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이스버드]⑥ 전투기부터 인공위성까지…하늘·우주를 넘나드는 KIAI를 가다 작성일 07-11 12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bpwZuGrRhQ">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6511fe5888c9eb1a77fc9e97c35c38c87405ae9f76189116fa542f1741922c03" dmcf-pid="KQX2MbZwvP"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한국항공우주산업에 방문한 어린이 우주 기자단. 스튜디오51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1/dongascience/20250711120209466zyuy.jpg" data-org-width="680" dmcf-mid="1RIKQqHEWa"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1/dongascience/20250711120209466zyuy.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한국항공우주산업에 방문한 어린이 우주 기자단. 스튜디오51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a6421d145392e20333d7ce754f4e747be928632b781f6d268a24ee05db802460" dmcf-pid="9xZVRK5rl6" dmcf-ptype="general"><span>[편집자 주] 동아사이언스가 발행하는 과학 잡지 <어린이과학동아>는 대한민국 미래 우주인을 발굴하고 어린이들에게 우주에 대한 꿈과 도전 정신을 심어주기 위해 2024년부터 ‘어린이 우주인 선발대회’를 주최합니다. 2024년 1656명의 초등학생이 50여 건의 우주 미션을 수행했고 최종 어린이 우주인으로 선발된 2명이 미국항공우주국(NASA)에 다녀왔습니다. 국내 주요 우주 기관과 기업을 탐방하며 미래 우주 인재로 성장하고 있는 우주새싹(space bud), 어린이 우주 기자단의 생생한 활동기를 연재로 소개합니다.</span></p> <p contents-hash="27b85f3f33e69025f6856518c4bc483b0b2805dfb314cbd428e107b8d3261fb5" dmcf-pid="2M5fe91mW8" dmcf-ptype="general"> "현실과 동떨어진 세계 같아요." </p> <p contents-hash="0934c538c6cbd5506d6b945164c9cfb34aef63d2b27ecf9c32b77d2cc69f0e12" dmcf-pid="VR14d2tsW4" dmcf-ptype="general"> 한국항공우주산업(KAI) 생산시설의 문이 열리자 어린이 기자들의 눈앞에 전투기들이 가득 펼쳐졌다. 어린이 기자들은 일제히 탄성을 질렀다.</p> <p contents-hash="b43ab2a69b02c22b38481868b200199e6ab8decbef57a9686316ed1a6c7c5a1b" dmcf-pid="fet8JVFOSf" dmcf-ptype="general"> 6월 27일 어린이 우주 기자단은 경상남도 사천에 있는 KAI에 방문했다. KAI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항공기를 제작하는 업체다. 여객기뿐 아니라 전투기와 차세대 무인기, 다목적 수송기 등을 개발한다. </p> <p contents-hash="0c91e6466b9c01ed819ca39a7045e0048a0dba2abfb5d4c2d460b3e3aa2c94dc" dmcf-pid="4dF6if3IlV" dmcf-ptype="general"> 항공기의 성능을 개량하고 해외에 수출하기도 한다. 지난해 KAI는 군대에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한 기동헬기 수리온을 이라크에 수출하기로 계약했다. 수리온은 KAI가 2006년부터 개발해 2012년부터 임무를 수행한 국내 최초 기동헬기다. </p> <p contents-hash="a2b2d780a6b04cf4e6a251d018943d78a01dee5afd50119d15d3d72de8df3e55" dmcf-pid="8J3Pn40CT2" dmcf-ptype="general"> KAI는 2~3년에 걸쳐 2~3대의 항공기를 제작한다. 어린이 기자들은 생산 시설에서 KAI 직원들이 수리온과 소형 무장헬기(LAH), KF-21 보라매, 그리고 FA-50 등 전투기를 조립하는 모습을 견학했다.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f850aee565dbe48bbc5f15a0aa13e3588b2c1d99af5946b083a37eb0029f5031" dmcf-pid="6i0QL8phl9"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시뮬레이터실에 들어온 어린이 우주 기자단. 스튜디오51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1/dongascience/20250711120210765hopf.jpg" data-org-width="680" dmcf-mid="FsGxo6Ulho"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1/dongascience/20250711120210765hopf.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시뮬레이터실에 들어온 어린이 우주 기자단. 스튜디오51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3346a6a3ceb7adfd8970cd7d02a561ea568e3e176e9fb1dbf688f8c0b2f23389" dmcf-pid="Pnpxo6UlhK" dmcf-ptype="general">시뮬레이터실에서 조종사가 비행 훈련을 하는 모습도 볼 수 있었다. 시뮬레이터실에서는 조종사가 조종기를 움직이면 실제 비행 현장처럼 화면 속의 하늘과 땅이 움직인다. 실제 비행을 통해 비상 상황을 모두 훈련하기 어려워 만들어진 공간이다. </p> <p contents-hash="f7896d74e02b04224f8f5ab4f36278832a16fe91229ca026312c3ceb0a498ae5" dmcf-pid="QLUMgPuSCb" dmcf-ptype="general"> KAI는 항공기뿐 아니라 발사체와 인공위성도 개발하고 있다. 