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겜' 약물 금단 연기 노재원... "모든 것을 내려놓는 심정으로 매달렸다" 작성일 07-11 4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인터뷰] 넷플릭스 노재원 배우 오징어></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2cDjcebYDP"> <p contents-hash="6b3dc7fd2c68175ba6b5cdc2f4b76146ed62e4ee5c74261426895d3f7698991a" dmcf-pid="VkwAkdKGr6" dmcf-ptype="general">[장혜령 기자]</p> <table align="center" border="0" cellpadding="0" cellspacing="0" contents-hash="0924a3078fb4f5203022a49ff11c6805485fe22ad3e634f309c1e39a7a3f97cd" dmcf-pid="fErcEJ9HE8" dmcf-ptype="general"> <tbody> <tr> <td>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1/ohmynews/20250711115101758bgrh.jpg" data-org-width="1280" dmcf-mid="udvjcebYri"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1/ohmynews/20250711115101758bgrh.jpg" width="658"></p> </figure> </td> </tr> <tr> <td align="left"> <strong>▲ </strong> 노재원 배우</td> </tr> <tr> <td align="left">ⓒ 넷플릭스</td> </tr> </tbody> </table> <div contents-hash="b9c28d1f7afbfd3a2e38cc685b2811dbd7bf32007766088f71b304cf45c31d45" dmcf-pid="4DmkDi2Xr4" dmcf-ptype="general"> 약 5년이란 시간 동안 <오징어 게임>이 만들어낸 발자취는 한국이란 나라를 세계의 중심으로 이끌었다. 시즌1은 넷플릭스 역대 시청 순위 1위였고 가장 성공한 콘텐츠로 꼽힌다. 앞으로 이런 콘텐츠가 또 나올 수 있을지 미지수지만 작은 나라의 전통놀이와 결합된 데스 게임의 아이러니는 전 세계를 흔들었다. </div> <p contents-hash="e86a3a3c76cbd8daebf3365085007c2edab8580c2c887e60ecd0341a4588153c" dmcf-pid="8wsEwnVZDf" dmcf-ptype="general">그중 유명 래퍼인 타노스의 오른팔이자 클럽 MD 출신 '남규'를 맡은 노재원 배우를 7월 9일 삼청동의 카페에서 만났다. 남규는 <오징어 게임> 시즌2, 3의 새로운 참가자 중 한 사람으로 전형적인 강약약강 빌런이다. 시즌3에서는 우러러봤던 타노스가 죽자, 십자가 목걸이를 획득해 게임을 이어 가며 갈등을 유발한다.</p> <p contents-hash="cbb1379acd43655b49a459e3333c426f1b5b15328c9faca7e77389f352508aab" dmcf-pid="6MdQMbZwIV" dmcf-ptype="general">노재원의 변신은 파격적이었다. <살인자 O난감>에서 재활용이 불가한 나쁜 남자 하상민을 연기했지만 <오징어 게임>의 남규는 살인까지 주저하지 않는 악랄함과 약물 금단 증상을 겪는 혼란스러운 내면까지 폭넓게 그려내야 했기 때문이다. 강렬한 모습을 낯설어 하는 사람도 많다. 최근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 <이토록 친밀한 배신자> <나인 퍼즐> 등 시리즈와 드라마를 오가며 리얼한 연기로 각인한 바 있기 때문이다.</p> <div contents-hash="302939ace3380ab8ee67865847dec5859440915197b5192c748a35fd74c1832d" dmcf-pid="PRJxRK5rI2" dmcf-ptype="general"> <strong>약물 금단 연기 신체적 감각 찾는 과정</strong> </div> <table