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켓 타고 소행성·은하 탐구해 볼까 [지금은 우주] 작성일 07-11 11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우주에 관심 있는 분들, 이곳으로 달려가자</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85u2MbZwkW">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92441c3f0b9ebd3905cf36ba0191c90ee51353f16590bb6600d155dc9acedad2" dmcf-pid="617VRK5rky"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우리의 이웃인 안드로메다 은하. 점점 우리 은하수와 가까워지고 있다. [사진=T. Rector and B. Wolpa (NOAO/AURA/NSF)]"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1/inews24/20250711120141096lnig.jpg" data-org-width="564" dmcf-mid="2du2MbZwoX"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1/inews24/20250711120141096lnig.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우리의 이웃인 안드로메다 은하. 점점 우리 은하수와 가까워지고 있다. [사진=T. Rector and B. Wolpa (NOAO/AURA/NSF)]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f90ddd9a30cb680eb72361e60afb28ade282135ef2013da763cc59854ce519f3" dmcf-pid="PXpKQqHEAT" dmcf-ptype="general">[아이뉴스24 정종오 기자] 우주는 더 넓다.</p> <p contents-hash="638cd582b9f82e79aa05d546fac2339aeb12a71d8c9d48fdc5c72febd64bb537" dmcf-pid="QZU9xBXDcv" dmcf-ptype="general">뉴스페이스 시대가 열리면서 인류는 그 어느 때보다 우주 탐구에 적극적이다. 우주는 얼마나 넓고, 지구의 이웃인 화성은 어떻게 생겼으며, 소행성은 왜 지구로 오는지, 외부 은하 탐색은 어떻게 하는지, 로켓과 인공위성은 어떤 역할을 하는지 궁금증이 많다.</p> <p contents-hash="d9343e77bf63695c7257536c20ef33af70ab587bfdbed3b39ad066fc9f72d651" dmcf-pid="x5u2MbZwoS" dmcf-ptype="general">이런 질문을 해결할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됐다. 국립과천과학관(관장 한형주)은 2025년 여름방학을 맞아 ‘우주아카데미 강연 시리즈’를 개최한다. 이번 강연회는 화성 탐사와 소행성 연구, 외부은하 탐색, 한국형 발사체·인공위성 개발까지 우주과학의 핵심 이슈들을 담은 3가지 특별 주제로 구성됐다.</p> <p contents-hash="ebb3b80a70aedb3da6c5b3a56ef8363098cf9d0352e847b4f33d208487e50340" dmcf-pid="yncOWriBal" dmcf-ptype="general">7월 19일부터 8월 9일까지 토요일마다 총 3회 열린다. 오후 7시부터 120분 동안 진행한다.</p> <p contents-hash="6453abc13101e21646f13d236b05408711897d0ea1203c759ac9a81861babd8b" dmcf-pid="WLkIYmnbAh" dmcf-ptype="general">이번 강연은 천문우주 분야의 세계적 석학들을 초청해 지적 깊이와 연구 현장의 생생함을 동시에 전달하는 성인·청소년 대상 과학 특강이다. 한국천문학회 창립 60주년과 대한민국 광복 80주년을 맞아 관련 기관들과 협력해 뜻깊은 프로그램으로 마련됐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1f42dabb92fb677e1072983c37eb28a8b34015166765bcd194f4eb9ae0f23550" dmcf-pid="YoECGsLKkC"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화성 착륙 탐사선 큐리오시티. [사진=NASA]"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1/inews24/20250711120142403klxj.jpg" data-org-width="580" dmcf-mid="VCWtqZOJaH"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1/inews24/20250711120142403klxj.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화성 착륙 탐사선 큐리오시티. [사진=NASA]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14956c7281b28e11a87841ef2c3956d0833ffce8e2cd90f57e895eb271c08941" dmcf-pid="GgDhHOo9oI" dmcf-ptype="general">첫 강연(7월 19일)은 미 항공우주청(NASA) 제트추진연구소의 전인수 우주방사선센터장이 맡는다. 전 박사는 본인이 직접 참여한 화성 탐사 로버 ‘큐리오시티(Curiosity)’ 로버와 태양계 최초의 금속 소행성 탐사 ‘프시케(Psyche)’ 임무에 대해 소개한다.</p> <p contents-hash="0cf1ac42f6add4253a3b493e98da082f4f0ca1f221791bf3c2ed9dafd99658db" dmcf-pid="HawlXIg2gO" dmcf-ptype="general">큐리오시티 임무는 고대 물의 흔적을 추적해 화성 생명체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과학 실험이다. 프시케 탐사는 금속 소행성의 구조를 분석해 태양계 형성의 비밀을 밝혀내려는 도전이다.