지구의 위성 사진을 찍는 다목적실용위성과 지구를 관측하는 차세대중형위성 등 인공위성뿐 아니라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개발에도 참여했다. </p> <p contents-hash="c972b838d8120fc09b558d23002f8b1c15c53d9b064f6b437efee40b7123b5f3" dmcf-pid="xouRaQ7vSB" dmcf-ptype="general"> 어린이 기자들은 인공위성 개발 현장을 보기 위해 체계 조립실로 들어갔다. 체계 조립실은 위성 제작부터 조립, 시험까지 모든 과정을 진행하는 공간이다. 어린이 기자들은 조립된 차세대중형위성 2호와 차세대중형위성 4호를 볼 수 있었다.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5469ff3740c96fe0620851d70339d3f411ba342358aad2afa7ee251902be90d7" dmcf-pid="ytcY3TkPlq"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체계 조립실에 방문한 어린이 우주 기자단. 스튜디오51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1/dongascience/20250711120212085owiy.jpg" data-org-width="680" dmcf-mid="BvOFB5IiWx"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1/dongascience/20250711120212085owiy.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체계 조립실에 방문한 어린이 우주 기자단. 스튜디오51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c4ca6800e66443a4a3b0a49e40dec58af148b3f79483e2e23d68cbe81007b0db" dmcf-pid="WFkG0yEQvz" dmcf-ptype="general">이어 어린이 기자들은 체계 조립실 안에 있는 발사 환경 실험실에서 인공위성이 우주에서 잘 작동할 수 있을지 시험하는 충격 시험기 등 장비를 관찰했다. 충격 시험기는 인공위성에 충격을 줘 인공위성이 발사체로부터 떨어져 나갈 때 순간 발생하는 강한 힘을 견딜 수 있는지 확인하는 역할을 한다. </p> <p contents-hash="625abec78565d9b2bf964f7e354abc4ec8f27ac2e63c36607498a3c2a6373a12" dmcf-pid="Y8YbPzGky7" dmcf-ptype="general"> 질량 특정 장비는 인공위성의 무게중심이 가운데에 위치하는지 확인하는 장치다. 인공위성의 무게중심을 맞추는 것은 인공위성이 우주에서 흔들리지 않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과정이다. </p> <p contents-hash="f74ccb8423b4f0e3b23ba81c6ccb69a86a7b67efd006407028d45444e4d84800" dmcf-pid="G6GKQqHEWu" dmcf-ptype="general"> 견학을 마친 뒤 곽희원 어린이 기자는 "연구자만 들어가 볼 수 있는 생산 시설과 체계 조립실에서 연구 현장을 생생히 볼 수 있어서 신기했다"며 "우리나라의 항공기와 인공위성 기술이 어디까지 발달할지 무서울 지경"이라고 말했다. </p> <p contents-hash="1de5cd2598767015ef221f6c3ef4d60d3e04f4d89ad1a5410ec093b11c0bc52b" dmcf-pid="HPH9xBXDCU" dmcf-ptype="general"> 이수린 어린이 기자는 "전투기가 도색되기 전 과정을 본 것이 기억에 남는다"며 "항공기의 제작 현장을 생생하게 견학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p> <p contents-hash="0e644335ce226b202d6c36f9a6cfc0b33174a7b95143a40e5ebc5c8e80b579e2" dmcf-pid="XQX2MbZwlp" dmcf-ptype="general"> 한편 제2회 어린이 우주인 선발대회는 코오롱과 광주과학기술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우주항공청, 보령, 텔레픽스, 한국항공우주산업주식회사, KAIST 우주연구원 등이 후원한다. 우수하게 미션을 수행한 최종 어린이 우주인은 오는 11월 NASA를 비롯한 미국 우주 기업 견학 및 취재 기회를 얻는다.</p> <p contents-hash="4217dcf5fccc2bce967ddf987e6bc1726a9bde18462f0fd3a0464e958fb9964e" dmcf-pid="ZxZVRK5rW0" dmcf-ptype="general">'어린이과학동아'와 함께 다양한 우주 미션을 수행하고 최종 어린이 우주인에 도전하세요!</p> <p contents-hash="4eb49ece6728310cd7c08f24c3bb63631d0dd3e609030f139bb50d1bd31127f8" dmcf-pid="5M5fe91mW3" dmcf-ptype="general"><strong>▼어린이 우주 기자단 신청하기 </strong></p> <p contents-hash="58e0e714b7b54a2603b6d5ba03b56a66903786a250e980f287fc0d88624304bb" dmcf-pid="1R14d2tsTF" dmcf-ptype="general">https://press.popcornplanet.co.kr/astronaut/intro</p> <p contents-hash="9b30c56ec6a59d258a60b86b246cb449300a23972bf66d83c46060e805ce8292" dmcf-pid="tet8JVFOWt" dmcf-ptype="general">[장효빈 기자 robyne98@donga.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동아사이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로켓 타고 소행성·은하 탐구해 볼까 [지금은 우주] 07-11 다음 고용량·고안전성 수계배터리 원천기술 개발 07-11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