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독자 구축 LLM 에이닷 엑스 3.1 선보여 작성일 07-11 5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순수 자체개발 A.X 3 모델과 대규모 학습 기반 A.X 4 모델 ‘투 트랙 전략’</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X2hZpWDxoz"> <p contents-hash="d1b43837dcd17c578141cdd39b9fbf62ee62cd50a59cc785d40466c360937449" dmcf-pid="ZXLwhAxpa7" dmcf-ptype="general">[아이뉴스24 서효빈 기자] SK텔레콤은 자체 개발한 대규모언어모델(LLM) 'A.X(에이닷 엑스) 3.1 라이트'를 오픈소스 커뮤니티 허깅페이스에 공개했다고 11일 밝혔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f4ed8beb51d0a479bd2f49a811b2dffb991fa7561a4188bc620f89616a9e2ff" dmcf-pid="5ZorlcMUAu"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SKT [사진=SKT]"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1/inews24/20250711103633194bawg.jpg" data-org-width="580" dmcf-mid="HPy3qZOJoq"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1/inews24/20250711103633194bawg.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SKT [사진=SKT]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ab1e796d764e4f717c87741a796d19bfa9ee033375b1fd5465e784de78d2d8b2" dmcf-pid="15gmSkRuNU" dmcf-ptype="general">'A.X 3.1 라이트'는 프롬 스크래치(From Scratch) 방식으로 설계부터 학습까지 SK텔레콤이 독자 수행한 70억개(7B) 매개변수 기반의 경량 모델이다. 기존 에이닷 전화 통화요약에 활용된 'A.X 3.0 라이트'의 후속 버전으로, 모바일 환경에서도 높은 효율성과 성능을 발휘하도록 설계됐다.</p> <p contents-hash="2dac195d55c1462882b52044d3172204d738731a0e3e61bdf90968d450ff0482" dmcf-pid="t1asvEe7kp" dmcf-ptype="general">이번 모델은 자매 모델인 'A.X 4.0 라이트'와 유사한 수준의 한국어 이해 성능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한국어 능력 벤치마크 KMMLU에서는 61.70을 기록해 A.X 4.0 라이트(64.15)의 96% 성능을 달성했고, 한국어 및 한국문화 평가 CLIcK에서는 71.22로 69.97을 기록한 A.X 4.0 라이트를 넘어섰다.</p> <p contents-hash="032fdc422c9141286cb1126f24cab470ce7113a05a616df4c6e4bbceaa7a4436" dmcf-pid="FtNOTDdzk0" dmcf-ptype="general">SK텔레콤은 이달 중 340억개(34B) 매개변수를 기반으로 한 'A.X 3.1' 풀모델도 오픈소스로 공개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프롬 스크래치 방식 LLM 개발 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자사 AI 브랜드 '에이닷(A.)'의 기술 기반도 확대한다는 전략이다.</p> <p contents-hash="04822abf71af02af971f1cd899d3efe487940d1dc8f1af333031217e9736121a" dmcf-pid="3FjIywJqg3" dmcf-ptype="general">앞서 SK텔레콤은 2018년부터 한국어 기반 AI 언어 모델 개발을 시작해, 2019년 KoBERT, 2020년 GPT2 한국어 모델 등을 공개했다. 2022년에는 자체 LLM 'A.X' 기반의 에이닷 서비스를 선보였으며, 2023년부터는 A.X 3.0 모델을 통화요약 등 다양한 기능에 적용해 왔다.</p> <p contents-hash="79a419133723199c8348a189d66fd654300365e2dc1b4f69cb1bf0eb33b4ac75" dmcf-pid="03ACWriBjF" dmcf-ptype="general">SK텔레콤은 앞으로도 △A.X 3 시리즈를 자생력 있는 소버린 AI 모델로 발전시키고 △대규모 학습(CPT)을 활용한 A.X 4 시리즈를 특화 영역에 적용하는 투트랙 전략을 지속할 방침이다.</p> <p contents-hash="bd67f7341ce1a922f79c6dcbd1ae9e770b64b5808b25033559b5d152b36cddfd" dmcf-pid="p0chYmnbAt" dmcf-ptype="general">김태윤 SK텔레콤 파운데이션 모델 담당은 "꾸준히 쌓아 온 한국형 LLM 개발 역량을 바탕으로 AI 생태계 자립성과 국가 AI 경쟁력 제고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p> <address contents-hash="9a2d962d3902e75586a215c874a3eef2a086a6367ad2ee9662d0aa5dc8f72434" dmcf-pid="UpklGsLKo1" dmcf-ptype="general">/서효빈 기자<span>(x40805@inews24.com)</span> </address>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당구時論] “세계적인 당구선수 불러놓고” 이상고온과 UMB 무사안일함이 빚어낸 포르투3쿠션월드컵 찜통 경기장 ‘참사’ 07-11 다음 크래비티, 데뷔 5년만 핸드볼경기장 입성…관전포인트 셋 07-11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