</p> <p contents-hash="36d9cc4fd2626bd4066641c375c33ab75ca0a627281de6b8b023f5d916f4a383" dmcf-pid="XNrSZCaVks" dmcf-ptype="general">전 박사는 극한 우주 환경 속에서 진행되는 미지의 임무들, NASA 과학자들의 연구 여정을 생생하게 전할 예정이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effc6945922a185dc991bc30884d7ba80d9f36024336525e3d35f64abe771cf" dmcf-pid="Zjmv5hNfkm"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덴마크에서 촬영된 자연과 은하수. [사진=Jakob Andersen ]"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1/inews24/20250711120143719dyil.jpg" data-org-width="580" dmcf-mid="fNZU23SgjG"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1/inews24/20250711120143719dyil.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덴마크에서 촬영된 자연과 은하수. [사진=Jakob Andersen ]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79e75321d444a58b1082c546b514aa4270ae11723100ed61a2a7a049dafe3ddd" dmcf-pid="5AsT1lj4jr" dmcf-ptype="general">두 번째 강연(7월 26일)은 한국천문학회 창립 60주년 기념 특별강연으로 서울대 1호 천문학 박사인 안홍배 부산대 명예교수와 신지혜 한국천문연구원 선임연구원이 공동 연사로 나선다.</p> <p contents-hash="8696216d72e9529e6ad1d00800a21313d3c1551a3406adbb112d4a0152b123dc" dmcf-pid="1cOytSA8Aw" dmcf-ptype="general">안홍배 교수는 40여 년 동안 외부은하를 연구한 은하 관측의 개척자로 잘 알려져 있다. 소백산천문대에서 안드로메다 은하를 관측한 경험과 명왕성 퇴출 논쟁에 참여했던 일화까지 다양한 천문학 이야기를 들려준다.</p> <p contents-hash="77823798fbe83280794f96727208117c1c9b9df168fd003a2699578fdae88f74" dmcf-pid="tkIWFvc6jD" dmcf-ptype="general">신지혜 박사는 우주 시뮬레이션을 기반으로 은하의 형성과 우주의 거대구조를 연구하는 차세대 연구자로서 한국 천문학의 미래를 조망한다. 한국천문학회 교육위원장 손정주 교수(한국교원대)가 참여해 토크콘서트 형식으로 청중과의 소통을 이끌 예정이다.</p> <p contents-hash="4fd6b2b43bb249e63cfbb78f5799f6c5da43dd254af9ec3196ab60e9a5cd10f1" dmcf-pid="FECY3TkPcE" dmcf-ptype="general">세 번째 강연(8월 9일)은 광복 80주년 기념 강연으로 우리나라 우주기술의 자립과 도전의 역사를 조명한다.</p> <p contents-hash="6720ded70076621992cfd1b0d4da36cc3a0e244844530e89fb82b9411a3f5a6d" dmcf-pid="3YFq8uWAgk" dmcf-ptype="general">고정환 본부장(항우연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본부)은 누리호 1~3차 발사를 총괄한 인물이다. 국내 발사체 기술의 독립과 차세대 발사체 개발, 뉴스페이스 시대 산업 기술 이전에 대해 이야기할 예정이다.</p> <p contents-hash="983235e6ebc1ce1ffa2770063ed4c13c8efbc577a94089c336be75b75dd62187" dmcf-pid="0G3B67YcNc" dmcf-ptype="general">한재흥 교수(KAIST 우주연구원장 겸 인공위성연구소장)는 우리별 위성 개발을 시작으로 한국 인공위성 기술의 성과와 미래 기술이 담긴 현재 진행 프로젝트들을 소개한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ad23a969b5d71301fcf5fac44d3da115511dfd6ecd0c17fda0054d521ba26f0" dmcf-pid="pH0bPzGkcA"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누리호가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되고 있다. [사진=과기정통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1/inews24/20250711120144044avsy.jpg" data-org-width="580" dmcf-mid="4LSXUYwMoY"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1/inews24/20250711120144044avsy.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누리호가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되고 있다. [사진=과기정통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cadd214a61ef41dd13174266f581dba153c3de9fa6b87a06e47426b7a49b7452" dmcf-pid="UXpKQqHENj" dmcf-ptype="general">이번 우주아카데미 강연회는 과학자들과 청소년을 비롯한 시민이 함께하는 여름방학 특별 과학 행사로, 10세 이상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오는 12일 오전 10시부터 과천과학관 홈페이지를 통해 예매할 수 있다. 참가비는 1인당 1만원이다.</p> <p contents-hash="1e0b19ab72d8ef6092604e1535465860aa777b12b6a67871627b5bf6b0192c5c" dmcf-pid="uZU9xBXDjN" dmcf-ptype="general">한형주 국립과천과학관장은 “이번 강연은 NASA, 항우연, 천문연, KAIST 등 국내외 대표 우주기관의 과학자들과 직접 만나 우주과학의 최전선을 경험할 수 있는 특별한 기회”라며 “청소년들에게는 꿈과 과학적 상상력을, 성인들에게는 지식의 깊이를 전하는 시간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p> <address contents-hash="ef02d5d39ecb2b1c2e968a652a03f51d799d709c012cd296fbd8e784ff7312e2" dmcf-pid="75u2MbZwca" dmcf-ptype="general">/정종오 기자<span>(ikokid@inews24.com)</span> </address>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송혜교 숏컷 다음은 파격 울프컷, 뭘 해도 여신 07-11 다음 [스페이스버드]⑥ 전투기부터 인공위성까지…하늘·우주를 넘나드는 KIAI를 가다 07-11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