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면초가 방통위 [김현아의 IT세상읽기] 작성일 07-11 16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정권이 바뀔 때마다, 방통위는 유배된다<br>공무원 10%가 수사 받은 기관… 중립성은 누구의 몫인가</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P3IGe91mTo"> <p contents-hash="3ade3dffd0fdcf07251383bc635a3c5bebf9c64e8e4bb2461fda5b6cbf214449" dmcf-pid="Q0CHd2tshL" dmcf-ptype="general">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공무원 10%가 수사를 받은 건 윤석열 정부가 처음입니다.”</p> <p contents-hash="16aca010c4b326ff7678339e2b4026e14f7e3236999a511e04f81c40b68c43f1" dmcf-pid="xphXJVFOvn" dmcf-ptype="general">방송통신위원회 한 공무원의 이 말은 조직 내부에 깔린 불안과 피로를 그대로 보여줍니다.</p> <p contents-hash="81f5ef5ed36c25ea481b2ff99481db355b3e637052ae782d7061581717561d18" dmcf-pid="yOJcuGrRli" dmcf-ptype="general">윤석열 정부 시절, 방통위 직원 200여 명 중 22명이 검찰 수사를 받았습니다. 피의자든 참고인이든, 결코 가볍지 않은 숫자입니다. 단순한 인사 문제가 아니라 제도 자체가 흔들렸다는 의미입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46fe76507eae680b345d2f902a00cad9063676839a9e140e36f1d36b29cddb8" dmcf-pid="WIik7HmeWJ"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1/Edaily/20250711112105745zdfa.jpg" data-org-width="550" dmcf-mid="6DUVINP3Sg"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1/Edaily/20250711112105745zdfa.jpg" width="658"></p> </figure> <div contents-hash="c9815263d7ba790785229999de2400204a25abf052cd1476964c6495d7b433a4" dmcf-pid="YCnEzXsdTd" dmcf-ptype="general"> 수사 이유는 크게 두 가지였습니다. </div> <p contents-hash="99f039ff4b074b6516e9b98d84d6e37095d4bba9443c34744e493c3cc6b63aeb" dmcf-pid="GhLDqZOJTe" dmcf-ptype="general">하나는 TV조선 재승인 심사 점수 조작 의혹입니다. 다른 하나는 경기방송 재허가 심사 및 자진 폐업 논란입니다.</p> <p contents-hash="6f74afc3033b7ec26effa2ceed2a0d8ecd7b8fb77c09b09e7d82f6c4e561ff03" dmcf-pid="HlowB5IivR" dmcf-ptype="general">2008년 방통위 출범 이후 줄곧 이 조직을 지켜봤던 저로선 두 사건 모두 범죄 사실보다는 정치적 해석이 짙었다고 생각합니다. </p> <p contents-hash="1eb9fab869becb3c8cd7791dea2b405f1322bc56c2dea996df5ec5dde0279689" dmcf-pid="XSgrb1CnSM" dmcf-ptype="general">경기방송 건은 더 이례적입니다. 감사원 감사도 없었습니다. 그런데도 일반직 공무원이 민·형사 소송에 동시에 휘말렸습니다. </p> <p contents-hash="f4a6d840e744f31942a9a58ce29b258d752193531f25c0a9a3679d84c425435d" dmcf-pid="ZvamKthLvx" dmcf-ptype="general">하지만 법원의 판단은 여전히 없습니다.</p> <p contents-hash="3312c45273a97e5d01cf16d8c40cbaf721d6bd2ba637c7afb71ae4912d398f67" dmcf-pid="5TNs9FlohQ" dmcf-ptype="general">TV조선 사건은 2023년 5월, 한상혁 당시 위원장이 불구속 기소되며 시작됐습니다. 그러나 2년이 넘도록 1심 판결조차 나오지 않았습니다.</p> <p contents-hash="e5e3345a2d305e7cb39c30163680c935ff2f78e8fe2382775ffabf187188e989" dmcf-pid="1LKxywJqSP" dmcf-ptype="general">경기방송 사건은 2022년 12월, 공영언론실천시민연대(공언련)의 고발로 수사가 시작됐습니다. 민사소송은 증거 부족으로 기각됐습니다. 형사 사건은 불기소도, 기소중지도 없이 멈춰 있습니다.</p> <p contents-hash="629f8eb58340f1689b06e268eb1abd4ee2ff13d168fe07f4a28eb7d6168fd8d1" dmcf-pid="to9MWriBC6" dmcf-ptype="general">연루된 공무원들은 대기발령 상태입니다. 일부는 휴직 중입니다. 사실상 정치적 유배를 치르고 있는 셈입니다. </p> <p contents-hash="15b13805024c76bb5f65c3696d3be864b5360f80713750e78a70fe64dc3e6181" dmcf-pid="Fg2RYmnbl8" dmcf-ptype="general">이는 방통위의 존립 근거마저 흔드는 방증입니다. 