align="center" border="0" cellpadding="0" cellspacing="0" contents-hash="6430db1c86b9442feb5e048696d40bfa967a38f6676739aa543d971c250e4087" dmcf-pid="QeiMe91mr9" dmcf-ptype="general"> <tbody> <tr> <td>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1/ohmynews/20250711115103185gczl.jpg" data-org-width="675" dmcf-mid="K8ZWGsLKDx"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1/ohmynews/20250711115103185gczl.jpg" width="658"></p> </figure> </td> </tr> <tr> <td align="left"> <strong>▲ </strong> <오징어 게임> 시즌3 스틸컷</td> </tr> <tr> <td align="left">ⓒ 넷플릭스</td> </tr> </tbody> </table> <div contents-hash="e95444cc1c73e1083cdf5c1c47c44cc92217c20c024a3217bf8ba868822a857c" dmcf-pid="xdnRd2tsIK" dmcf-ptype="general"> 남규의 행적과 말투를 보고 전 세계 시청자는 '코리안 조커'라는 평가로 극찬했다. 노재원은 <오징어 게임>의 어떤 캐릭터를 맡게 될지 모르는 상황에서 오디션을 통해 남규를 만났다고 설명했다. </div> <p contents-hash="0c44950dfeeadb80159c6756b08af3215d84d402107d00e0131d210616e06107" dmcf-pid="yH5YHOo9Ib" dmcf-ptype="general">"특별히 무언가를 어필하지는 않았다. 똑같은 오디션이라고 생각하면서 임했다. 시즌1의 덕수 패거리 역할로 지정 대사를 했고 자유연기도 했다. 여러 가지 연기를 보여 달라고 하셨는데, 제 한계를 열어두고 봐주신 것 같았다. 처음은 호아킨 피닉스가 연기한 <조커>의 한 장면이었고, 두 번째는 <윤시내가 사라졌다>의 한 장면, 그리고 지극히 평범한 일상 연기, 마지막으로는 정말 거친 연기를 보여드렸다."</p> <p contents-hash="27ca80d37f9424e40d0b72fe3915851f5e4e46c0b034232ac545fc4a12d2c16e" dmcf-pid="WX1GXIg2EB" dmcf-ptype="general">강자 타노스의 곁에서 비위를 맞추고 자신보다 약해 보이는 민수(이다윗)에게는 나쁜 짓을 일삼는 남규는 악인일까 물었다. 노재원은 잠시 멈칫하며 "남규는 내면에 응어리가 가득하다. 세미(원지안)나 타노스(최승현)에게 무시당했던 인물이지, 악인이나 못된 사람으로 설정하고 연기하지는 않았다"고 답변했다.</p> <p contents-hash="840c49475b57185fe08dc3f32ffe9616c34df1aabd6a510ac6859e05600c033a" dmcf-pid="YZtHZCaVIq" dmcf-ptype="general">하지만 약물 중독자라는 생소한 경험을 캐릭터의 생명력으로 불어 넣어야 했기에 어려움이 따랐다고 솔직히 털어놨다.</p> <p contents-hash="dd1a601b5c59e129d18bc0e03230f5dde5a9209c59163d1b910c177a7eb0f0c6" dmcf-pid="G5FX5hNfwz" dmcf-ptype="general">"마약을 다룬 영화를 많이 찾아봤다. 영화 <문신을 한 신부님> 속의 주인공이 마약을 하고 춤추는 모습이 인상적이어서 레퍼런스로 삼고 싶었지만 그렇지 못했다. 결국 그 배우도 자신만의 감각을 갖고 연기했겠지 싶었고, 저도 그렇게 하기로 했다. 그래서 마약 중독자의 별의별 행동을 파악하려고 노력했다. 남규는 클럽 MD란 설정이 있어서, 비트감 있는 음악이나 생소하고 기괴한 음악을 많이 찾아봤다. 연습실에서 이상한 춤도 춰보면서 약물에 대한 감각을 찾으려 여러 시도를 했다. 너무 흥분해서 턱을 자꾸 움켜쥔다든지, 냄새에 민감하다든지, 신체적인 행동에 집중했다. 혼자 대사 연습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니까 (남규가) 유튜버라는 설정으로 불특정 다수와 소통해 보려고 시도하면서 창의적으로 접근해 갔다."</p> <p contents-hash="c71be236e547b9329107a00a629d6a4749676f9894f00ed029e6a3397d079bad" dmcf-pid="HIlsINP3r7" dmcf-ptype="general">부단히 노력했었지만 '모든 것을 내려놓는 심정'이라고 말할 정도로 심적 부담감이 컸던 건 사실이었다. 하지만 현장에서 황동혁 감독의 진심 어린 배려가 큰 힘이 되었다고 부연했다.