY9KxzTeY"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1/ZDNetKorea/20250711090252327tbix.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한국관 대형 미디어파사드 (사진=한정호 기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36a6d0fe2a366b876583b7559636ec7e270ec44cd5e53c25f4aec8641b12a7ac" dmcf-pid="GrvZXuWARJ" dmcf-ptype="general"><span>한국관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가 주관해 엑스포 참가국 중에서도 독립 건축을 통해 완성된 13개 대형관 중 하나다.</span></p> <p contents-hash="b582c6e96eb85be759ae4d1b911eddc27d3ede99a5c0eaa2d6f4eea9edacc3a2" dmcf-pid="H2MoLDdzed" dmcf-ptype="general">박영환 한국관 관장은 "참가국 중 최대 규모 부지에 자체 건축물로 참여했다"며 "한국관은 4월 13일부터 10월 13일까지 6개월간 운영된다"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6fbe0be3329326dea1def4b795dad9a0b4b65159c90787bd4fe3a98398ccf004" dmcf-pid="XVRgowJqRe" dmcf-ptype="general"><strong>전통과 기술이 만난 외관…한산모시와 미디어파사드</strong></p> <p contents-hash="08b492f41eff690ae34166c478eac398dc5a4adfb8687b32cdc8575c21376837" dmcf-pid="ZfeagriBJR" dmcf-ptype="general"><span>한국관 외부는 한국 전통과 미래 기술이 어우러진 공간으로 구성돼 있다. 정면에는 대형 미디어파사드가 설치돼 실시간 영상이 흐르고 측면과 후면에는 전통소재인 한산모시가 곡선을 따라 감싸고 있다.</span></p> <p contents-hash="baf47ca05aeb5b1c482f6435c1c19ee2c61a4db941429f744038196fd9f7aa89" dmcf-pid="54dNamnbMM" dmcf-ptype="general">박 관장은 "한산모시는 1500년 전 한국에서 발명돼 일본에도 전해진 전통 섬유"라며 "일본에서는 '가라보시'라고 불리는데 이는 한국과 일본을 연결하는 문화의 흔적"이라고 말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5beca1d9a8d99c1faa99ecd732ea19fb5c302ed20fdee1f40e6ce84cc15fa43" dmcf-pid="18JjNsLKnx"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박영환 한국관 관장 (사진=한정호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1/ZDNetKorea/20250711090253634pfvc.jpg" data-org-width="640" dmcf-mid="t2cmrTkPRy"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1/ZDNetKorea/20250711090253634pfvc.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박영환 한국관 관장 (사진=한정호 기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9a897eb4b307fe73918207983c6bd8ad7b4c508e474edcf85a50f23bcdace00a" dmcf-pid="t6iAjOo9MQ" dmcf-ptype="general"><strong>세 개의 공간에서 풀어낸 하나의 메시지</strong></p> <p contents-hash="8c69736dab0646458cee4c41da332c450327baba9c204c61add2a2120e20753e" dmcf-pid="FPncAIg2dP" dmcf-ptype="general"><span>한국관 내부는 총 세 개의 전시 공간으로 구성돼 있으며 각각 '연결'을 주제로 인간과 기술, 자연, 그리고 시간을 감각적으로 풀어낸다.</span></p> <p contents-hash="63cadf15ae698a1581ffb0a5258ec3587d5d72f402ccdc061bb3fac9621ecaeb" dmcf-pid="3QLkcCaVd6" dmcf-ptype="general">첫 번째 공간에 들어서면 관람객이 자신의 목소리를 녹음하게 된다. 이 소리는 실시간으로 인공지능(AI) 기술에 의해 음악으로 재탄생하고 주변 140여 개의 조명이 음향에 맞춰 반응하며 공간 전체가 음악과 빛의 퍼포먼스로 바뀐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c1ee0aec34c144cb43f3bac52a7d182167d262e5b8cfea3f92751222c4c12c11" dmcf-pid="0xoEkhNfM8"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AI 기술로 재탄생한 음악이 수많은 조명과 함께 흘러나왔다. (사진=한정호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1/ZDNetKorea/20250711090254922gcpx.jpg" data-org-width="640" dmcf-mid="3t0qz8phRv"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1/ZDNetKorea/20250711090254922gcpx.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AI 기술로 재탄생한 음악이 수많은 조명과 함께 흘러나왔다. (사진=한정호 기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f7f497a3f488c22b2101dcce81c352f03c318d586c85a6336795589ccd9f8b05" dmcf-pid="pMgDElj4L4" dmcf-ptype="general"><span>박 관장은 "음악은 미래적 톤으로 시작해 점차 오케스트라로 확장되며 조명의 움직임도 다양해진다"며 "사람들의 감정이 기술을 통해 하나의 예술로 표현되는 공간"이라고 강조했다.</span></p> <p contents-hash="ded78fc8b89bcdbcc1e25e1ba2e6cbee0ebd9b85a3cd326a9d9e53ff0df14699" dmcf-pid="URawDSA8Jf" dmcf-ptype="general">다음 두 번째 공간에서는 황폐화된 미래 도시를 상징하는 콘크리트 오브제가 펼쳐지고 관람객은 설치된 파이프 위로 자신의 숨결을 불어 넣는다.