방통위는 여야 합의로 만들어진 합의제 행정기구입니다. 방송의 공익성과 미디어 산업 발전이라는 두 축의 균형을 추구해왔습니다. 그러나 그 중립성은 여러 차례 훼손돼 왔습니다.</p> <p contents-hash="e1f6efc974ca52b7b11a20abe68ec64813d45b1c2666022f4530b98e3ff9e8bd" dmcf-pid="3aVeGsLKW4" dmcf-ptype="general">그렇다면 이재명 정부 들어선 어떨까요? 방통위는 여전히 사면초가입니다. 보수 여전사로 불리는 이진숙 위원장의 거취를 두고 여야는 또다시 극한 대치를 벌이고 있습니다. 공무원들은 이 위원장과 여권 중 누구 눈 밖에 나지 않을까 눈치 보고 있습니다.</p> <p contents-hash="8acf90717c3d67c9f99d658bad9aec1defff3afffee324f9b964d2327a4c4e48" dmcf-pid="0NfdHOo9vf" dmcf-ptype="general">이처럼 기구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가운데, 해법도 엇갈립니다.</p> <p contents-hash="8f5e40382addbd9b9a5bb28c09029bc8743539339968b68836b9e4c669b0562a" dmcf-pid="pj4JXIg2SV" dmcf-ptype="general">한쪽은 방통위 해체를 주장합니다. 보도 기능은 별도 위원회(공영방송위원회)로 넘기고, 정책 기능은 정부 부처로 옮기자는 안입니다.</p> <p contents-hash="0d2dd8b2b5297ed85af2ea0b6d152c521a147d34609604b2cf9ffe2422dd9067" dmcf-pid="UA8iZCaVh2" dmcf-ptype="general">다른 쪽은 이진숙 위원장만 교체하자고 합니다. 그리고 여야 3대2 구조의 기존 방통위를 복원하자는 입장입니다.</p> <p contents-hash="02667946bfacae9465584e1ce7db90db08930f2b3a164fcf14566c5076f1d830" dmcf-pid="uc6n5hNfW9" dmcf-ptype="general">전자는 기능 분리입니다. 지상파·종편·보도채널 등 민감한 부분은 독립기구로 넘깁니다. 통신과 산업정책은 부처 조직이 맡습니다.</p> <p contents-hash="01cfe6fe5ccf8c0fde50ad813beb107a98d8d5447cdd33104bd35a98b6e2d99b" dmcf-pid="7kPL1lj4hK" dmcf-ptype="general">후자는 권력 재편입니다. 기구는 그대로 두고 여야 인선 비율만 바꾸자는 정치적 해법입니다. 이재명 대통령이 이 위원장을 교체하면, 당정은 다시 3명의 방통위원을 확보하게 됩니다.</p> <p contents-hash="cfa96a120dd614f78dc817482763deeac10e20546f59bb827d3992c539c09d74" dmcf-pid="zEQotSA8Tb" dmcf-ptype="general">얼마 전 감사원은 이진숙 위원장에게 ‘주의’ 조치를 내렸습니다. 직무정지 중 유튜브에서 특정 정당을 비판해 정치적 중립 의무를 위반했다는 판단이었습니다. 자진 사퇴 요구가 거센 가운데 이 위원장은 내년 8월 24일까지 임기를 채우겠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습니다.</p> <p contents-hash="43c8a2506b2571f18ec64cf6e58927acbe0bbbc16eec1d52b4c9263fc6c0749b" dmcf-pid="qsdAUYwMSB" dmcf-ptype="general">이대로라면 앞으로 1년 가까이 방통위 공무원들은 여권의 질타 속에서 근무해야 할지도 모릅니다. 그리고 이 위원장이 사퇴하면 이번엔 야권이 방통위를 겨눌 가능성도 큽니다.</p> <p contents-hash="b54b116930ed200369752103d6273a54d85c1049b52575afbcc253aca8d721cc" dmcf-pid="BOJcuGrRSq" dmcf-ptype="general">방송과 통신은 표현의 자유와 산업 경쟁이 교차하는 영역입니다. 방통위는 이 균형을 조정하는 중립적 제3자여야 합니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고발, 수사, 사퇴 논란이 반복된다면, 방통위는 더는 우리 사회에서 존재 이유를 증명하기 어려워질 것입니다.</p> <p contents-hash="4acaf78a3fafca17a49adfab1ca803c308fca09b7c213c3537826e541ca37f2e" dmcf-pid="bIik7Hmevz" dmcf-ptype="general">이 기구의 정당성은 정치가 아니라, 헌법이 보장한 공적 표현 질서에 기반해야 합니다. 지금 필요한 건 정치적 유불리가 아니라 방통위의 존재 이유에 대한 재정립입니다. 이 숙고 없이는 정부조직 개편도 근본을 놓치게 됩니다. 더 이상 정치가 공무원을 자르는 칼이 되어서는 안 됩니다.</p> <p contents-hash="9143ca6875870d7bccee993ac3dd7109cf2448517a99325544a5d5096182ae90" dmcf-pid="KCnEzXsdv7" dmcf-ptype="general">김현아 (chaos@edaily.co.kr)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일본 초고령 도시를 살린다…탄성 자아낸 네이버 ‘케어콜’ 07-11 다음 카카오, SK 지분 4300억 매각 추진 07-11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