</p> <p contents-hash="d757b89f3dc14b98746058512380ebdccd3a90ab1bdef48e2b01012949254afc" dmcf-pid="XCSOCjQ0Iu" dmcf-ptype="general">노재원은 "감독님은 제가 어디로 튈지 모르겠다고 하셨다. 그 말이 어찌나 감사하던지... (웃음) 제 장점을 최대한 살려보자고 하셨다. 촬영 중반부터는 '그냥 네 느낌대로 해봐라' 하면서 제가 욕심낼 수 있는 최대치를 열어 주셨던 것 같다"며 깊은 감사를 표했다.</p> <div contents-hash="04effe6282eafe1fee9c6c2717e5156149c17afb0f355adbd1207823b2072a09" dmcf-pid="ZhvIhAxpwU" dmcf-ptype="general"> <strong>정립되지 않는 연기톤 추구</strong> </div> <table align="center" border="0" cellpadding="0" cellspacing="0" contents-hash="f17bf7fb44ff65da34767f1bacb75ea3992231a3913da07fadba437e0306f44e" dmcf-pid="5lTClcMUDp" dmcf-ptype="general"> <tbody> <tr> <td>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1/ohmynews/20250711115104687bklv.jpg" data-org-width="1280" dmcf-mid="9CK7qZOJOQ"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1/ohmynews/20250711115104687bklv.jpg" width="658"></p> </figure> </td> </tr> <tr> <td align="left"> <strong>▲ </strong> 노재원 배우</td> </tr> <tr> <td align="left">ⓒ 넷플릭스</td> </tr> </tbody> </table> <div contents-hash="cccbae3b312d15399a5316e23e8f9ce54ac3e842421a05497a6966fc5112e7b4" dmcf-pid="1SyhSkRum0" dmcf-ptype="general"> 실제 노재원을 만났을 때. 캐릭터의 폭발적인 모습이 어디서 나왔을지 의문일 정도로 차분한 목소리의 소유자였다. 그러나 특유의 딕션과 호흡 스타일 때문에 조연이지만 주연 같은 존재감, 잊을 수 없는 신스틸러로 자주 활약했다. 이미지가 굳어지거나 소모되는 데 두려움이 없냐고 물었다. </div> <p contents-hash="7c86d69def4f81eee75162324256d02b6d87a4378fad03bffeeed5f9263295da" dmcf-pid="tvWlvEe7E3" dmcf-ptype="general">"떨리는 듯한 제 목소리에 호불호가 있는데 일부러 의식하면서 연기했던 건 아니다. 제 연기를 불편하게 여기는 분도 있을 거다. 상대방에게 맞추는 것도 지혜다. 느끼는 대로 할 용기가 중요하다는 것도 깨달았다. 배우는 결국 잘 된 작품으로 인기만 누리는 직업이 아니란 걸 안다. 욕먹는 건 가슴 아프고 두렵지만 어쩌겠나. 배우란 그런 직업이다. 모든 작품마다 모든 사람이 좋아할 만한 연기를 할 수도 없고, 그런 작품을 만나는 것도 불가능하다. 그렇다면 욕먹더라도 주관대로 하자는 원동력을 잃지 않으려고 한다. 그리고 소중한 작품이 오길 기다리는 게 전부겠다."</p> <p contents-hash="ab48dde26eb7855d19b8412a49d88c742ab0e350b1da04eb733d5cd1f6b55903" dmcf-pid="FTYSTDdzEF" dmcf-ptype="general">맡은 캐릭터마다 본인 말투를 녹여내면서도 이전 이미지와 겹치지 않는 색깔로 자신만의 톤을 맞추는 배우이기도 하다. 작품 속 남규와 비슷한 면을 두고 단번에 '자격지심'이란 키워드를 꺼내 들었다.</p> <p contents-hash="e3bbe549e6c247d040da501ed64f45fbda53d836dc913b5518a65ed7f115cf11" dmcf-pid="3yGvywJqst" dmcf-ptype="general">그는 현장이 주는 힘이 컸다며 "남규를 연기할 때면 '내가 제일 멋있고 최고다'라는 마음이 들어야만 했다. 하지만 <오징어 게임> 자체를 찍을 때는 벼랑 끝에서 연기하는 기분이었다. 매 순간 발악하면서 연기하느라 어려웠고 회차마다 들떴다. 현장에는 수많은 배우가 각자 돋보여야 할 장면이 있기 때문에 제 차례가 오기만을 참고 기다렸다. 세트장의 리얼함이 주는 압박도 컸다. 어떨 때는 일부러 들어가지 않고 생경한 세트장을 경험해 보려고도 했다. 무엇보다 '특별해지고 싶은 마음'이 남규와 비슷하지 않았나 싶다. 