</p> <p contents-hash="7b2ca8075f004442cbe6c4ce94d66b9a3f75c93aa0ca23abcda7d20d3b0cf664" dmcf-pid="ueNrwvc6nV" dmcf-ptype="general">이후 이산화탄소가 수소연료전지와 반응하면서 에너지가 생성되고 그 결과물로 깨끗한 물이 뿜어져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물은 투명한 거품 형태로 시각화돼 눈앞에 펼쳐졌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612293b04b87d3926623cff0c681f1a91e5789f9c5327aacd118e76575911bd" dmcf-pid="7djmrTkPi2"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숨결을 불어 넣는 파이프와 콘크리트 오브제로 체혐형 전시가 꾸며져 있었다. (사진=한정호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1/ZDNetKorea/20250711090256173snik.jpg" data-org-width="640" dmcf-mid="0haEkhNfRS"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1/ZDNetKorea/20250711090256173snik.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숨결을 불어 넣는 파이프와 콘크리트 오브제로 체혐형 전시가 꾸며져 있었다. (사진=한정호 기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fd505c85b10436262df7aa7677af5218cad9c23a44f6155fa706c49ffd817618" dmcf-pid="zJAsmyEQM9" dmcf-ptype="general"><span>박 관장은 "기술을 통해 생명의 순환을 직접 체험할 수 있게 했다"며 "숨결 하나하나가 에너지로 전환되는 구조"라고 설명했다.</span></p> <p contents-hash="739fd8ce9d268de40459ce688fbb3cf61a58f555ddf0c3a4c09fbbb517430d10" dmcf-pid="qLECIGrRJK" dmcf-ptype="general">마지막 공간은 대형 스크린으로 구성된 영상관이다. 대사 없이 음악만으로 구성된 10분 분량의 스토리 영상이 상영되며 전통적 정서와 공동체 의식이라는 한국 문화의 본질을 자연스럽게 전달한다. 영상은 점차 K-팝 스타일의 퍼포먼스로 확장되며 관객의 감정 곡선을 따라간다.</p> <p contents-hash="2d65ffdafb85d1f0f5bf7df933382f174b771d8a3020028e3600e0b5e3111d06" dmcf-pid="BoDhCHmeRb" dmcf-ptype="general">박 관장은 "전통과 현대, 현재와 미래를 연결하는 감각적 연출"이라며 "특히 외국인 관람객들이 깊이 몰입하는 모습을 많이 본다"고 소개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20977981dbb030c459099204d5e03eb3322ee4ad885ba6c12d60b4dbaef317b4" dmcf-pid="bgwlhXsdLB"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대형 스크린을 통해 과거와 미래의 연결을 K-팝 스타일 음악으로 표현했다. (사진=한정호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1/ZDNetKorea/20250711090257626qcnq.jpg" data-org-width="640" dmcf-mid="P93Bq6Ulda"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1/ZDNetKorea/20250711090257626qcnq.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대형 스크린을 통해 과거와 미래의 연결을 K-팝 스타일 음악으로 표현했다. (사진=한정호 기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7b01e86d101d88646337112ee2620546be36c08f4c9d63ed40feddebb76735c1" dmcf-pid="KarSlZOJnq" dmcf-ptype="general"><strong>전시를 넘어선 경험…'연결'을 구현한 한국관, 미래를 말하다</strong></p> <p contents-hash="3ab5fdf3989010623bec1cff70e10df367692da586054c6ee6be0446acdc20d1" dmcf-pid="9NmvS5Iiiz" dmcf-ptype="general"><span>현재 한국관은 하루 평균 1만3천명이 찾고 있으며 누적 관람객은 120만 명을 돌파하는 등 큰 인기를 끌고 있다.</span></p> <p contents-hash="79f306929c7c8b7473f718fda2393adb439dc948d675d5b25ab3817ba6e2e7a0" dmcf-pid="2jsTv1Cni7" dmcf-ptype="general">한국관은 기술을 전시하는 공간을 넘어 연결이라는 키워드를 감각적으로 구현한 하나의 미래형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b3dff7b099d7304c9fc63be2c1c104e63103fb1a75a7a220a324802f1105b87" dmcf-pid="VAOyTthLJu"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2025 오사카·간사이 엑스포 현장 (사진=한정호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1/ZDNetKorea/20250711090258853ihci.jpg" data-org-width="638" dmcf-mid="QkoEkhNfRg"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1/ZDNetKorea/20250711090258853ihci.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2025 오사카·간사이 엑스포 현장 (사진=한정호 기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d942ccd0f06cce67b8b7d54874280a40e3ec3026b2e0cc1ff3ddf85ce3e32ba0" dmcf-pid="fcIWyFloJU" dmcf-ptype="general"><span>한국관은 우리나라가 제안하는 지속가능한 미래의 삶을 관람객들이 마주하고 직접 체험하며 각자의 방식으로 연결을 되새길 수 있도록 꾸려졌다. 단순한 국가 홍보관을 넘어 우리가 함께 나아가야 할 내일을 상상하게 만드는 공간으로 자리 잡은 것이다.</span></p> <p contents-hash="e80b102b6283115208462213eac4b01b74a705f4708aa49a26c61a1558e872da" dmcf-pid="4kCYW3SgRp" dmcf-ptype="general">박 관장은 "전시물 중심의 단순 관람을 넘어 관람객이 주체가 돼 경험하고 교감하는 방식으로 꾸몄다"며 "사람과 자연, 기술과 감성, 과거와 미래를 연결하는 이야기를 만들었다"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4e7ce1d9cb58fc60052a9154a3e568f15c9aee56ca5a6b6dacae9006cba430b8" dmcf-pid="8EhGY0vae0" dmcf-ptype="general">한정호 기자(jhh@zdne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이병헌 아바타 없나요?"…일본서 주목한 네이버 케어콜 07-11 다음 “밖에 나갈때 모자 챙기세요”…日 엑스포에 뜬 ‘네이버표 AI 복지’ 07-11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