약이 대체 무엇이길래 집착하는지 생각했다. 시즌3 초반 키워드가 자격지심이었다면 마지막에는 '약 없이 완전히 벗겨진 나', '아무것도 아닌 나'와 마주하는 때를 생각했다"고 답했다.</p> <p contents-hash="e63912360710c5357b9f0e48e4ed712d3cdf4ce0e811466bd7552b632d1357b4" dmcf-pid="0B9zB5IiE1" dmcf-ptype="general">그러면서 선배들과 붙는 장면이 많지 않아 아쉬웠다면서도 "위안이 되었던 건 '대선배님들도 현장에서는 고군분투하고 하는구나. 아... 그들도 사람이구나' 확인했다. 연기할 때는 대선배로 생각하면 도움 되지 않아 오직 캐릭터로만 보려고 부단히 노력했다"며 주, 조, 단역까지 수많은 연기자와 교감을 주고받으며 성장했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dabb8fd9d541d6ccc61be5f4d6835b1aed1396565c0661e96657b6f3e8cc229a" dmcf-pid="pb2qb1CnD5" dmcf-ptype="general">가장 어려웠던 장면으로는 "죽은 척하는 백억남(송영창)에게 '자니'라고 말 붙이며 농락하는 장면이었다. 여러 테이크를 갔는데 오케이가 소리가 잘 나지 않았다. 그날 어찌나 우울하던지...(웃음) 잔혹하고 거북한 장면이다 보니 수위 조절도 적절해야 했다. 어린아이가 벌레나 동물과 논다는 생각으로 연기했다"라며 당시를 회상했다.</p> <p contents-hash="af57c498bdbbf38d20760d30b88c0e452c1982815d25ed4d5b3407c1f3584410" dmcf-pid="UKVBKthLwZ" dmcf-ptype="general">결국 캐릭터도 자신을 통해서 나타나기에 영향받기 마련이다. 어쩌면 이와 같은 상호작용이 상업, 독립 작품 속 연기 톤의 차이에까지 미칠 수 있다. 이에 대한 우려는 없는 걸까.</p> <p contents-hash="36a2d9422a0303124c80462da31d36fb949fb7dd485140eae3db9047739e567a" dmcf-pid="u9fb9FloEX" dmcf-ptype="general">그는 "그래서 작품마다 달라지려는 시도는 끊임없이 할 것이다. 노재원 스타일이라는 이름으로 굳혀지고 싶지 않다. 아직 많은 경험이 필요한 시기다. 큰 프로젝트에서는 모두 전문 분야가 나눠져 있어서 맡은 일만 잘하면 되지만. 독립영화는 아는 친구들과 스태프를 꾸려 삼삼오오 모여 찍는 경우가 많다. 여러 가지를 시도하게 되고 전체를 보는 눈이 커진다. 상업 작품을 했다고 연기의 결이 달라지지는 않았다. 독립 영화를 하지 않았다면 저만의 색깔을 찾지 못했을 거다. 그래서 상업, 독립 작품을 구분해 생각하지 않으려 한다. 다만 기회가 된다면 독립 작품을 하고는 싶다"고 답했다.</p> <p contents-hash="54280fe3a88eadd07c8bfe372d539cd955feba47844de8e5a2953494bf3dbcdc" dmcf-pid="724K23SgEH" dmcf-ptype="general">마지막으로 노재원은 <오징어 게임>이 남긴 성과와 앞으로의 계획을 말했다. "하고 싶은 연기를 패기 있고, 기세 있게 하자는 마음은 변하지 않았다. 힘든 과정에 비해 결과가 아쉬웠을지언정 의도 대로 다 잘 표현했다는 저만의 확신이 있다. 어쨌든 남 눈치 보지 않고 최선을 다했는 데 의의를 두고 싶다. <오징어 게임>으로 갑자기 SNS 팔로우 수도 늘어서 들뜨기도 하고 불안하기도 하다. 인기를 만끽할 때와 집중해야 할 때를 구분해야겠다. 인기도 결국은 흘러간다는 마음가짐으로 하루하루 자신과 싸우는 중이다. 앞으로가 더 중요할 것 같고 어떤 일이 생길지 모르니까 겸허하게 받아들이려고 한다. 맡은 역할을 더 재미있게 해 나가고 싶고 행복하게, 멜로 역할에 도전해 보고 싶다. (웃음)"</p> <p contents-hash="73ec550b94fe1cd0af46ad7bde464963757089ad11244b7b82dd471d18fc2039" dmcf-pid="zV89V0vaDG" dmcf-ptype="general"><strong>덧붙이는 글 | </strong>이 기사는 필더무비에도 실립니다.</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예기치 못한 상황 뭐길래…불통의 지드래곤 소속사 도마 위, 통보 아닌 해명 필요 [TEN이슈] 07-11 다음 전쟁터로 향한 옥택연... 서현의 눈물에도 칼을 든 이유는? (남주의 첫날밤) 07-11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